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농🌱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까?

귀농첫걸음💚

🤷귀농인이란?

농촌 이외의 지역에서 1년이상 다른 산업분야에 종사하였거나

종사하고 있는 자로서 농업을 전업으로 하거나 농업에 직접 종사하면서

농업과 동시에 이와 관련된 농식품 가공·제조·유통업 및 농촌비즈니스를 겸업하기 위해

'농촌지역' 으로 이주하여 농업에 종사하고 있거나 하고자 하는자

🌱귀농단계별 실천사항🌱

귀농 정보를수집하자!

✅STEP1 귀농결심단계

충분한 시간적 여유를 가지고 귀농문제를 신중하게 생각하고

필요한 정보를 수집한 후 자심감과 확신이 생길때 귀농에 대한 결심을 해야한다.

농업관련 기관과 단체, 농촌 지도자, 선배 귀농인을 방문하여 필요한 정보를 수집합니다.

(홈페이지, 관련 우수사례, 상담 전화)

가족들과의 충분한 의논

✅STEP2 가족동의단계

가족들과 귀농결심에 대한 충분한 의논 후에 동의를 얻습니다.

귀농은 새롭게 적응하고 해결해야 할 문제가 수반된다.

때문에 귀농을 결심할 때 일단 아내와 자녀들을 설득하여 동의를 얻어내야 한다.

어떤 작물을 기를까?

✅STEP3 작목선택단계

농사는 자본회수기간이 길고, 농지구입 및 생산시설을 마련하는데

많은 자본이 소요되며 고도의 영농기술이 필요 하기 때문에

자기의 경영능력과 자본을 고려하여 작목을 신중하게 선택해야 한다.

자신의 여건과 적성, 기술수준, 자본능력 등에 적합한 작목을 신중하게 선택합니다.

(품목별 출하지역, 재배 적지, 관련 우수사례)

영농 기술을 습득하자!

✅STEP4 영농기술습득단계

대상작목을 선택한 후에는 그에 관한 영농기술을 관련 교육기관에서 실시하는

귀농자 교육 프로그램이나 또는 귀농에 성공한 농가 견학,

현장체험들을 통해 충분히 영농기술을 배우고 익혀야 한다.

(귀농귀촌 자체교육, 온라인 교육, 오프라인 교육정보, 작목 종합정보, 관련 우수사례)

어디서 정착할까?

✅STEP5 정착지물색단계

자녀교육등 생활여건과 선정된 작목에 적합한 입지조건이나

농업여건 등을 고려하여 정착지를 물색하고 결정해야 한다.

자녀교육 등 생활여건과 선정된 작목과 적합한 입지조건과

농업여건 등을 고려하여 정착지를 물색하고 결정합니다.

(재배 적지, 웰촌, 관련 우수사례)

주택과 농지를 확인하자!

✅STEP6 주택 및 농지구입 단계

주택은 신축할 것인가 아니면 기존주택을 구입할 것인가.

신축할 경우 주택의 규모와 주택 형태를 어떻게 할 것인가 등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을 세워야 한다.

농지도 임차할 것인가? 아니면 직접 매입할 것인가를 결정한 뒤 최소 3-4군데를 골라 비교해 보고 선택해야 한다.

(농지 은행, 빈집 정보, 지원 정책)

영농계획을 수립하자!

✅STEP7 영농계획수립단계

합리적이고 치밀하게 자신있는 작목, 가격변동이 적은 작목, 영농기술과 자본이 적게 드는 작목을 중심으로

영농 계획을 수립하여 귀농 첫 해의 어려움을 피해 나가도록 하는 편이 좋다.

농산물을 생산하여 수익을 얻을 수 있을 때까지 최소 4개월에서

길게 4~5년정도 걸리므로 초보 귀농인은 가격변동이 적고,

영농기술과 자본이 적게 드는 작목 중심으로 영농계획을 수립합니다.

(작목별 농작업일정, 농산물 소득정보, 관련 우수사례)

예산군농업기술센터와

귀농 첫걸음! 함께해요🥰


{"title":"🌱귀농🌱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까? 귀농첫걸음💚","source":"https://blog.naver.com/yesan-farm/223879141742","blogName":"예산군 귀..","domainIdOrBlogId":"yesan-farm","nicknameOrBlogId":"예산군농업기술센터","logNo":223879141742,"smartEditorVersion":4,"meDisplay":true,"lineDisplay":true,"outsideDisplay":true,"cafeDisplay":true,"blog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