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기의 계절 여름

모기를 단순히 우리의 피를 빨아먹고, 가렵게 만드는 성가신 존재라고 생각하시나요?

무심코 물린 모기에 큰 감염병의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는 사실,

간과하면 안돼요🤨🤨

특히 여름 휴가철을 맞아 해외여행을 떠나시는 분들이 많기에

더욱 조심해야할 모기 매개 감염병,

제대로 알고 예방수칙도 잘 지켜주세요!!

모기 매개 감염병 이란?


모기가 매개체가되어 발생하는 감염병으로

하절기에 급증하니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감염병 및 매개모기 발생현황🔎

📍국내 주요 감염병 매개모기 종(56종 중 4종 보고됨)

감염병

말라리아

일본뇌염

뎅기열 등

웨스트나일열

매개모기명

얼룩날개모기류

작은빨간집모기

흰줄숲모기

빨간집모기

📍 말라리아 국내 발생 환자 수

인천광역시, 경기도 강원도 북부지역 DMZ 인근지역을 중심으로 삼일열 말리라아 환자가 계속적으로 발생

연도별

‘16

‘17

‘18

‘19

‘20

환자 수(명)

602

436

501

485

356

📍일본뇌염 환자 수

국내 전국적으로 일본뇌염 환자는 매년 발생

연도별

‘16

‘17

‘18

‘19

‘20

환자 수(명)

28

9

17

34

7

모기 매개 감염병 종류 및 특징


모기 매개 감염병의 종류로는

말라리아, 일본뇌염, 뎅기열, 그 외 황열, 치쿤구니아열, 웨스트나일열 등이 있습니다

구분

말라리아

일본뇌염

뎅기열

전파경로

- 얼룩날개모기속에 속하는

암컷 모기가 매개체 되어 발생

- 드물게 수혈이나 주사기 공동 사용 등에 의해 전파

작은빨간집모기가 매개체 되어 발생

-매개 모기에 물려 감염

(이집트 숲모기, 국내 서식 흰줄숲모기도 가능하나, 현재까지 국내 서식 흰줄숲모기에서는 바이러스 미검출)

- 혈액 전파(수혈 등)

잠복기

- 삼일열 말라이아

(평균 14일, 6~12개월도 가능)

- 열대열 말라리아(9~14일),

- 사일열 말라리아(18~40일)

- 극히 일부에서만 모기에 물린 후 5~15일 후에 증상 발생,

약 95%의 사람에게서는 증상을 보이지 않음

3~14일(일반적으로 4~7일)

증상

- 주기성을 갖는 열

(삼일열, 난형열: 48시간 주기, 사일열: 72시간 주기, 열대열: 매일)

- 주기적으로 오한, 발열, 발한 후 해열이 반복적으로 나타남

- 두통이나 구역 설사 등을 동반할 수 있음

- 초기 : 고열·두통·구토·복통·지각이상 증상 발생

- 병이 진행되면서 의식장애·경련·혼수 증상을 보이고,

심할 경우 사망에 이르기도 함

- 마비·중추신경계 이상 등의 후유증을 남을 수 있으며,

연령이 낮을수록 그 정도가 심각

- 발열기 : 2~7일 발열, 심한 두통, 출혈성 반점 등

- 급성기 : 해열 이후 1~2일, 대부분 회복되나 심각한 혈장 유출이 있는 환자의 경우 중증 뎅기열로 이환

- 회복기 : 발진 부위 피부 벗겨지거나 가려움

주요 위험지역

- 국내 : 인천, 경기북부, 강원북부

- 국외 : 아프리카 사하라 이남지역

-국내: 논과 돼지 축사 인근,

-국외: 호주, 브루나이, 캄보디아,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일본, 파푸아뉴기니, 필리핀,싱가포르 등

동남아시아(필리핀, 말레이시아, 베트남, 캄보디아등)

모기 매개 감염병 예방수칙


모기 매개 감염병 예방 이것만은 꼭 지켜주세요!

1️⃣ 평상시

집 주변에 고인물이 없도록 하여 모기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모기가 왕성하게 흡혈 활동을 하는 하절기 밤 10시~새벽 4시에는 낚시터 · 캠핑 등의 야외활동을 가능한 자제하기

야외활동을 할 경우 긴 소매·긴 바지⸱모기기피제를 이용하기

모기는 땀으로 분비된 지방산과 젖산에 이끌려 날이들기 때문에 땀을 많이 흘린 경우 취침 전 반드시 샤워하기

창문 및 방충망을 이용하여 모기가 실내에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기

낚시터 · 캠핑 등의 야외활동을 하거나 방충망이 설치되지 않은 실내에서는 모기장을 이용하고, 에어로졸 살충제를 사용법에 맞게 적정량을 분사하기

2️⃣ 해외여행 시

여행가기전, 여행지별 주의 감염병 확인 및 모기 기피용품 준비하기

방충망 또는 모기장이 있고 냉방이 잘 되는 숙소 이용하기

외출시 밝은색 긴팔, 긴바지 착용하고 모기가 많은 풀 숲 및 산 속 등은 가급적 방문하지 않기

귀국 후 2주 이내 의심증상 발생시 의료기관 방문하여 해외여행력 알리고 진료받기

여행 후 헌혈하는 경우 반드시 해외여행력 알리기

▼국가별 해외 감염병 정보 ▼


{"title":"🦟우리의 건강을 위협하는 모기 [모기매개 감염병 정보,예방수칙]","source":"https://blog.naver.com/dongjaksaran/223174722162","blogName":"동작구청 ..","blogId":"dongjaksaran","domainIdOrBlogId":"dongjaksaran","logNo":223174722162,"smartEditorVersion":4,"meDisplay":true,"lineDisplay":true,"outsideDisplay":true,"cafeDisplay":true,"blog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