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년 전
경북 의성 가볼만한 곳 추천 :: 조선시대 교육기관,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의성향교>
안녕하세요~ #의성군블로그기자단 김희열입니다. 오늘은 의성향교를 소개해 드릴게요! 경북에는 지역마다 향교가 있는데요, 의성에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50호인 의성향교가 있답니다.
향교는 국가에서 설립하여 유학을 가르치고 인재를 기르는 지방 교육 기관으로, 지금의 중·고등학교와 같은 역할을 했습니다. 의성향교는 조선 태조 3년(1394년)에 세워졌으며, 성종 때 고을 수령 이종준에 의해 현 위치로 옮겨졌으며 여러 차례 보수해 지금에 이르고 있습니다.
시나 문장을 짓는 법, 유교의 경전과 역사를 가르쳤고 중국과 조선 시대 성현에게 제사를 올렸습니다. 갑오개혁 이후 교육 기능은 사라지고, 춘계와 추계 공자에게 제사를 지내는 석전대제가 전해져 옵니다.
기와가 얹어지고 의성향교의 현판이 걸린 외사주문을 지나면 정면 5칸 측면 3칸의 홑처마 맞배지붕의 광풍루가 보입니다. 광풍루 가기 전 오른편에는 현령 여헌장선생 청덕비가 있는데 장현광 선생을 기리는 비석입니다.
동재는 전면 4칸, 측면 1칸 규모의 민도리계 홑처마 맞배지붕 건물로, 평면구성은 4칸 중 가운데 2칸을 통칸으로 두고, 양 협칸도 각각 온돌방으로 꾸며져 있는데 간벽에 문을 달아 서로 통하게 하였다고 합니다. 경의재 현판이 걸려 있습니다. 서재는 1991년에 신축하였고, 규모는 동재와 같으며 학습재 현판이 걸려 있습니다.
강학영역으로 학습공간이자 강당이라고 할 수 있는 명륜당입니다. 명륜당은 전면 5칸, 측면 3칸 규모의 익공계 겹처마 맞배지붕 건물로, 전면 중앙에 8단으로 구성된 계단이 있고, 최근에 보수한 장대석으로 축조한 기단 위에 덤벙주초를 놓고 원형 기둥을 세웠다고 합니다.
동실 서벽 중앙에 삼성재, 서실 동벽 중앙에 사물재 현판이 걸려 있습니다.
향교를 나와 위쪽으로 올라가니 대성전이 보였는데요, 지형에 따라 좌측 언덕에 제사를 지내는 공간인 대성전이 배치되어 있고, 공부하는 명륜당이 뒤에 있어서 전학후묘의 구조인 일반적인 향교와 달리 의성향교는 자리 배치가 다른 독특한 점이 있습니다.
대성전으로 가는 대성전 외사주문을 지나 돌아가니 대성전이 담장 위로 보였답니다. 대성전은 전면 5칸, 측면 3칸 규모에 겹처마 맞배지붕 건물입니다. 공자를 비롯한 5성과 22현의 위패를 모시고 있는 곳으로 평소에는 닫혀 있으며 2월과 8월 상정일에 석전 대재를 지냅니다. 의성에 오시면 꼭 한 번 방문해 보세요~ ^^
(참고자료 출처 :
■ 의성향교
- #의성군블로그기자단
- #의성군
- #의성
- #경북의성
- #의성가볼만한곳
- #경북의성군
- #경북가볼만한곳
- #의성여행
- #경북여행
- #의성향교
- #조선시대교육기관
- #향교
- #경상북도유형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