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전라남도 광양시 청암면

목과마을에 위치한

양복수정려비(楊福修旌閭碑)에 대해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이곳은 조선 중기의 효자이자 문신인

양복(楊福) 선생을 기리기 위해 세운

역사적인 비석이 있는 곳으로,

그 가치와 의미가 깊습니다.

찾아가는길

목과마을까지는 네비로 찾아갔는데

정작 양복수징려비는 보이지 않아서

마을회관, 정자를 찾아가서

어르신께 물어보았습니다

목과마을의 유래와 역사

목과마을은 1650년쯤 진양정씨(晉陽鄭氏)가

마을을 형성했다고 전해집니다.

‘몽과나무골’이라는 이름에서 유래된 마을은,

당산에 큰 몽과나무가 있었기 때문에

그런 이름이 붙여졌다고 합니다.

시간이 흐르면서 ‘몽과’라는 발음이 변해

목과로 정착하였고,

이를 한자로 표기하면서

지금의 ‘목과’라는 이름이 되었다고

전해집니다.

약 200년 전에 이 마을에는

효자 정씨에 대한 전설이 전해지고 있었으나,

일제 강점기 동안 사라지고 말았다고 합니다.

하지만 그 기억은 여전히

마을 사람들 사이에서 살아 숨 쉬고 있습니다.

정려비각은 출입문을 철사로

고정시켜 놓았습니다.

필요하신분들은 출입을 하고 나오신후

고정을 잘 해 놓으셔야 합니다.

양복수정려비란 무엇인가요?

양복수정려비는

양복(楊福, 1444~1517) 선생의

효행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석입니다.

양복 선생은 조선 성종 시절,

문과에 급제한 후 부모님에 대한

지극한 효심을 실천한 인물로 유명합니다.

그는 아버지의 병환이 심각할 때,

3년 동안이나 병상에서 떠나지 않고

정성껏 간병을 하였고,

그 효행이 마을 사람들에게 전해지며

유명해졌습니다.

이러한 그의 효성과 충성심은

조정에도 알려져,

성종 임금은 그에게 ‘정려(旌閭)’를 내려

그의 효행을 기리도록 했습니다.

양복수정려비에는 그의 생애와 효행이

자세히 기록되어 있으며,

이는 후세에 그의 미덕을 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전통 유산과 마을 풍경

양복수정려비는

광양시 청암면 목과마을 한가운데

자리 잡고 있습니다.

비석은 크지 않지만,

그 의미와 상징성은 매우 깊습니다.

주변은 조용한 시골 풍경과 어우러져,

방문객들은 한적한 분위기 속에서

한국 전통의 미덕을 되새길 수 있는

좋은 기회를 가질 수 있습니다.

특히 비석 주위에는

숲길과 시골길이 펼쳐져 있어,

산책을 하며 역사적인 유적을

돌아보는 것도 좋은 경험이 될 것입니다.

효(孝)의 가치와 지역 문화

양복수정려비는 단순한 기념물이 아니라,

효(孝)의 중요성을 후세에 전하기 위한

교육적, 문화적 유산으로서

큰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양복 선생의 효행과 충성심은

오늘날에도 많은 사람들에게

귀감이 되고 있으며,

이 비석은 광양시 지역 주민들에게

전통과 역사를 상징하는

중요한 유산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현재도 매년 양복수 선생을 추모하는 제향이

목과마을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비록 그 시대의 정문은 사라졌지만,

이 비석은 여전히 후세에

본보기가 될 것입니다.

현판

有明朝鮮孝子贈嘉善大夫戶曺參判承同知義禁府事五衛都總府副摠管梁福洙

上之七年庚午

四月日

命桂

정려비석

有明朝鮮孝子贈嘉善大夫

戶曹參判兼同知義禁府事五衛都摠管梁福洙之碑

유명조선 효자 증 가선대부

호조참판 겸 동지의금부사

오위도총부 부총관

양복수지비

이 비는 정려각 안에 있는

비의 원형을 보존하기 위해 세운 비입니다.

양복수 선생은 남원 양씨요.

호는 대곡 자는 문헌이며,

대호군 좌찬성 봉조하 공의 12대손이고,

부 증 가선대부 호조참판 겸

동지의금부사 오위도총부 부총관 배

전주이씨 인 현부인이다.

선생은 1799년(정조 23년) 을묘생이며,

효행을 몸소 실천하고,

광양시 진월면 화전리 하동에 묘소를 두었다.

2007년 4월 16일 음력 3월 29일

광양시 진월면 화전리 하동

양룡환, 일환, 인환, 영환, 중환, 선환,

진환, 호환, 익환, 현환, 승환,

태환, 종환, 윤환, 후손 일동 세움

양복수정려비각 방문정보

양복수정려비는

광양시 청암면 목과마을입구 도로에서

얼마 떨어지지 않은 안쪽에 위치해 있어,

마을 주민들의 도움을 받으며

찾아가는 재미도 있습니다.

조용한 마을과 어우러진

역사 유적을 감상하시며,

잠시나마 옛 조상들의 미덕과 삶을

되새겨 보시길 추천드립니다.

방문 시 유의사항

비석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가 되어 있지만,

방문 시에는 조용히

역사적인 의미를 되새기며 관람해 주세요.

마을 주민들과의 대화는

현지의 문화와 역사에 대해

더욱 깊이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입니다.

양복수 정려비를 보고

양복수정려비는

단순한 역사적 유적지가 아니라,

효와 충, 그리고 인간적인 미덕을

강조하는 중요한 장소입니다.

전통과 역사를 이어가는 이곳에서

그 의미를 되새기며,

한국의 전통적인 가치관을 다시 한번

깊이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져보시길 추천드립니다.


항상 광양 시정 소식에

응원을 보내주시는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게시물과 관련 없는 댓글,

대안 제시 없는 비방성 댓글,

의미를 알 수 없는 반복적인 댓글 등은

사전 예고 없이

차단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2024년부터는 이런 일이

3회 이상 반복될 시

계정이 차단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또한 게시된 업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해당 부서에 문의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title":"전남 광양 목과마을 양복수정려비에서 만나는 효와 충의 역사","source":"https://blog.naver.com/gwangyangsi/223960898690","blogName":"햇살 가득 ..","domainIdOrBlogId":"gwangyangsi","nicknameOrBlogId":"광양","logNo":223960898690,"smartEditorVersion":4,"outsideDisplay":true,"meDisplay":true,"lineDisplay":true,"cafeDisplay":true,"blog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