
2년 전
진천 종 박물관 - 장중한 울림, 진리에 닿다!
한국 종의 우수성을 알아볼 수 있는 진천 종 박물관을 소개합니다.
진천 종 박물관은 한국 범종의 유형, 무형 유산이 공존하는 종 전문 박물관으로 역사테마공원 내에 위치해 있어 찾기가 쉽습니다.
박물관 근처에는 진천 판화미술관, 주철장 전수교육관 등 진천의 명소들이 함께 자리하고 있어 여행 코스로도 방문하기에 좋습니다.
진천 종 박물관은 한국 종의 연구, 수집, 전시, 보존은 물론 기획 전시, 교육 및 다양한 활동 등을 통해 세계적으로 그 가치를 인정받은 한국 종의 예술적 가치와 우수성을 알리고자 2005년 9월 개관하였습니다.
종은 악기로 쓰이는 악종시와 때를 알리는 시종, 위급함을 알리는 경종, 불가에서 종교적 의미로 쓰이는 범종 등 목적에 따라 종류를 나눌 수 있습니다.
상설전시실에서는 통일신라, 고려, 조선, 근대에 이르기까지 한국 범종의 유물을 전시하여 한국종의 역사와 문화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고려 시대의 범종은 통일신라 양식을 계승하면서 새로운 요소가 가미되어 변모했다고 합니다.
종의 외형은 직선화되고 종신은 짧아지는 경향을 보이며 천판 자리에 보이는 돌출 장식, 종신의 불보살과 역동적인 모습의 비천상, 방형의 명문곽 등은 고려 시대 새롭게 나타나는 특징입니다.
아름다운 비색청자, 격조 높은 불화, 다채로운 금속기를 만들어낸 고려의 기술력과 조형 감각은 새로운 요소를 조화롭게 구성한 범종에서도 여실히 드러납니다.
한편에서는 절에 가면 쉽게 볼 수 있는 법구 사물들이 한자리에 있었습니다.
사찰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의식에 쓰이는 도구를 법구라 하는데 그중 법구 사물은 범종, 목어, 운판, 법고로 불교의 여러 의식 가운데 날마다 행하는 일용 의식에 쓰입니다.
법고는 사찰에서 나무와 소가죽으로 만든 큰 북으로, 조석예불 등 의식에 사용하며 북을 받치는 대좌인 법고좌는 보통 사자, 해패, 거북 등 동물 형상으로 만듭니다.
금고는 범종과 함께 사찰에서 일정한 시간을 알리거나 대중을 소집할 때 쓰는 범음구로 정면 가운데 연화문 당좌를 배치하고 주위로 양각의 동심 원대를 장식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범종을 만드는 제작 과정도 살펴볼 수 있습니다.
범종을 만드는 방법은 밀랍주조법과 사형주조법이 있습니다.
밀랍주조법은 밀랍과 쇠기름을 적당히 배합하여 범종의 모형을 만드는데 그 위에 진흙, 모래 등을 배합한 주물사를 씌우고 열을 가해 밀랍을 녹여내 거푸집을 만든 후, 밀랍을 녹여낸 공간에 쇳물을 부어 주조하는 방식입니다.
청동종, 청동불상, 청동향로, 청동활자 등 섬세한 기물을 만드는데 용이하다고 합니다.
진천 종박물관에 방문하시면 독창적인 양식과 예술성을 가지고 있는 한국의 종 전시를 관람해 볼 수 있습니다.
아이들과 함께 방문하여 우리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담은 소중한 문화유산을 알아보며 유익한 시간을 보내고 가셨으면 좋겠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