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왕조 화산이씨의 충효당

베트남 왕조 유적지 ”베트남 마을 조성“

전국에서 가장 많은 정자를 보유하고 있는 봉화이지만 충효당은 특별한 베트남 왕조 후손의 정자입니다.

현재 베트남 마을 조성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곳으로 얼마 전 방한 했던 응우옌 쑤언 푹 베트남 주석도 협력과 협조를 하기로 했습니다.

베트남 마을 조성사업의 중심은 베트남 왕조 후손인 화산이씨 집성촌입니다. 화산이씨는 조정에서 하사하였으며 12세기 생긴 귀화 성씨로 시조는 베트남 리(LY) 왕조(1009~1226)의 마지막 왕자인 리롱떵(이용상)입니다.

이 당시 베트남 국명은 ”대월”이였던 시기에 제6대 황제 영종의 7남 이용상이 태어났습니다. 베트남 최초의 통일왕조로 장기집권한 리(LY) 왕조가 쇠락하기 시작하고 이용상의 조카 제8대 혜종이 황제에 오르고 1210년 왕조의 외척이었던 “진수도“가 국정을 대리운영 하면서 혜종의 딸을 임금에 앉히고 자신의 조카와 혼인을 시켜 왕위를 남편에게 넘기도록 하는 방식으로 역성혁명이 일어나 이씨가문의 후손들은 대부분 멸족을 당하였습니다.

이용상(리롱떵)왕자는 1226년 리왕조가 멸망하자 베트남을 탈출 고려로 오던 길에 해적에게 잡힌 고려인을 구출했는데 그 공을 인정 화산군으로 봉해지고 국내에서 이용상이라는 이름으로 정착하게 되었습니다.

이용상은 고려 때 외적의 침입에 맞서 이국땅에서 싸웠었고 13대 후손 이장발(1574~1592)은 19세 나이로 왜적과 싸우다 문경세재에서 전사, 그 애국심을 기려 충효당을 세웠다고 합니다.

이장발은 어려서부터 재질과 의지가 굳어 공부에 열심히 하였고 효성이 남달랐다고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편모슬하의 가장이면서도 모친의 허락을 받아 정쟁터로 달려가 혈전 끝에 전사하자 공조참의에 증직 되었고 이장발은 죽기 전 ”나라를 걱정하여 몸은 죽지만 부모님 생각에 혼은 오리라“는 시를 남겼습니다.

충효당은 봉화군 봉성면 창평리 문수산 서쪽에 자리잡고 있으며 1750년경 후손과 유림에서 충효정신을 기리기 위해 건립하였으며 전면 4칸 측면 2칸반 규모의 팔작지붕인데 평면은 2칸 대청을 중심으로 좌우로 온돌방을 둔 중당협실형으로 되어 있습니다.

흙 돌담에 기와를 쓴 정갈하게 단장한 담장에 사주문이 있고 종택 쪽으로 좌측의 협문으로 들어갈 수 있습니다.

고개 들어 쳐다보는 정자는 세월의 정취가 정겨움으로 다가오고 유난히 큰 충효당 현판이 근엄하게 내려다보는 마루청에는 이장발의 순절시 편액과 충효당기의 기문 편액이 있고 아래쪽 벽에 꽃을 조각한 화반을 장식으로 특별한 모양이 있으며 ,웅장하거나 위압적이지 않고 단출하며 화려하지도 않으면서 중후한 품격으로 고고한 옛 멋을 흠씬 풍깁니다.

뒷산은 짙푸른 숲이 우거져 있고 충효당 좌측 뒤쪽에 충효당 비각 ”충효당 화산이공 유허비“로 이장발의 충효정신을 기리기 위해 세웠습니다.

충효당 좌측으로 ”군자의 도리를 지키는 집“이란뜻을 가진 정복헌(석거고헌)이란 종택으로 ”석거고헌“은 석거선생이 살던 ”옛 사랑채“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석거는 화산이씨 11대조의 호라고 합니다

봉화군이 베트남 마을을 조성하려는 곳이 바로 충효당 일대이며 베트남 전통마을과 리왕조 유적지 재현공간, 연수, 숙박, 문화 공연장등을 조성할 계획입니다.

이장발선생의 뒤끝을 더듬으며 베트남 리왕조 흥망성쇠의 이치를 새겨보고 충효당앞에서 숙연한 마음으로 베트남 마을을 기대해 봅니다..

#충효당 #베트남마을 #봉화정자 #봉화여행 #이장발 #이용상 #화산이씨

{"title":"[ 2023 봉화군청 서포터즈 ] 베트남 왕조 화산이씨의 충효당","source":"https://blog.naver.com/bonghwagunchung/223139116480","blogName":"봉화군 공..","blogId":"bonghwagunchung","domainIdOrBlogId":"bonghwagunchung","logNo":223139116480,"smartEditorVersion":4,"meDisplay":true,"lineDisplay":true,"outsideDisplay":false,"cafeDisplay":true,"blog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