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대한민국의 제헌절입니다. 제헌절은 1948년 7월 17일 제헌 국회가 최초로 대한민국 헌법을 공포한 것을 기념하는 날이죠. 3.1절, 광복절, 개천절, 한글날과 함께 5대 국경일로 지정돼 있는데요. 국경일은 나라의 경사가 되는 기쁜 날로, 지난 2007년까지는 국경일법에 따라 법정공휴일로 기념해 왔지만 주 5일제가 시행되면서 식목일과 함께 법정공휴일에서 제외되었답니다.

제75회 제헌절을 맞은 오늘은 우리나라 제헌절의 뜻과 의미를 다시금 되새겨보고 다른 나라에도 우리나라의 제헌절과 같은 날이 있는지?를 알아보려 합니다.


대한민국의 제헌절 | 제헌절과 헌법의 의미

앞서 알아본 것처럼 제헌절은 대한민국 최초의 헌법이 제정·공포된 것을 기념하는 날입니다. 헌법은 국가 최고의 규범으로 국민의 자유와 권리를 보장하는 근본이 되는 법인데요. 인권, 평등권, 행복추구권, 국민의 의무 등에 대한 내용이 담겨 있는 만큼 우리의 일상과 가장 밀접한 법이라고 보기도 합니다.

우리는 평소 대한민국이 ‘민주주의 국가’이며, ‘법치국가’라는 사실이 너무도 당연한 나머지 까맣게 잊어버리곤 하는데요. 제헌절은 우리가 평소 느끼지 못하는 사이에도 우리를 보호해 주고 있는 헌법의 가치와 의미를 되새겨보는 소중한 날입니다.


미국의 제헌절(Constitution Day)

다른 나라에도 제헌절이 있을까? 정답은 YES입니다. 미국은 영국으로부터 독립한 다음 헌법에 기초하여 대통령제와 삼권분립 정치체제를 창조했는데요. 미국에서는 1787년 9월 17일 필라델피아에서 헌법안을 채택한 날을 기념하여 ‘Constitution Day’라고 불리는 제헌절을 기념하고 있습니다. 미국 헌법은 본래 7개 조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정부의 국가적 틀과 제약을 기술하고 있는데요. 미국 헌법은 오늘날 세계에서 시행되는 가장 오래되고 가장 오래 지속되는 서면 및 성문화된 국가 헌법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일본의 헌법기념일(憲法記念日)

일본의 헌법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연합국의 일본 점령 하에서 미국 민간 관리들에 의해 작성되었습니다. 현행 일본 헌법은 1946년 11월 3일, 메이지 헌법의 개정안으로 공포되어 1947년 5월 3일부터 신 헌법이 시행되었는데요. 일본의 제헌절이라 불리는 헌법기념일은 5월 3일로, 우리나라와 달리 헌법이 공포된 날이 아닌 헌법이 시행된 날을 기념하고 있습니다.

일본은 미국과 마찬가지로 제헌절을 국경일이자 공휴일로 정하고 있습니다. 일본의 제헌절은 쇼와의 날, 숲의 날, 어린이날 등 다른 연휴와 합쳐져 대형 골든위크를 만들기 때문에 이 기간 동안 많은 일본인들이 국내 여행이나 해외여행길에 오르곤 합니다.


노르웨이의 제헌절(Grunnlovsdagen)

노르웨이 헌법은 지구상의 수많은 국가가 보유한 헌법 중 가장 자유롭고 민주적인 헌법 중 하나로 간주됩니다. 폴란드 헌법, 프랑스 헌법, 스페인 헌법에 이어 유럽에서 네 번째로 단일 문서로 작성된 국가 헌법이기도 하며, 미국 헌법 다음으로 세계에서 두 번째로 오래된 국가 헌법이기도 합니다.

노르웨이 헌법은 1814년 5월 16일에 채택되어 다음 날인 5월 17일에 서명되었습니다. 노르웨이에서는 헌법이 서명된 날을 제헌절로 기념합니다. 노르웨이에서는 헌법 제정일인 5월 17일이면 전역에서 수많은 깃발을 휘날리는 어린이 퍼레이드를 벌이며 축제 분위기로 이날을 기념하고 있습니다.


브라질의 제헌절

브라질의 제헌절은 11월 15일입니다. 브라질은 1967년 독재 헌법을 대체하여 21년간의 군부 독재를 끝내고 신공화국으로 알려진 6번째 공화국을 수립하며 민주주의로의 전환이 이루어졌습니다. 현행 브라질 헌법은 1822년 독립 이후 7번째, 1889년 공화국 선포 이후 6번째로 제정된 헌법입니다. 브라질의 제헌절은 1889년 11월 15일 브라질 제국이 끝나고 브라질 공화국이 선포된 날을 기념하는 날입니다. 이날은 법정 공휴일로 지정돼 있어 전국적인 휴식이 권장됩니다.


이 밖에도 호주, 아르헨티나, 벨기에, 캄보디아, 캐나다, 중국, 핀란드, 독일, 인도, 몰디브, 멕시코, 러시아, 스위스, 대만, 우크라이나, 우즈베키스탄, 바누아투 등등 세계 각국에서는 헌법의 서명, 공포, 채택을 기념하는 제헌절을 기념해오고 있습니다. 북한 역시 12월 27일을 제헌절로 지정하고 국경일이자 공휴일로 기념해 오고 있습니다.

한 나라의 정체성과 역사, 문화가 담겨 있는 법 중의 법 헌법! 국가의 탄생을 알리는 제헌의 가치를 되새겨보며 7월 17일인 오늘 태극기를 달아 마음으로 함께 우리나라의 국경일인 제헌절을 기쁜 마음으로 축하해 주세요.

{"title":"7월 17일 제헌절, 헌법이 공포된 날 | 다른 나라에도 제헌절이 있을까?","source":"https://blog.naver.com/osan_si/223155191154","blogName":"오산시 블..","blogId":"osan_si","domainIdOrBlogId":"osan_si","logNo":223155191154,"smartEditorVersion":4,"meDisplay":true,"lineDisplay":true,"outsideDisplay":true,"cafeDisplay":true,"blog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