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은 한강의 역사

어디까지 알고 계신가요?

1988년 고수부지부터

페스티벌의 성지가 된 한강

변천사를 사진과 함께 담았습니다.

자세한 내용, 함께 살펴보실까요?


자연이 숨 쉰다, 문화가 흐른다!

그때는 지금은 ⑤ 한강공원

서울을 가로지르는 한강, 예전엔 홍수 위험이나 안전 문제로 걱정의 대상이기도 했지만, 지금은 사람들에게 사랑받는 서울의 대표 명소로 거듭나고 있습니다. 서울시는 한강공원 시설 개선, 문화 프로그램 운영, 자연성 회복 사업을 꾸준히 진행하여 자연과 문화가 공존하는 공간으로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1960~80년대 고수부지 체육공원, 한강시민공원

1988 한강

서울시는 한강변을 개발하고 침수 문제를 해결하고자 공유수면매립 사업을 시작했다. 이 사업으로 한강의 섬과 모래사장이 사라지고 강폭이 넓어졌다. 공유수면매립 사업을 통해 한강변에는 고수부지가 만들어졌다. 체육시설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면서 고수부지 체육공원을 개장했다.

88서울올림픽 유치가 결정된 이후 서울시는 한강종합개발을 통해 저수로 정비, 한강시민공원 조성, 올림픽대로 건설, 하수관로와 하수처리장 건설을 추진했다. 고수부지 체육공원은 다양한 체육시설과 여가시설을 갖춘 한강시민공원으로 변화했다.

1999~2002 새 서울, 우리 한강

2002 한강

한강시민공원은 매년 장마 기간이 되면 홍수로 잠기는 일이 많았기 때문에 시설의 노후화가 빨라서 1990년대부터는 오래된 시설의 안전과 관리 문제가 발생했다. 서울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강시민공원을 종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새 서울, 우리 한강’을 수립하여 진행했다.

콘크리트 호안을 자연형 호안으로 바꾸고, 환경재생공원인 선유도공원과 생태공원을 만드는 등 한강의 자연성 회복을 위한 노력도 계속됐다.

2006~2012 한강 르네상스 1.0

달빛무지개분수

뚝섬 자벌레

서울시는 한강을 활용해 서울을 이전에는 없던 특별함을 가진 수변도시로 성장시키기 위해 ‘한강 르네상스 1.0 프로젝트’를 추진했다. 한강시민공원은 ‘한강공원’이라는 이름으로 바뀌었고, 한강으로의 접근성이 크게 개선됐다. 광진교 8번가, 뚝섬 자벌레, 달빛무지개분수, 교량 전망쉼터 등 랜드마크가 조성되면서 한강에서 여가를 보내려는 이들이 늘어났다.

2013~2022 한강 자연성 회복

서래섬 유채꽃 축제

한강달빛야시장

서울시는 한강을 어떻게 가꾸고 발전시킬지 고민하며 ‘2030 한강 자연성 회복 기본계획’을 세웠다. 생태적으로는 자연형 호안을 더욱 적극적으로 조성하여 동·식물이 살아갈 수 있는 생물서식지가 늘어났고, 시민이 함께 참여한 생태공간인 ‘한강숲’ 조성도 이어졌다.

문화적으로는 한강변에서 즐길 수 있는 축제와 이벤트가 사람들의 발길을 끌었다. ‘한강페스티벌’과 ‘서래섬 유채꽃 축제’, ‘차 없는 잠수교 뚜벅뚜벅 축제’ 등 다채로운 행사가 한강공원 곳곳에서 열렸다.

2023 그레이트 한강 프로젝트

한강 야경과 화려한 도심 풍경

2023 한강 빛섬축제

2023년 서울시는 ‘그레이트 한강’(한강 르네상스 2.0)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종식 후 더 늘어난 여가, 문화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마련됐다. 한강의 자연을 지키면서 편의성과 매력을 높여 시민 삶의 질을 향상하고, 수변의 활력을 한강의 도시공간까지 확장하겠다는 계획을 담았다. ☞[관련기사] 보행교, 초록길, 물놀이장…'더 위대한 한강'으로 바뀐다.

2024 한강 수상 활성화

2024 한강페스티벌_여름

한강에서 발견된 수달

한강의 자연성 회복을 위해 노력한 결과, 한강에서 천연기념물인 수달과 수리부엉이 등 다양한 생물종이 발견되었다. 시는 생태계 건강에 청신호가 켜진 만큼 자연형 호안과 한강숲을 조성하고 생태공원을 재정비하는 등 한강을 위한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 ☞[관련기사] 멸종위기종 돌아온 한강! 축하해요 (ft.자연성 회복 중)

한강 멍때리기 대회, 한강 대학가요제, 한강 라이징스타 등 크고 작은 축제가 한강에서 펼쳐졌다. 한강 야외도서관, 차 없는 잠수교 뚜벅뚜벅 축제 등 한강에서 문화와 여유를 즐기려는 시민들의 발걸음이 이어졌다.

시는 2030년까지 1천만 명이 한강의 수상을 이용하는 ‘한강 수상 활성화 종합계획’ 발표했다. 한강에 ‘수상오피스’를, 여의도한강공원 물빛무대 옆에는 ‘수상 호텔’을 띄우고, ‘수상 스키장’ 등 수상레저활동 활성화 내용을 담고 있다. ☞[관련기사] 한강에 수상 호텔·오피스…미리보는 2030년 '리버시티 서울'

2025 수상 대중교통 도입

차 없는 잠수교 뚜벅뚜벅 축제_세븐틴 10주년 기념 이벤트

나만의 속도와 방식으로 경기를 즐기는 ‘쉬엄쉬엄 한강 3종 축제’(5.30.~6.1.)가 진행됐다. 순위나 기록 경쟁 없이 수영·자전거·달리기를 쉬엄쉬엄 완주하는 ‘3종 경기’ 외에도 다양한 체험, 문화 공연 등 모두가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풍성하게 마련됐다. 한강에서 이색 추억을 만들 수 있는 축제로 주목을 받았다. ☞[관련기사] '쉬엄쉬엄 한강 3종 축제' 드디어 개막! 부대행사도 풍성

올해 5~6월 진행된 상반기 ‘차 없는 잠수교 뚜벅뚜벅 축제’도 인기를 끌었다. 한강 교량 최초로 K-POP 콘서트 ‘세븐틴 10주년 기념 이벤트’가 열렸고, ‘무소음 DJ 파티’도 조용하지만 강렬하게 시민들의 발길을 사로잡았다. 푸드트럭과 힐링존, 달빛 테이블, 돗자리 등 지난해보다 더 풍성한 먹거리, 즐길 거리를 선보여 호응을 얻었다.

여의도 앞 한강에서 시범 운항 중인 한강버스

9월에는 친환경 수상 대중교통수단 한강버스가 정식 운행을 시작한다. 이에 앞서 시민 대상 얼리버드 탑승 체험이 진행된다. 정식운항을 위해 마곡-망원-여의도-옥수-압구정-뚝섬-잠실(마곡-여의도-잠실 급행 병행) 7개 선착장을 조성하고 부대시설을 정비한다. 서울시는 한강버스 도입을 통해 시민들의 교통편의를 높이고 새로운 관광자원으로서 글로벌 도시경쟁력을 높여나간다는 계획이다. ☞[관련기사] '한강버스' 체험하세요! 무료 탑승 기회

<참고자료 (한강이야기총서) 한강의 역사 ☞ 바로가기>


{"title":"한강공원의 역사, 어디까지 알고 계세요? 고수부지 체육공원부터, 페스티벌 명소로 거듭나기까지!","source":"https://blog.naver.com/haechiseoul/223935825309","blogName":"서울특별시..","domainIdOrBlogId":"haechiseoul","nicknameOrBlogId":"동행","logNo":223935825309,"smartEditorVersion":4,"cafeDisplay":true,"blogDisplay":true,"meDisplay":true,"lineDisplay":true,"outsideDisplay":fal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