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년 전
6월 6일 현충일 기억해야 할 역사와 태극기 다는 법
2023년 6월 6일은 제68회 현충일입니다. 현충일은 국토방위에 목숨을 바친 이의 충성을 기념하는 날인데요.
호국영령의 명복을 빌고, 호국정신과 위훈을 추모하는 날이기 때문에 태극기를 게양할 때는 깃봉에서 깃면의 너비만큼 내려달면 됩니다.
우리가 기억해야 할 현충일의 역사와 태극기 다는 법을 확인해 보세요.🔎
6월 6일 현충일
오는 6월 6일 현충일은 국토방위에 목숨을 바친 이의 충성을 기념하는 날입니다.
호국영령의 명복을 빌고 순국선열과 전몰장병의 숭고한 호국 정신과 위훈을 추모하는 기념일로서 국가 추념일인 것입니다.
자신을 바쳐 지금의 대한민국을 만들어 주신 것이라고 해도 무관한데요. 그분들의 숭고한 희생을 기리고 기억하는 하루를 보내시길 바랍니다.
6월 6일 현충일 유래
현충일이 6월 6일인 이유는 바로 1956년의 망종이었기 때문입니다.
농경사회에서는 보리가 익고 새롭게 모내기가 시작되는 망종을 가장 좋은 날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1956년 현충일 제정 당시 정부가 6월 6일을 현충일로 정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대한민국이 뿌리를 내리고 건재하길 바라는 의미로 그해의 망종이었던 6월 6일이 현충일이 된 것입니다.
6월 6일 현충일 태극기 게양법
6월 6일 현충일은 국토방위에 목숨을 바친 이의 충성을 기념하기 위한 법정공휴일입니다.
조의를 표하는 현충일에는 태극기를 국기 너비만큼 내려다는 조기로 달아주세요!
태극기가 바닥에 닿지 않을 정도로 최대한 내려서 달수 있도록 주의해 주시고, 심한 악천후로 국기의 존엄성이 훼손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달지 않고 날씨가 갠 후 달거나 내렸다가 다시 달아주시면 된답니다.
✅ 태극기 다는법
구분 |
◾ 국경일 및 기념일 ◾ |
◾ 조의를 표하는 날 ◾ |
태극기 다는법 |
깃봉과 깃면 사이를 떼지 않고 붙여서 달아줍니다. |
깃면의 너비(세로)만큼 내려서 달아야 합니다. |
다는 날 |
5대 국경일(3·1절, 제헌절, 광복절, 개천절, 한글날), 국군의 날 및 정부지정일 |
현충일, 국장기간, 국민장일 및 정부지정일 |
✅ 가정에서 태극기 다는 위치
밖에서 바라보아 대문(아파트 등 공동주택의 경우 각 세대의 난간)의 중앙이나 왼쪽에 답니다.
※ 주택구조상 부득이한 경우, 태극기 다는 위치를 조정할 수 있음 ※ 자녀와 함께 달 경우, 안전사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주의 ※ 아파트 등 고층건물에서는 강풍 등으로 난간 등에 단 태극기가 떨어져 사고로 이어지지 않도록 주의 |
선조들의 고귀한 희생으로 오늘날의 대한민국이 있을 수 있는 것인데요.
6월 6일 현충일에는 순국선열과 호국영령의 숭고한 희생정신을 되새기고 추모를 하며,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을 가질 수 있도록 해봅시다.
울산시도 함께 추모하고 나라사랑하는 마음을 되새길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 #울산
- #울산현충일
- #현충일
- #현충일유래
- #현충일국기게양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