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년 전
우리의 건강을 위협하는 모기 [모기매개 감염병 정보,예방수칙]
모기의 계절 여름
모기를 단순히 우리의 피를 빨아먹고, 가렵게 만드는 성가신 존재라고 생각하시나요?
무심코 물린 모기에 큰 감염병의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는 사실,
간과하면 안돼요🤨🤨
특히 여름 휴가철을 맞아 해외여행을 떠나시는 분들이 많기에
더욱 조심해야할 모기 매개 감염병,
제대로 알고 예방수칙도 잘 지켜주세요!!
모기 매개 감염병 이란?
모기가 매개체가되어 발생하는 감염병으로
하절기에 급증하니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감염병 및 매개모기 발생현황🔎
📍국내 주요 감염병 매개모기 종(56종 중 4종 보고됨)
감염병 |
말라리아 |
일본뇌염 |
뎅기열 등 |
웨스트나일열 |
매개모기명 |
얼룩날개모기류 |
작은빨간집모기 |
흰줄숲모기 |
빨간집모기 |
📍 말라리아 국내 발생 환자 수
인천광역시, 경기도 강원도 북부지역 DMZ 인근지역을 중심으로 삼일열 말리라아 환자가 계속적으로 발생
연도별 |
‘16 |
‘17 |
‘18 |
‘19 |
‘20 |
환자 수(명) |
602 |
436 |
501 |
485 |
356 |
📍일본뇌염 환자 수
국내 전국적으로 일본뇌염 환자는 매년 발생
연도별 |
‘16 |
‘17 |
‘18 |
‘19 |
‘20 |
환자 수(명) |
28 |
9 |
17 |
34 |
7 |
모기 매개 감염병 종류 및 특징
모기 매개 감염병의 종류로는
말라리아, 일본뇌염, 뎅기열, 그 외 황열, 치쿤구니아열, 웨스트나일열 등이 있습니다
구분 |
말라리아 |
일본뇌염 |
뎅기열 |
전파경로 |
- 얼룩날개모기속에 속하는 암컷 모기가 매개체 되어 발생 - 드물게 수혈이나 주사기 공동 사용 등에 의해 전파 |
작은빨간집모기가 매개체 되어 발생 |
-매개 모기에 물려 감염 (이집트 숲모기, 국내 서식 흰줄숲모기도 가능하나, 현재까지 국내 서식 흰줄숲모기에서는 바이러스 미검출) - 혈액 전파(수혈 등) |
잠복기 |
- 삼일열 말라이아 (평균 14일, 6~12개월도 가능) - 열대열 말라리아(9~14일), - 사일열 말라리아(18~40일) |
- 극히 일부에서만 모기에 물린 후 5~15일 후에 증상 발생, 약 95%의 사람에게서는 증상을 보이지 않음 |
3~14일(일반적으로 4~7일) |
증상 |
- 주기성을 갖는 열 (삼일열, 난형열: 48시간 주기, 사일열: 72시간 주기, 열대열: 매일) - 주기적으로 오한, 발열, 발한 후 해열이 반복적으로 나타남 - 두통이나 구역 설사 등을 동반할 수 있음 |
- 초기 : 고열·두통·구토·복통·지각이상 증상 발생 - 병이 진행되면서 의식장애·경련·혼수 증상을 보이고, 심할 경우 사망에 이르기도 함 - 마비·중추신경계 이상 등의 후유증을 남을 수 있으며, 연령이 낮을수록 그 정도가 심각 |
- 발열기 : 2~7일 발열, 심한 두통, 출혈성 반점 등 - 급성기 : 해열 이후 1~2일, 대부분 회복되나 심각한 혈장 유출이 있는 환자의 경우 중증 뎅기열로 이환 - 회복기 : 발진 부위 피부 벗겨지거나 가려움 |
주요 위험지역 |
- 국내 : 인천, 경기북부, 강원북부 - 국외 : 아프리카 사하라 이남지역 |
-국내: 논과 돼지 축사 인근, -국외: 호주, 브루나이, 캄보디아,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일본, 파푸아뉴기니, 필리핀,싱가포르 등 |
동남아시아(필리핀, 말레이시아, 베트남, 캄보디아등) |
모기 매개 감염병 예방수칙
모기 매개 감염병 예방 이것만은 꼭 지켜주세요!
1️⃣ 평상시 ✔ 집 주변에 고인물이 없도록 하여 모기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 모기가 왕성하게 흡혈 활동을 하는 하절기 밤 10시~새벽 4시에는 낚시터 · 캠핑 등의 야외활동을 가능한 자제하기 ✔야외활동을 할 경우 긴 소매·긴 바지⸱모기기피제를 이용하기 ✔모기는 땀으로 분비된 지방산과 젖산에 이끌려 날이들기 때문에 땀을 많이 흘린 경우 취침 전 반드시 샤워하기 ✔창문 및 방충망을 이용하여 모기가 실내에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기 ✔낚시터 · 캠핑 등의 야외활동을 하거나 방충망이 설치되지 않은 실내에서는 모기장을 이용하고, 에어로졸 살충제를 사용법에 맞게 적정량을 분사하기 |
2️⃣ 해외여행 시 ✔ 여행가기전, 여행지별 주의 감염병 확인 및 모기 기피용품 준비하기 ✔ 방충망 또는 모기장이 있고 냉방이 잘 되는 숙소 이용하기 ✔ 외출시 밝은색 긴팔, 긴바지 착용하고 모기가 많은 풀 숲 및 산 속 등은 가급적 방문하지 않기 ✔ 귀국 후 2주 이내 의심증상 발생시 의료기관 방문하여 해외여행력 알리고 진료받기 ✔ 여행 후 헌혈하는 경우 반드시 해외여행력 알리기 |
▼국가별 해외 감염병 정보 ▼
- #모기
- #여름
- #모기감염병
- #모기퇴치
- #일본뇌염
- #말라리아
- #모기매개감염병
- #일본뇌염모기
- #일본뇌염증상
- #말라리아증상
- #해외여행시주의할점
- #해외여행주의점
- #해외여행감염병
- #뎅기열
- #질병관리청
- #동작구
- #동작구보건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