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년 전
공주시 소재의 마애불 3구를 소개합니다!
공주시 소재의
마애불 3구 소개
여러분은 마애불(磨崖佛)을 보신 적이 있으신가요? 마애불은 천연 암벽에 부조나 선각 등으로 새긴 불상을 말하며, 대표적으로 백제시대의 작품으로 알려진 서산마애삼존불을 들 수 있지요. 우리나라의 마애불은 국보 28점과 경주 남산불적에 마애불군이 있는 것 외에 태안마애불, 신선사 석굴의 미륵삼존불 등 전국 각지에 분포되어 있다고 해요.
공주에는 현재 4구의 마애불이 확인되고 있는데요, 금학동 소재의 '묘암사' 법당 안에 있는 마애불은 확인하지 못해서 오늘은 3구의 마애불만 소개해 볼까 합니다.
금학동 일락산 마애지장보살입상
첫 번째로 소개할 공주시 소재의 마애불은 '금학동 일락산 마애지장보살입상'입니다. 공주시청 정문에서 왼쪽 골목으로 들어가다 보면 공주교육대학교 후문이 나오는데요, 그곳에서 우회전해서 위쪽으로 오르면 공용주차장이 나옵니다. 공영주차장 뒤편으로 보이는 산이 '일락산(해지개;日落山)'이에요. 일제강점기에는 일본의 몰락을 의미한다고 하여 우리나라의 쇠망을 내포한 '월락산(月落山)'으로 바꿔 부르기도 했다고 해요. 해방 이후에야 원래의 이름을 되찾았다고 하네요.
그 일락산 자락에는 50~60여 년 전에 조성됐다는 '묘암사'라는 암자가 자리해 있습니다. 그 묘암사 법당 안에는 마애지장보살이 모셔진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암자 관계자를 만나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라 아직 내부를 돌아보지는 못하고 있습니다. 오늘 소개하고자 하는 '금학동 일락산 마애지장보살입상'은 그곳에서 서쪽으로 150m쯤 되는 거리에 있습니다.
묘암사를 둘러보지 않으실 분들은 공주교육대학교 '사제동행상'이 보이는 뒤편에 조성된 '명상의 숲길'을 이용해 주세요. 이정표를 따라가면 약 200m 거리에 있는 마애불을 더욱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일락산 중턱쯤에 도착해 대나무숲에 둘러싸인 마애지장보살입상을 처음 발견하고는 '아니! 어떻게 이런 곳에 마애불이...' 얼마나 놀랍고 가슴이 벅차던지요. '금학동 일락산 마애지장보살입상'이 처음 발견될 당시에는 조선 성종 때인 1470년대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어 주목받았는데요, 이후 정밀 감식 결과 근·현대에 가까운 시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확인되어 시·도 문화재로 지정되지는 못했다고 해요.
제작 연대는 오래되지 않았지만, 일락산 마애지장보살입상은 세부적인 형태는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마멸이 심한 상태였습니다. 다행히 마애불 앞에 문화재 지정을 앞두고 설치해 놓은 듯 보이는 안내문이 있어 잠시 살펴보며 참고할 수 있었어요.
일락산 마애지장보살입상(日落山 磨崖地藏菩薩立像)
비지정
공주시 봉황동 373번지
높이:94cm 감실: 높이 126cm, 너비 58cm, 깊이 약 3~5cm
천연 암벽에 장방형의 감실을 만들고 그 안에 음각으로 새긴 조선시대의 지장보살입상이다. 민머리에 손에는 석장을 들고 있어 지장보살임을 알 수 있으며 연화대좌 위에 서 있는 모습이다. 머리에는 광배가 있으며 마애불의 오른쪽 윗면에는 ""大慈回向成化□年中秋"라는 명문이 새겨져 있다고 하나 확인은 어렵다. 1m에 가까운크기에 바위에 새긴 석장을 든 조선시대의 지장보살입상으로서 중요한 작품이다.이곳에서 150m 떨어진 묘암사라는 작은 암자에도 이와 비슷한 형상의 마애지장보살입상이 있는데 나중에 다시 만든 불상으로 추정된다.
안내문에 명기된 것처럼 '금학동 일락산 마애지장보살입상' 오른쪽 위편에는 "大慈回向成化·年中秋(대자회향성화·년 중추)"라는 명문이 보였습니다. 2019년 3D 입체 엑스레이 촬영을 실시한 결과 '성화·년(成化·年)'부분이 일제강점기의 일본 연호인 '소화·년(昭和·年)'으로 판독되면서 조성 연대(1926년~1989년)가 밝혀지고, 문화재로서의 지정은 어렵게 되었습니다. 다행히 공주교육대학교에서 학교 소유의 산에 모셔진 마애지장보살입상의 가치를 대학교박물관 프로그램을 통해 많은 이들과 향유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탄천면 송학리 마애여래좌상
두 번째로 소개할 공주시 소재의 마애불은 탄천면에 있는 '송학리 마애여래좌상'입니다. 목적지로 가기 위해서는 '광명사'라는 작은 절을 랜드마크로 삼으시면 됩니다. 광명사는 송학리 마을회관에서 황새울길을 따라 오르막길을 가다 내리막길이 시작되는 지점에 위치해 있습니다.
광명사를 찾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지만, 초행길인 분들은 그곳에서 '송학리 마애여래좌상'이 위치한 곳을 찾기란 쉽지 않을 거예요. 광명사 주지스님이 계시면 그분의 도움을 받으시고, 혹시 부재중인 경우에는 마을로 진입하지 말고 광명사 입구의 은행나무 맞은편 전신주 아래로 난 좁은 길을 따라 위쪽으로 올라가시면 됩니다. 주차장이 없으니 자차로 이동하시는 분들은 광명사 스님의 허락을 받아 절 주위에 주차하셔야 하며, 소로 왼쪽으로는 밤나무밭이 있으니 주인의 허락 없이 함부로 출입하지 않도록 주의해 주세요.
광명사에서 150m 정도 걸으니 '송학리 마애여래좌상'이 모셔진 장소가 나타납니다. 향토문화유적으로 지정되어 있어서인지 주변 정비가 잘 돼 있었어요. '송학리 마애여래좌상' 앞에는 안내판이 설치돼 있으니, 참고한 후 마애불을 살펴보시면 좋을 듯합니다.
송학리 마애여래좌상(松鶴里 磨崖如來坐像)
공주시 향토문화유적 유형 제35호
공주시 탄천면 송학리 산 70-1 마애여래좌상은 얕은 부조와 선각으로 높이 3m 내외의
바위 중앙에 좌상으로 조성되어 있다.
상호(相好, 부처님이 가지고 있는 신체적 특징)의 표현은 엄숙하고,
신체에 비해 비교적 크게 조각 된 양손은 모두 엄지손가락을 접고 있어 하나의 특징을 보인다.
신체와 도식화된 법의(法衣, 부처님과 그 제자가 입던 옷), 상호의 표현 등을
고려해 볼 때 고려 중기 이후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송학리 마애여래좌상'은 서산마애삼존불이나 경주 남산의 마애불 등을 떠올리면 예술성이나 세련미가 떨어지는 것으로 보입니다. 불교 국가였던 고려는 고려 초기에 호족들이 자신의 세(勢)를 과시하기 위해 유행처럼 불상을 만들면서 석공이 부족해졌고, 지방 호족들은 지방의 석공들을 불러 불상을 제작할 수밖에 없다 보니, 지방에 따라 개성적인 불상이 만들어졌다는 점을 참고하며 살펴보시면 좋을 듯합니다.
마곡사 백련암 마애여래입상
마지막으로 소개할 공주 소재의 마애불은 천년고찰 마곡사의 산내암자인 백련암(白蓮庵) 뒤편 능선에 자리해 있습니다. 백련암은 마곡사 서쪽 중턱에 자리하고 있는데요, 그곳의 풍경은 마곡사 산내 암자를 대표할 만큼 수려한 것으로 알려져 있어요.
생골마을 왼쪽 언덕을 10여 분 오르면 절벽 위 평지에 요사채가 자리 잡고 있고, 그 뒤편으로 산신각이 있습니다. 그곳에서 100여 m 능선을 오르면 한 가지 소원은 꼭 들어준다는 마애불 기도처에 다다르게 됩니다. 산신각 입구에서 기도처까지는 나무 계단이 조성돼 있어 큰 어려움 없이 찾아갈 수 있습니다.
백련암 마애여래입상이 발견된 것은 1970년대라고 하는데요, 이에 대한 연구는 활발하지 않았는지 관련 자료는 그리 많지 않은 듯합니다. 2012년 대한불교진흥원의 지원을 받아 발간한 『한국의 명찰 시리즈 12 '마곡사'』에 소개된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마애불은 양어깨를 가린 통견 법의를 착용하고
왼손은 무릎 위에 올리고 오른손은 가슴 위로 올린
자세를 취해 미타정인과 유사한 수인을 취하고 있다.
머리는 민머리 위에 마치 가발을 씌운 듯 나발을 표현했다.
무릎 아래로는 나뭇잎 같은 모양의 U자형 옷 주름을 3단으로 표현 했는데 매우 도식적이다.
특히 발의 표현이 정확하지 않다.안면부 표현은불상이라기보다는 승려의 모습을
조각한 것 같으며이목구비는 표현 기법의 섬세함이 덜하다.
이러한 불상은19세기 이후 충청도와 경기도 지역을 중심으로
유행한 민간 발원 불상의 한 유형으로 볼 수 있는데,(중략)
『한국의 명찰 시리즈 12 '마곡사'』에서는 백련암 마애여래입상의 조선 말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나, 일부에서는 근·현대에 가까운 시기에 조성된 것으로 보고 있는 만큼 제작 연대를 비롯한 마애여래입상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의 필요성이 느껴집니다.
지금까지 공주에 소재한 3구의 마애불을 간략히 소개해 봤는데요, 서산마애삼존불과 같은 국보급 마애불과 비교하면 보는 시각과 관점에 따라 그 가치는 달리 보일 수도 있을 거예요. 하지만 개인적으로 극한의 인내로 완성한 마애불 앞에 서자 한없이 겸허해지는 '나' 자신을 발견할 수 있었기에, 불력(佛力)에 기대어 배견하지 못한 공주의 마애불 1구도 조만간 찾아뵐 수 있기를 바라고 또 바라봅니다.
공주시청
위치 : 충남 공주시 봉황로 1
광명사
위치 : 충남 공주시 계룡면 갑사로 354-9
마곡사
위치 : 충남 공주시 마곡사로 966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