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일 전
울산~양산~부산 광역철도 건설이 확정되었습니다!
울산~양산~부산 광역철도 건설이 확정되었습니다.
국가 예비타당성조사를 최종 통과하게 되어
사업 추진이 본격화되는데요.
자세한 내용, 확인해 보세요!
🚆
울산~양산~부산 광역철도 건설 확정
울산, 부산, 경상남도 3개 시·도가 국토교통부와 함께 한뜻으로 추진한 광역철도 사업이 국가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함에 따라 건설이 최종 확정되었습니다.
이번 사업은 총 사업비 2조 5,475억 원이 투입되며 오는 2031년 개통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사업 노선은 총 연장 47.6Km로, 케이티엑스(KTX) 울산역을 출발해 무거, 양산 웅상, 부산 노포역까지 총 11개 정거장을 잇게 됩니다.
전 구간의 운행 시간은 약 45분 정도 소요되며 하루 35회 운행될 예정인데요.
사업개요
위치 |
울산(KTX울산역)~양산(웅상)~부산(노포) |
사업내용 |
L=47.6㎞, 정거장 11개소, 단선전철(AGT-철제차륜) |
사업기간 |
2021년 ~ 2030년 |
총사업비 |
25,475억 원 [국 17,833, 지방 7,642(울산 4,495 정도)] |
울산에는 케이티엑스(KTX) 울산역, 유니스트, 범서, 무거, 울주군청, 웅촌 등 총 6개 정거장이 들어설 예정이며, 경전철(AGT) 차량이 도입됩니다.
이 중 케이티엑스(KTX) 울산역~무거 구간은 반복(셔틀)형 열차로 별도 1일 16회가 추가돼 총 51회가 운행됩니다.
배차 간격은 15~20분, 소요 시간은 15분 안팎으로 시민 체감도가 높은 교통 서비스가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특히 이번 광역철도는 트램 1호선 종점인 무거 신복 정거장과 직접 연결되며, 향후 추진될 트램사업인 남북축 2호선과 동구로의 3호선, 원도심 4호선과 연계해 도심과 외부를 잇는 철도 중심 교통 체계가 본격화될 전망입니다.
울산시는 교통망 확충을 넘어 지역 경제 활성화 효과도 기대하고 있는데요.
건설·운영 과정에서 약 5만 명의 고용 창출이 예상되며, 역세권 중심 도시재생과 상권 활성화에도 긍정적 파급이 예상됩니다.
향후계획
‘25. 下~’26년 |
기본계획 수립 |
‘26년~’27년 |
기본 및 실시설계 |
‘27년~’30년 |
공사 시행 (*31년 개통) |
※기본계획, 설계 단계 등 행정절차에 따라 사업 기간 변경될 수 있음 |
또한, 케이티엑스(KTX) 울산역 인근의 역세권 도시개발사업, 복합 특화 단지 사업, 도심 융합 특구와, 범서읍의 선바위 공공 주택 지구, 웅촌면의 남부권 신도시 등 주요 개발사업도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입니다.
울산시는 부산·경남과 함께 2027년까지 기본계획 및 설계를 마무리하고, 2030년 공사 준공, 2031년 개통을 목표로 속도감 있는 행정에 나설 계획임을 밝혔습니다.
이번 예비타당성 조사 통과는
울산의 광역교통 구조를 근본적으로 바꿀 수 있는 전환점이기도 합니다.
도시 내부는 트램으로, 외부는 광역철도로 연결되어
제2의 도약을 준비하는
울산의 생명선 역할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꾸준한 지역 발전을 위해 노력하는 울산시가 되겠습니다.
🚉
- #울산
- #울산시
- #광역철도
- #울산광역철도
- #울산양산부산
- #부울경광역철도
- #부울경철도
- #국토교통부
- #울산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