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광역시 중구, 이곳은 울산의 역사적 중심지로, 한때 울산 최초의 기차역과 급수정이 자리 잡고 있었습니다.

이번 여행은 단순한 관광을 넘어, 울산의 과거와 현재를 잇는 역사적 장소를 탐방하는 의미 있는 시간을 가져보려고 합니다.

울산 중구의 구 도심지 성남동에는 아직까지 기차와 관련된 모습을 쉽게 볼 수가 있습니다.

특히 시계탑 사거리에는 매시간 기차소리와 함께 시간을 알려주기도 하는데... 현재는 고장이 나서 아쉽게도 볼 수가 없어요.

울산큰애기도 역무원 옷을 입고 시계탑 사거리를 지키고 있는 모습을 확인하실 수가 있습니다.

경동선 울산역 급수탑 수원지가 있는 곳은 울산 젊음의 거리 내 위치하고 있습니다. 맨발의 청춘 길을 따라 아케이드가 설치된 길을 나가게 되면 쉽게 찾을 수가 있습니다.

이렇게 이정표가 곳곳에서 찾을 수가 있는데요. 만약 그래도 어디인지 모른다면?

젊음의 거리 내 경동선 비석을 찾아보세요. 이 비석을 따라 앞으로 보시면

인도 타일이 뭔가 떠오르시는 게 없나요?

기찻길을 타일로 표현해 놓은 것입니다. 이 타일을 따라가시면 쉽게 경동선 울산역과 급수정을 찾을 수가 있어요.

저도 사실 아무 생각 없이 지나다녔는데... 해당 타일이 경동선의 옛길을 표현해 놓은 것인지 이번에 알게 되었어요.

이 철로는 실제 기찻길을 그대로 만들었다고 하는데요. 거리 바닥에 그려진 철로가 가지는 의미와 역사에 대해 한번 알아봅시다.

울산 경동선의 흔적

1921년, 울산에 최초로 기차역이 설립되며 경동선이 개통되었습니다. 이 경동선은 대구에서 울산을 잇는 협궤 철로였으며, 울산의 발전에 큰 역할을 했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흘러 철로는 사라지고, 기차역도 이전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울산 중구는 이 철로의 역사를 잊지 않고, 거리 바닥에 철로를 그려 넣어 과거를 기억하고자 했습니다.

급수정의 역할과 구조

증기기관차가 운행되던 시절, 급수정은 기차 운행에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요소였습니다. 기차역 인근에 위치한 우물에서 물을 끌어올려 저장탱크에 보관하고, 기차가 도착할 때마다 이 물을 사용해 증기를 생성했죠. 이 과정에서 급수탑은 물을 저장하고 공급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이를 많은 이들에게 알리고자 하여 다시 복원을 하여 과거 경동선 울산역과 급수정이 있었던 자리를 만들었던 거죠.

현재는 포토존으로 재탄생하여, 과거의 흔적과 현재의 모습이 공존하는 독특한 모습을 볼 수가 있습니다. 울산 시계탑과 젊음의 거리를 거닐며, 울산의 숨겨진 역사를 알아보시는 것도 색다른 재미랍니다.

급수정의 우물의 모습도 볼 수가 있습니다. 정말 우물인지 확인을 해보니 아쉽게도 우물은 포토존을 위한 모형일 뿐 실제 우물은 아니랍니다.

울산 경동선의 역사를 논할 때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바로 증기기관차입니다. 1921년 울산에 첫 기차역이 생기며 경동선을 달리기 시작한 증기기관차는 당시 울산의 발전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습니다. 이 증기기관차는 시민들에게 교통수단을 넘어 울산의 산업화와 근대화를 상징하는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증기기관차의 작동 원리

증기기관차는 석탄이나 목재 같은 연료를 사용해 물을 끓여 만든 고압의 증기로 기관을 작동시키는 기차입니다. 이 증기의 힘으로 피스톤을 움직이고, 이 피스톤의 운동이 바퀴를 구동시켜 기차가 전진하게 됩니다. 증기기관차는 19세기와 20세기 초반에 걸쳐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었으며, 철도 교통의 발전에 큰 기여를 했습니다.

울산 경동선과 증기기관차

울산 경동선에서 운행된 증기기관차는 '꼬마기차'라 불리며 많은 사랑을 받았습니다. 협궤 철로 위를 달리는 이 작고 앙증맞은 기차는 속도가 매우 느려 달리는 기차에 뛰어오를 수도 있었다고 합니다. 이 증기기관차는 울산과 경주, 대구를 잇는 중요한 교통수단이었으며, 울산의 물자 운송과 인적 교류에 큰 역할을 했다고 합니다.

울산 중구의 젊음의 거리에 위치한 경동선 울산역 급수정 포토존에서는 증기기관차의 모형을 볼 수 있습니다. 이 모형은 과거 울산을 달렸던 증기기관차의 모습을 재현해 놓은 것으로, 방문을 하신다면 한번 살펴보세요.

벽화에는 증기기관차가 달리는 모습, 역을 오가는 사람들의 일상, 그리고 울산의 변화하는 풍경 등이 그려져 있어, 보는 이로 하여금 과거로의 시간 여행을 가능하게 합니다.

마치 그 시절의 울산역에 방문한 것만 같죠? 추가로 성남동 일대에는 과거로의 여행을 즐길 수 있는 공간들이 많이 있는데 근처 고복수 음악관에도 한번 방문해 보는 것도 좋은 선택이랍니다.

이렇게 울산 중구의 다른 역사적 장소와 연계된 여행을 계획한다면, 울산 경동선과 관련된 젊음의 거리를 꼭 한번 걸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울산 #울산광역시 #울산중구 #울산광역시중구 #울산중구청 #울산광역시중구청 #경동선울산역 #울산최초의기차역 #급수정

{"title":"최초의 기차역, 경동선 울산역과 급수정","source":"https://blog.naver.com/usjunggu/223394842269","blogName":"울산광역시..","blogId":"usjunggu","domainIdOrBlogId":"usjunggu","logNo":223394842269,"smartEditorVersion":4,"meDisplay":true,"lineDisplay":true,"outsideDisplay":true,"cafeDisplay":true,"blog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