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최초로 쌀 산업특구로 지정된 곳이자 한강을 기반으로 하는 도시가 있습니다. 저도 쌀이 좋기로 유명한 곳이라는 말은 많이 들었는데요. 아직 가보지는 못했습니다. 옛날에는 여흥이라고도 불렸으며 황려라고도 불렸던 지역입니다.

현재의 여주시 상동에 소재한 영월루 근처에 마암(馬巖)이라는 기암괴석이 있는 바, 그 마암 꼭대기에 암혈(巖穴)이 남아 있다고 합니다. 이곳에는 후삼국시대에도 있었던 호족이 있었는데 신라 후대에 성장했던 가문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들을 지금의 여흥 민씨의 시작이라고 보고 있는 것입니다. 민 씨의 본관으로 현대까지 전해지는 것은 여흥(驪興) 하나뿐이며, 여흥은 현재의 경기도 여주시를 달리 이르는 말이라고 합니다.

여흥 민씨는 조선시대에 확실하게 두각을 드러냈는데, 특히 왕비집안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드라마나 역사 속에서 여러 번 등장했는데 조선 왕비만 네명씩이나 배출해 낸 정의공파가 잘 알려져 있습니다. 태종 이방원을 왕위에 올리는데 큰 역할을 했던 원경왕후와 숙종의 비였던 인현왕후, 고종의 비였던 명성황후, 순종의 비였던 순명효황후가 대표적인 여흥 민씨입니다.

여흥 민씨에 대해 먼저 읽어봅니다. 3대에 걸쳐 무려 7명의 효자를 연이어 배출하였음을 이르는 말이 이곳에 있는데요. 민평, 민환 형제와 민평의 아들 민광신, 민광민 형제 및 민광민의 아들 민원중, 민경중, 민응준을 기리는 비와 전각이 세워져 있어 그 흔적을 살펴볼 수가 있습니다.

인구수로만 본다면 많지는 않을 수 있으나 지역마다 여흥 민씨는 그 흔적을 남기고 있습니다. 대전 유성구에 가면 여흥 민씨의 사당이 자리하고 있어서 대전에도 여흥 민씨의 집성촌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대전을 대표하는 성씨에는 회덕 황씨, 은진 송씨, 광산 김씨, 여흥 민씨 등이 있습니다. 이 지역을 기반으로 활동했던 다른 집성촌들도 있지만 역사 속에서 많이 등장했던 사람들 위주로 기억이 될 수밖에 없습니다. 여흥 민씨의 경우 임진왜란 이후에 집중적으로 대전지역에서 세거를 하기 시작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곳이 여흥 민씨의 사당이자 그 후손들이 머물렀던 곳이기도 합니다. 가문이 어떻게 기억되느냐는 사람에 따라서 시대에 따라서 달라질 수가 있습니다. 그 시대에 보는 관점은 계속 바뀌어가기 때문입니다.

여흥 민씨의 세거지*를 알리는 비가 그 입구에 세워져 있습니다. 이곳은 안쪽에 있어서 아는 사람이 아니면 있는지도 모를 수가 있습니다. 저도 대전에 정말 오래살았는데요, 여흥 민씨 사당에는 처음 찾아가보았습니다.

*세거지: 집성촌, 동족 부락, 동족 촌락과 거의 유사한 의미로 사용

가옥의 앞에는 정원이 잘 조성되어 있어서 돌아보면 기분이 좋아집니다. 다양한 수목과 꽃들이 계절에 맞게 피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지금은 온 마을이 같은 성을 가진 일가친척 관계의 촌락은 더 이상 찾아보기 어렵지요. 특정 성씨가 마을 공동체를 결속시키고 지역성을 형성하는 데 크게 관여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특정 성씨가 마을의 이름이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대전 대덕구의 송촌동과 같은 곳이 대표적인 집성촌으로 이름이 만들어진 곳이기도 합니다. 대전의 옛 이름을 살펴보면 그런 곳이 더 있을 겁니다.

수국의 색깔이 변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계절이 변화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화사하게 피어 있는 꽃들을 감상하면서 옆으로 조금 더 걸어 들어가면 사교루가 나옵니다.

숙종의 비이기도 했던 인현왕후의 아버지인 민유중이 자손을 공부시키기 위해 지은 강학 공간이 사교루입니다. 사교라는 한자는 논어의 문행충신에서 나온 말이라고 합니다. 그 뒤 민유중의 차남 민진원이 중수하고, 루 명을 송시열로부터 '사교'라 지어 받았다고 합니다. 그 뜻은 문학과 수행하는 방법을 가르쳐서 충의스럽고 진실한 인간이 되게 함이라 합니다.

나와는 다른 삶을 살았지만 옛 사람의 흔적을 살펴보는 것은 그만큼 현재와 미래를 보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라고 하는데요. 한 가문의 공간이지만 역사적인 의미를 찾아볼 수 있는 사당이었습니다.

{"title":"유성에 남겨져 있는 여흥 민씨의 사당과 성씨 이야기","source":"https://blog.naver.com/storydaejeon/223123205984","blogName":"대전광역시..","blogId":"storydaejeon","domainIdOrBlogId":"storydaejeon","logNo":223123205984,"smartEditorVersion":4,"meDisplay":true,"lineDisplay":true,"outsideDisplay":true,"cafeDisplay":true,"blog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