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년 전
대전 유성구 전시회, 대전시립박물관 속 작은 전시 '조선의 환도'
대전 유성구 전시회,
대전시립박물관 속 작은 전시
'조선의 환도'
저는 어느 지역을 가나 그 지역을 알려면 해당 지역에 있는 박물관을 가보고는 합니다. 박물관만큼이나 그 지역을 잘 이해할 수 있는 곳은 없기 때문이죠.
대전광역시를 대표하는 박물관으로는 대전시립박물관이 있습니다. 대전지역의 오랜 과거에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지역의 역사를 그대로 담고 있는데요. 전시 내용들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대전을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됩니다.
대전시립박물관은 상설전시 외 특별전시도 수시로 열고 있는데요. '박물관 속 작은 전시'라는 주제로 정말 작은 전시도 수시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번 박물관 속 작은 전시는 '조선의 환도(環刀)'라는 주제인데요. 환도는 칼날이 휘어진 형태의 무기로 사용하는 칼을 말합니다.
도와 검은 오래전부터 무기뿐만 아니라 호신용, 장식용, 의장용으로 다양하게 사용하고 있는데요. 왕실에서는 재앙을 물리치기 위한 사인검, 호신용품이자 장식용인 장도, 무기로 사용되는 대표적인 검인 환도로 구분합니다.
장식 및 호신용으로 사용되었던 장도는 단순한 칼의 기능을 넘어서 휴대용 장비의 역할도 한 것 같은데요. 위 사진에 작은 막대 모양의 가느다란 도구는 휴대용 젓가락이라고 하는데요. 음식에 독이 있는지 확인하는 용도였다고 합니다.
장도는 그 용도에 따라 다양한 재질로도 제작되었는데요. 장식용이지만 호신용으로도 사용하기에 오늘날의 다용도 도구의 대명사인 일명 맥가이버 칼처럼 다양한 도구도 함께 넣을 수 있도록 만들어졌습니다.
예나 지금이나 이러한 기능들을 사용한다는 것이 신기하기만 합니다. 장도에 족집게도 포함을 시켰네요. 당시에도 이런 장도는 참신하고 인기가 있었을 듯싶습니다.
우리나라는 임진왜란 이전까지는 활과 말을 이용하여 왜구를 상대하였다고 하는데요. 임진왜란을 거치면서 일본군의 뛰어난 검과 검술에 충격을 받고 중국과 일본 검의 장점을 받아들이고 우리나라만의 환도로 발전시켰다고 합니다.
이러한 관심은 200여 년간 지속되었다고 하는데요. 1598년(선조31년)에는 우리나라 최초의 무예서 '무예제보', '무예도보통지' 등을 발간하였습니다.
박물관 속 작은 전시이지만 아주 알찬 전시인데요. 대전시립박물관에 가시면 놓치지 말고 꼭 관람해보시기를 바랍니다.
- #대전
- #유성
- #유성구
- #대전시립박물관
- #대전박물관
- #대전전시회
- #유성전시회
- #조선의환도
- #대전시립박물관전시
- #대전가볼만한전시
- #대전이색데이트
- #대전데이트코스
- #문화생활
- #문화예술
- #전시회
- #조선
- #역사
- #유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