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년 전
[10월 소식] ‘오래된 신도시’ 대전 둔산
[10월 소식] #대전서구 #소식 #서구소식 #10월소식
기자칼럼
‘오래된 신도시’ 대전 둔산
대전 서구에는 신도심과 원도심이 공존한다. 도마·변동, 가장동이 원도심이라면, 둔산신도시는 신도심을 대표한다.
둔산신도시는 1980년대 말 정부의 200만호 주택 공급계획에 따라 분당·일산신도시 등과 함께 만들어진 계획도시다. 대전시청을 비롯해 법원, 검찰청 등 각종 공공기관이 이전해 왔고, 정부대전청사가 들어서면서 중앙행정기능까지 갖추게 됐다. 병원과 금융기관, 쇼핑시설, 예술의전당과 수목원, 미술관 등 생활 편의성이 높아지고 문화의 중심지로 발돋움했다. 또 탄방초등학교를 시작으로 각급 학교가 설립 또는 이전하면서 서울의 강남 못지않은 학군과 교육인프라가 형성됐다.
이처럼 둔산신도시는 걸어서 10분이면 필요한 모든 일을 해결할 수 있을 정도로 뛰어난 정주여건을 자랑한다. 때문에 둔산신도시는 동구, 중구, 대덕구 등 기존 원도심의 인구, 상권, 각종 기관까지 빨아들이는 블랙홀처럼 성장했으며, 서구를 ‘둔산권’과 ‘비둔산권’으로 양분하기에까지 이르렀다. 둔산신도시의 비약적 발전으로 인근 만년·월평동을 비롯해 유성까지 반사이익을 얻게 됐다. 초기 입주민들로부터 인근 생활권 및 유성으로까지 세대가 분할됐으며 자연스레 동반성장이 이뤄진 것이다.
인구를 내어준 신도시는 어떨까. 그 위용이 쉽게 추락하지 않는다. 정주여건이 뛰어난 데다, 특히 신도
시와 함께 성장해 온 학군과 교육 관련 인프라는 세대 분할로 떠난 2세들을 다시 불러 모은다. 도시공학적인 측면에서 ‘신도심 불패’의 면모를 잃지 않는 셈이다.
그러나 문제는 30여 년 전 조성 당시에 머물러 있는 규제다. 시대변화에 맞게 재조정할 필요가 있다. 용적률 상향과 최고층수 제한 완화, 규제개혁과 발맞춘 도시개발 등을 통해 부동산 가치의 하락, 교통문제, 상권 약화, 세종시 등으로의 인구유출 등을 막고 새로운 바람을 불어넣어야 한다. 신도시 전체는 물론 낡고 오래된 아파트의 공간 활용률을 정책적으로 높여야 할 때가 된 것이다.
정부(국토교통부)도 올 초 대전 둔산지구를 포함한 이른바 1기 신도시 재정비를 위한 ‘노후계획도시 정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의 주요 내용을 공개했다. 대전시도 이에 따라 둔산지구 지구단위계획 변경을 위한 연구용역을 진행한다고 밝힌 바 있다. 대전시장과 서구청장 선거에 출마한 후보들도 저마다 ‘둔산동 르네상스’를 외쳤다. 모두가 둔산지구 재개발의 필요성에 공감하는 것이다.
호기가 왔다. 신도심 재개발은 부지런히 노력해도 10년 이상의 시간은 필요하다는 게 정설이다. 대전시의 선도적 행정절차와 서구청 등의 협력이 어우러지지 않는다면 둔산 신도시 재개발은 요원해질 수밖에 없다. 오래된 신도시 둔산의 상향평준화가 요구되는 시점이다.
황해동 대전일보 뉴스3팀장/부국장
- #대전서구
- #소식
- #서구소식
- #10월소식
- #대전둔산동
- #오래된신도시
- #신도심
- #원도심
- #둔산신도시
- #대전서구소식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