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시간 전
제21대 대통령 선거 일정 및 투표 방법과 주의할 점 알아보기
제21대 대통령 선거가 오는 6월 3일 실시됩니다. 지난 5월 12일 선거 기간 개시를 시작으로 후보자들의 선거 유세와 선거 벽보 첩부 등이 진행되고 있는데요, 오늘은 제21대 대통령 선거 주요 일정과 사전 투표 방법 및 선거일 투표 방법, 그리고 주의할 점까지 꼼꼼하게 살펴보겠습니다.
선거 주요 일정 확인하기
주요 선거 일정 안내
제21대 대통령 선거일 2025. 6. 3.(화) 투표시간 오전 6시 ~ 오후 8시 재외투표 2025. 5. 20.(화) ~ 5. 25.(일) 오전 8시 ~ 오후 5시
선상투표 2025. 5. 26.(월) ~ 5. 29.(목)
사전투표 2025. 5. 29.(목) ~ 5. 30.(금) 오전 6시 ~ 오후 6시
|
제21대 대통령 선거일은 6월 3일이며 임시공휴일로 지정됐습니다. 투표시간은 오전 6시부터 오후 8시까지로 선거권자는 소중한 한 표를 행사할 수 있는데요, 선거 당일 투표가 어려운 분들의 참정권 보장을 위해 선거일 이전 재외투표, 선상투표, 거소투표, 사전투표 등이 운영됩니다.
해외에서 투표하려는 선거권자라면 재외선거를 통해 투표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사전 신고·신청을 한 재외선거인 및 국외부재자(주민등록이 되어 있는 사람으로서 외국에서 투표를 하려는 국민)는 5월 20일부터 5월 25일까지 투표할 수 있으며 투표 가능 시간은 매일 오전 8시부터 오후 5시입니다.
선거일 바다 위에 있어 투표가 어려운 선거권자라면 선상투표를 통해 투표할 수 있으며, 선상투표 기간은 5월 26일부터 5월 29일까지입니다.
그리고 부득이한 사정으로 선거일 투표가 어려운 분들은 사전투표 기간을 이용해 투표할 수 있는데요, 사전투표 기간은 5월 29일부터 5월 30일까지 전국 모든 사전투표소에서 투표할 수 있으며, 투표시간은 매일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입니다.
사전투표 및 선거일 투표 방법 확인하기
사전투표
준비물 주민등록증, 여권, 운전면허증, 공무원증, 국가기술자격증(산업인력공단), 각급 학교의 학생증(사립학교 포함), 모바일 신분증 등 본인임을 확인할 수 있는 신분증 중 하나 ※ 관공서 또는 공공기관이 발행한 증명서로서 생년월일이 기재되고 사진이 첩부되어 본인임을 확인할 수 있어야 합니다.
투표 장소 전국 모든 사전투표소에서 가능
사전투표소 찾기 https://vo.la/RMOCZQ
투표 방법 1. 신분증명서 투표사무원에게 제시 후 본인 확인 2. 본인 확인기에 손도장 또는 서명 3-1. 관내 선거인 : 투표용지 수령 및 기표 후 보이지 않게 접어 관내 투표함에 투입 3-2. 관외 선거인 : 투표용지와 회송용 봉투 수령 및 기표 후 투표용지를 회송용 봉투에 밀봉해 관외 투표함에 투입
|
5월 29일부터 30일까지 진행되는 사전투표는 전국 모든 사전투표소에서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 누구나 투표할 수 있습니다. 선거일 내 지정 투표소에서 투표가 어려운 분들이라면 사전투표를 통해 투표를 진행하실 수 있습니다.
사전투표 절차는 사전투표소에서 신분증명서를 투표사무원에게 제시 후 본인 확인을 진행하면 투표용지와 회송용 봉투(관외 선거인 대상)를 받게 됩니다. 받은 투표용지에 기표하여 관내 선거인이라면 관내 투표함에, 관외 선거인이라면 회송용 봉투에 밀봉해 관외 투표함에 투입하면 됩니다.
단, 올해부터 적용된 모바일 신분증을 활용할 경우 캡처 이미지로는 본인 확인이 불가하며, 모바일 신분증 앱 실행 과정을 투표사무원에게 보여주셔야 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선거일 투표
준비물 주민등록증, 여권, 운전면허증, 공무원증, 국가기술자격증(산업인력공단), 각급 학교의 학생증(사립학교 포함), 모바일 신분증 등 본인임을 확인할 수 있는 신분증 중 하나 ※ 관공서 또는 공공기관이 발행한 증명서로서 생년월일이 기재되고 사진이 첩부되어 본인임을 확인할 수 있어야 합니다.
투표 장소 본인의 주소지 관할 지정된 투표소
내 투표소 찾기 * 5월 24일 공개
투표 방법 1. 신분증명서 투표사무원에게 제시 후 본인 확인 2. 선거인명부에 서명 혹은 도장 또는 손도장 날인 3. 투표용지 수령 및 기표 후 보이지 않게 접어 투표함에 투입
|
6월 3일 선거 당일에는 본인의 주소지 관할 지정된 투표소에서만 투표할 수 있습니다. 지정 투표소는 5월 24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되며, 거주지로 발송되는 우편으로 지정 투표소와 선거인명부 등재번호 등이 적힌 선거안내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선거 절차는 사전투표와 비슷한데요, 신분증명서를 투표사무원에게 제시한 후 본인 확인을 하고 선거인명부에 서명 혹은 도장 또는 손도장 날인을 한 뒤 투표용지를 받아 투표를 진행하면 됩니다.
좀 더 빠른 투표를 원하신다면 선거인명부 등재번호를 기억해 두시면 좋은데요, 선거안내문에 적힌 선거인명부 등재번호를 찍어두시거나 선거인명부 열람 기간에 온라인을 통해 등재번호 확인이 가능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투표 시 주의할 점 확인하기
✅ 기표시 반드시 기표 용구로 찍어야 합니다.
✅ 투표용지에 기표 용구를 한 번만 찍어야 합니다.
✅ 기표 용구를 네모 칸 안에 찍어야 합니다.
✅ 투표소 안에서 사진을 찍으면 안 됩니다.
✅ 몇 번 후보에게 투표했다고 다른 사람에게 말하면 안 됩니다.
유효표와 무효표 기준은?
Q. 기표 용구 표식이 반쯤 찍힌 투표지 유효한가요?
표식이 일부분 표시되었으나 정규의 기표 용구임이 명확하다면 유효표입니다.
Q. 다른 칸에 인주가 살짝 묻어도 괜찮나요?
기표 표식이 있는 후보자 외에 다른 후보자란이 인주로 더럽혀진 표는 유효표입니다.
Q. 기표는 정확히 했지만 여백에 도장이 더 찍혀도 유효한가요?
기표란에 기표가 되고, 후보자란 외의 여백에 기표 용구 표식을 추가한 표는 유효표입니다.
Q. 같은 후보자란에 두 번 도장을 찍어도 유효한가요?
기호·정당명·성명·기표란 등 한 후보자란에만 두 번 이상 기표가 된 표는 유효표입니다.
Q. 투표지를 접었다니 다른 후보자란에 도장이 번졌는데 괜찮나요?
기표한 것이 다른 후보자란 또는 여백 정에 전사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는 표라면 유효표입니다.
Q. 도장이 두 란에 걸쳐 찍혀도 유효한가요?
후보자와 후보자 두 란에 걸쳐 기표한 표는 무효표입니다.
Q. 기표한 뒤 문구를 적어도 유효한가요?
기표 후 좋다, 나쁘다 등 문장 또는 ○, □ 등의 물형을 기입한 표는 무효표입니다.
Q. 기표 용구가 아닌 이름이나 손도장을 찍어도 유효한가요?
기표 용구 표식이 아닌 선거인의 서명을 기입하거나 도장의 날인 또는 지문을 찍으면 무효표입니다. 다만, 거소투표에서 물형 기입 및 손도장은 유효표로 인정됩니다.
민주주의의 꽃이라 불리는 투표!
제21대 대통령 선거에서 여러분의 투표로 민주주의의 꽃을 피워주세요!
▶내용 출처◀
- #남양주
- #남양주시
- #남양주시청
- #제21대대통령선거
- #제21대대선
- #제21대대선일정
- #대통령선거
- #대통령선거일정
- #제21대대통령선거사전투표
- #본투표
- #사전투표
- #선거주요일정
- #선거
- #대선
- #대선날짜
- #대선투표방법
- #대선투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