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북구예술창작소 소금나루2014

4월 전시 <HIGH TOUCH> 관람

지역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작가들을

지원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복합문화공간 #소금나루2014

2025년도 12기 작가들이 입주했습니다.

1/18~2/7 기간 동안 진행된 공모에

국내 예술가 50명이 지원했고,

그 중 6명이 선정되어 소금나루2014에 입주해

작품활동을 펼칩니다.

3월~4월에 걸쳐 12기 입주작가들의

소개전이 개최되어 관람하고 왔습니다.

소금나루2014는 염포동 소방서 옆에 난

조그만 골목길 위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초입에 입간판이 세워져서

이를 확인하고 진입할 수 있었는데요.

좁은 골목이지만 전용 주차장도 있으니

방문하시기 어렵지 않으시리라 생각됩니다.

울산북구예술창작소 소금나루2014입니다.

현재 입주작가 소개전이 진행 중이라는

현수막이 걸려 있었습니다.

금번 선정된 12기 작가는

① 김시흔 (설치 및 영상)

② 박건 (평면)

③ 몸과에옴 (설치 및 미디어)

④ 이수현 (설치)

⑤ 이예린 (평면회화)

⑥ 전효경 (평면회화)

이렇게 6명입니다.

소금나루2014 건물 1층에는

로비와 전시실 등이 있습니다.

언젠가부터 로비에는 단상이 설치되었고,

현재는 단상 위에 편히 앉을 수 있도록

좌식테이블이 비치되었습니다.

현재는 12기 입주작가 소개전과 관련하여,

입주작가들의 작품활동 스토리를

영상으로 담아 송출하고 있습니다.

전시 관람

12기 입주작가 소개전

― HIGH TOUCH (하이터치) ―

2025.03.18.(화)~04.29.(화)

소금나루2014 작은미술관

이번 입주작가 소개전의 타이틀은

<HIGH TOUCH 하이터치>입니다.

본 주제는 '작가와 관람객 간의

밀접한 소통'을 강조하는 의미로 지어졌습니다.

작가들이 작품활동을 하면서

최우선적으로 생각하는 키워드가

바로 '소통'이었기 때문인데요.

이러한 키워드를 각 작가가

어떻게 풀어냈는지 살펴보는 것이

관람 포인트일 것 같습니다.

작은 전시실 규모에

영상 5점, 설치 2점, 평면 9점,

총 16점의 작품이 전시되었습니다.

감상하기 전에

미리 작가별 특징을 살펴보는 것도

작품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 같고요.

로비에서 송출하고 있는 작가 소개 영상을

먼저 관람하는 것도 추천합니다.

전효경 작가

작품 <게워내고 남은 것들> 2024

가장 먼저 보이는 전효경 작가 작품은

추상적인 도형들이 나열된 그림이었습니다.

전효경 작가는 이것저것 수집하는 습관이 있어

머릿속에도 많은 자음, 모음, 기호 등이

유영하고 있다고 표현합니다.

작품 <군산오름의 고라니와 접촉사고가 날 뻔한 순간> 2024

그리고 그렇게 혼재되어 있는 이미지들을

도상으로 끄집어내 한 화면에

질서 없이 나열하여 그림으로 표현합니다.

어찌보면 복잡하고 어수선할 것 같지만

그렇게 만들어진 작품은 아주 아름답습니다.

이예린 작가

작품 <수영만> 2023

이예린 작가는 기억과 감각, 장소의 관계를

탐구하고 시각화하는 작업을 주로 합니다.

작품을 보면 크게는 공간을 표현하고 있고,

세부적으로 소품(혹은 피사체) 하나하나가

어색하면서도 자연스럽게 포함되어 있습니다.

(좌) 작품 <이끌림> 2024 / (우) 작품 <Take a break> 2024

그리고 감각 중 하나를 취득할 수 있는

신체기관이 그려져 있는 것도 특징입니다.

감각적인 경험을 시각화한다는 것을

이렇게 눈, 귀, 코, 뇌 등으로

표현하는 신박한 아이디어를 선보였습니다.

작품을 면밀히 들여다 볼수록 매력적이니

천천히 감상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이수현 작가

작품 <흩어지는 달빛> 2024

이수현 작가는 일상적인 풍경을

3차원적인 산수풍경으로 재구성하는데,

동시에 작품에 활용한 재료의 특성을

극대화하여 표현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흩어지는 달빛> 작품은

마치 물이 빠지고 난 뒤 물길이 남은

일본식 정원의 모습처럼 보이는데요.

수면에 퍼지는 동심원 같은 아름다운 모습에

넋 놓고 바라봤습니다.

박건 작가

작품 <기계영혼회로도> 2023

한편 박건 작가의 작품들은

다소 기괴하면서도

도면 형태로 그려져 매우 독특합니다.

본 작가는 과학-주술-예술의 관계와

그 양가성에 대한 고민을

회화적 실험을 통해 풀어냅니다.

<기계영혼회로도>는

마치 악마의 손이 영혼을 끌어내리는 듯한

오묘한 모습을 하고 있지요.

작품 <환생회로도> 2024

193cm x 264cm 큰 규모로 그려진

<환생회로도>는

환생의 절차를 보여주는 듯 합니다.

불분명한 형상들을 우연에 기대지 않고

체계적으로 재현하는 것이

박건 작가의 특색입니다.

어찌 보면 과학적인 듯 하지만

어찌 보면 터무니없고

한편으로는 주술처럼 느껴지는 것이

상당히 독특한 매력이 있습니다.

몸과 에옴 작가

작품 <11월 7일과 10월 31일의 11월 7일> 2024

몸과 에옴 작가는

불안을 유머로 전환하는 작업들을

영상, 퍼포먼스, 설치, 사운드 등으로 표현합니다.

이전에는 신체와 미래에 대한 불안,

놀이터와 예언에 관한 소재로 작업했고,

올해는 망설임을 주제로 탐구하는 작업을

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영상물 작품이라 한동안 서서 바라보며

의도한 바가 무엇일지를 고민해 보았는데요.

각자의 아이디어를 더하면

더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리라 생각됩니다.

전시실 안쪽에는 미디어 매체를 보여주는

공간이 별도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이곳에도 작가 2명의 작품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작품 <눈알 어항> 2023

<눈알 어항>이라는 작품은

눈알 속을 어항 마냥 돌아다니는

물고기의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본 작품은 소리도 함께 감상할 수 있도록

헤드셋을 비치해두고 있습니다.

김시흔 작가

작품 < 그, 그들로 존재하는 시간 I_섬에서> 2024

김시흔 작가는

자신의 무력감을 마주하는 과정에서

자연을 포함한 타자(他者) 영역과

접촉하게 되는 현상에 관심을 갖고,

이를 3D로 표현하는 작품활동을 펼칩니다.

이렇게 일부 작품들을 살펴보았는데요.

방문해보면 더 많은 작품들이 있고,

개인만의 생각을 덧붙여

색다른 시각으로 작품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본 전시는 4월 29일까지 이어집니다.

방문하셔서 작품도 감상하시고

지역 작가들의 아이디어를 들어보는

의미 있는 시간을 보내시길 바랍니다.

북구예술창작소 소금나루2014

주소: 울산 북구 중리11길 2

문의: 052-289-8169

운영시간: 월~금 09:00~18:00 / 토 09:00~15:00

휴무일: 매주 일요일, 월요일

✅ 주차장 있음

{"title":"울산 북구예술창작소 소금나루2014, 4월 전시 <하이터치> 염포동 문화생활","source":"https://blog.naver.com/usbukgu/223833612461","blogName":"울산 북구..","domainIdOrBlogId":"usbukgu","nicknameOrBlogId":"울산북구 WithYou","logNo":223833612461,"smartEditorVersion":4,"meDisplay":true,"lineDisplay":true,"outsideDisplay":true,"cafeDisplay":true,"blog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