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도는 한반도의 역사를 오롯이 담은

‘지붕 없는 박물관’이라는 말이 어울릴 정도로,

수많은 유적과 문화재를 간직하고 있습니다.

이번에 저는 그중에서도

강화 역사 여행으로 가볼만한곳인

고려 고종의 능인 강화 홍릉과,

몽골 침입을 견뎌낸 불멸의 방어선

강화산성 서문을 두루 돌아보는

탐방의 길에 올랐습니다.

강화 홍릉, 고려의 숨결을 따라 걷다.

강화 가볼만한곳 중 하나인 강화 홍릉은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국화리에 있는

고려 23대 왕 고종(1192~1259)의 무덤입니다.

고려 왕릉들은 대부분

현재의 북한 지역(개경)에 남겨져 있지만,

몽골의 침입 속에 왕실이 강화도로 수도를 옮기면서

이 시기에 서거한 왕과 왕후의 능만이

강화에 남아 있습니다.

이 중 홍릉은 대한민국에 있는

고려 왕릉 다섯 기 중 하나로,

1971년 사적 제224호로 지정되었습니다

홍릉은 고려산 중턱,

경사가 제법 된 곳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비교적 규모가 크지 않은 능이지만,

그 안에 깃든 시대의 사연은 깊습니다.

고려 말의 전란, 몽골의 침입과 천도,

왕권이 약화된 시대적 상황에서조차

왕실의 품격을 이어가려는

소박하면서도 절제된 미감이 느껴집니다.

왕릉은 3단 축대로 되어 있었고,

아랫단에는 정자각, 2단에는 인간 형상 석상,

맨 위에 무덤이 배치된 구조였습니다.

현재는 사람 모양의 석상 두 개와 원형의 봉분이

소박하게 자리를 지키고 있습니다.

무덤 주위를 감싼 소나무와 들꽃,

그리고 바람이 불 때마다

들려오는 산새 소리가 마치 왕의 영혼이

이곳에 아직 머물고 있는 듯한 아련함을 줍니다.

이곳에서 천년 전 고려 왕실의 비극과 영광

조용히 되새겨보는 시간이

잊지 못할 경험으로 남았습니다.

강화산성 서문,

시간을 거슬러 오르는 성곽길

홍릉에서 내려와 강화읍 방향으로 걷다 보면,

강화산성의 서문(첨화루) 일대가 가깝습니다.

강화산성은 1232년, 몽골의 침입을 막기 위해

축조된 고려시대 내성으로,

전체 둘레 약 7.1km에 달하는 웅장한 석축입니다.

그중 서문은 산성의 서쪽을 지키는 관문으로,

실제 성벽을 따라 걷다 보면

옛 방어의 요새다운 위용이 남아 있습니다

서문(첨화루)은 1711년(숙종 37)에 처음 세워져

오랜 풍파를 견뎠고,

1977년 깔끔하게 복원되었습니다.

산성 성곽길은 오랜 시간동안 내려앉은 흙과 이끼,

흩날리는 솔잎 위로 조용하게 이어집니다.

서문 일대에는 암문과 사거리 갈림길,

그리고 잘 정비된 나무 계단이 있어

산책이나 트레킹 코스로

가볼만한곳이기도 합니다.

강화의 역사, 발 아래에서 새로워지다

이번 강화 가볼만한곳 탐방은

한낮 이른 시간에 홍릉을 돌아보고,

산길을 걸어 강화산성 서문까지 이르는

도보여정으로,

걸음마다 과거와 현재가 겹쳤습니다.

고려 왕릉의 소박한 품격, 몽골침입을 막아낸

강화산성의 위엄이 어우러지는 길에서,

고요함 속에 웅크린 역사의 무게와 깊이를

다시 느꼈습니다.

강화 홍릉과 강화산성 서문은 많은 이들에게

널리 알려진 명소는 아니지만,

강화 특유의 역사적 아우라와 집중력을

오롯이 만날 수 있는 소중한 유적지입니다.

한적한 시간, 차분한 마음으로 걸으며

천년 고도의 땅을 밟아보기를 추천합니다.

<강화 홍릉, 강화산성 서문>

※ 본 게시글은 제13기 인천시 SNS 서포터즈 전현수님이 작성하였습니다.


{"title":"강화 역사 여행 가볼만한 곳! 고려 왕과 몽골의 방어선, 강화 홍릉 & 강화산성 서문 탐방!","source":"https://blog.naver.com/incheontogi/223946759747","blogName":"인천광역시..","domainIdOrBlogId":"incheontogi","nicknameOrBlogId":"인천시","logNo":223946759747,"smartEditorVersion":4,"lineDisplay":true,"outsideDisplay":true,"cafeDisplay":true,"blogDisplay":true,"me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