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동구 관내에 거주하든 아니든

지역의 명칭에 대해

궁금한 분들이 많을 거라 여겨집니다.

그래서 이를 조금이나마

해소해드리려고 각 동(법정동)을

돌아보며 소개하는 내용을

시리즈로 엮었습니다.

한 해를 마무리하는 12월입니다.

그동안 남동구 관내 11개 법정동을

소개해드렸습니다.

이번에는 마지막으로

고잔동(古棧洞)을 소개하겠습니다.

고잔동은

‘곶(땅이 바다 쪽으로 돌출되어

뾰족하게 된 모양의 지형)의 안쪽’이라는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20세기부터의 역사를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914년 04월 01일에는 ‘부천군 남촌면 고잔리’,

1940년 04월 01일에는

‘인천부 남동면 일향정(日向町)’

불리었습니다.

광복 후(1946년 01월 01일)에는

‘인천부 남동면 고잔동’,

1949년 08월 15일에는

‘인천시 남동면 고잔동’이 되었습니다.

이후 인천시가

경기도에서 독립해

직할시로 승격한 이후

(1981년 07월 01일)에는

‘인천직할시 남구 고잔동’이 되었습니다.

그러다가 남동구가

남구에서 분리되어 자치단체가

만들어진 때(1988년 01월 01일)에는

‘인천직할시 남동구 고잔동’이 되었고,

지방자치제 실시 후 광역시로

변경한 후(1995년 03월 01일)에

‘인천광역시 남동구 고잔동’이 되어

지금에 이르렀습니다.

현재 행정동은

논현동의 일부 지역과 함께

논현고잔동이 되어 있습니다

(2009년 07월 20일 ~).

고잔동은 과거

아주 작은 마을이었습니다.

그러던 곳이 지금은 신도시로 변해

주거기능과 공업지구 기능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웃지역인 연수구와 연계해

송도신도시의 갯벌과도

이어져 자원이 풍부한 지역이라고도

할 수 있겠습니다.

이와 관련해 저어새의 고장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저어새 섬

남동구와 연수구의 경계가 되는

하천은 바로 승기천입니다.

이 하천의 하류에는

남동유수지가 있습니다.

그리고 그 너머에는

송도국제도시가 있습니다.

송도갯벌은 과거 소래갯벌까지

연결되어 있었고

새들의 천국이었습니다.

그러던 곳이 이제는 소래갯골만

남은 상태입니다.

유수지 내에서 눈에 띄는 게

바로 저어새섬입니다.

섬이 두 곳이기에 어느 게

저어새섬인지 고개를

갸우뚱하실 수 있겠습니다.

이런 궁금증을 풀기에 앞서

현장 주변부터 소개하겠습니다.

이후에 부대시설, 저어새섬과 거기에

서식하는 새를 소개하겠습니다.

유수지 앞 도로(능허대로) 옆에는

공원이 있습니다.

공원에 입구에 들어서자마자

눈에 띄는 광경 중 하나는

화판에 그려둔 캘리그라피

전시물입니다.

학생들이 종의 유지(보존)를

바라는 마음을 담아두었기 때문입니다.

이 전시물은

저어새생태학습관 앞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앞서 언급한 대로,

섬은 모두 두 곳 모두 저어새 섬입니다.

이 중 좌측은 큰 섬,

우측은 작은 섬입니다.

두 곳 모두 인공섬입니다.

이곳에 저어새가

서식하기 시작한 때는 2009년입니다.

이곳에는 저어새는 물론,

다양한 철새와 텃새도

서식하고 있습니다.

주변의 송도갯벌이나

소래갯골에는 모두 79종이 서식합니다.

이 중 저어새섬에 65종이 있습니다.

이곳이 중요한 이유는

저어새를 육지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서

볼 수 있다는 점입니다.

광장 일대에는 탐조대가 있습니다.

학습관 앞과 유수지 정류

(면허시험장 방향) 근처에 있습니다.

탐조대에서는 망원경을 통해

섬을 자세히 관찰할 수 있습니다.

이 망원경은 저어새생태학습관에서

임대해줍니다.

이곳에는 저어새생태학습관

(남동구 능허대로562)도 있습니다.

이곳에서는 어떤 일을 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학습관에서는

학생과 일반인들을 대상 단체를

대상으로 교육 실시합니다.

내용은 조류 생태환경교육입니다.

저어새를 위한 각종 행사도 진행합니다.

이는 학습관 앞 광장에서 합니다.

가장 먼저 둥지정비

(매년 2월말 ~ 3월초)를 합니다.

이어서 환영잔치는 매년 3월,

생일잔치는 매년 5월,

그리고 환송잔치는 매년 11월에 합니다.

또한, 사진전도 매년 11~12월

학습관과 동막역에서 실시합니다.

(11 ~ 12월 학습관 광장, 동막역).

구분

구체적 사항

운영기관

인천광역시

건물 구조

1층 사무실 / 2층 학습관

교육대상 및 방법

일반 또는 학생 단체(예약 필수)

소재지 주소

인천광역시 남동구 능허대로562

전 화

032-818-3255

홈페이지

https://bfs-ecocenter.kr

이메일

bfsecocenter@daum.net

주차 시

유의사항

주차장 없음, 대중교통 이용

업무시간

월 - 토 09:00 – 18:00

휴관일

공휴일 및 대체공휴일, 관장이 정한 날

직원 점심시간

12:00 – 13:00

저어새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모두 6종

(저어새, 노랑부리저어새,

검은턱 저어새, 호주 저어새,

아프리카저어새, 분홍저어새 등)으로,

이 중 우리나라에서는 2종이 서식합니다.

저어새와 노랑부리저어새인데,

서식 시기는 각각 여름(3월 ~ 10월)과

겨울(10월 ~ 3월)입니다.

저어새는 겨울에 대만,

홍콩, 베트남 등에서 보냅니다.

또한 천연기념물 제205호

(저어새 제205-1호, 노랑부리저어새

제205-2호)로 지정되어있습니다.

아주 귀한 문화유산이므로

잘 보전해 후손들에게

남겨줘야 되겠습니다.

저어새에 대한 여러 가지 정보는

연수구에 있는 동춘역 2번 출입구와

학습관 광장 입구(공원 입구)에서도

얻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곳에는 주차장이

없다는 점을 참고하면 좋겠습니다.

- 시내버스 -

▷ 유수지(39010, 능허대로,

남동국가산단 방향)

- 간선 : 3-2, 35, 65.

▷ 유수지(39011, 능허대로, 동막역 방향)

- 간선 : 3-2, 35, 65.

- 철도 -

※ 주변 지하철역 :

▷ 인천지하철 1호선 동막역 하차 :

- 2번 출입구 도보 약 10분

(남동국가산단 방향).

- 개인용 차량(주변 고속도로) -

※ 주변 고속도로

유수지 내에는 별도의 주차장이 없음.

▷ 제2경인선

- 남동IC에서 남동공단 방향 진출 후

남동대로 직진, 고잔사거리

(바이오산업교 아래)에서 우회전,

능허대로559번길 입구 정차

유수지와 저어새섬.


이번에는 고잔동을 소개해드렸습니다.

고잔동은 남동구에서

작은 마을이었습니다.

그러다가 논현동의 발전과 함께

성장했습니다.

여기에 송도신도시와

소래의 갯벌 사이에

펼쳐진 갯벌은 새들의 천국이 되었습니다.

이후 새로이 유수지도 만들었습니다.

이런 곳에 천연기념물인

저어새도 서식한다는 것도 흥미롭고,

긍지가 있습니다.

겨울이 지나고 저어새가 되돌아올 때

저어새섬을 둘러보는 것은 어떨까요?

지금까지 박종형 기자였습니다.

※ 참고사항 1. : 정류장 명칭에 기입한 5자리 숫자는 정류장 ID를 의미함.

※ 참고사항 2. : 버스노선은 12월 1일 기준임. 이후 바뀔 수 있음.

※ 참고사항 3. : 간선35번, 간선65번은‘현금 없는 인천버스’ 적용노선임.

※ 이 글은 남동구 블로그 기자단이

직접 작성한 글로

남동구청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남동구 공식 블로그에 있는

남동샘터 기자단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 보호를 받은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은

민형사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블로그/카페로 스크랩을 원하실 경우

링크와 출처를 표기해 주시길 바랍니다.

{"title":"내 고장에 대해 알아보자!- 고잔동 편","source":"https://blog.naver.com/namdongdistrict/223305717505","blogName":"남동구청","blogId":"namdongdistrict","domainIdOrBlogId":"namdongdistrict","logNo":223305717505,"smartEditorVersion":4,"meDisplay":true,"lineDisplay":true,"outsideDisplay":false,"cafeDisplay":true,"blog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