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 키우기 좋은 도시,

중구!👶🍼💕

2025년에도 부모님들의 부담을 덜고,

아이들이 더 건강하게 자랄 수 있도록

다양한 출산·양육·돌봄 지원 정보

카드뉴스로 정리했어요.👀💖

✅ 카드뉴스에서 우리 가족에게 꼭 맞는 제도를 찾아보세요.

💌 주변 육아맘·육아대디에게도 공유해 주세요!


출산지원

01. 중구 출산가정 배려스티커 배부 2025년 신규

✅ 배부대상: 관내 출산가정(2세 미만 영아 양육가정 포함)

✅ 배부물품: 현관용(초인종 자제 안내) 및 차량용(아이 동반 승차 안내) 자석스티커

✅ 배부방법: 출생신고 시 구청 민원여권과 및 동주민센터에서 직접 수령

https://blog.naver.com/junggu4u/223743446004

02. 중구 출산양육지원금

✅ 지원대상: 출생일 기준 12개월 이상 중구에 거주한 신생아 부모

✅ 지원규모

첫째아

둘째아

셋째아

넷째아

다섯째아 이상

100만원

200만원

300만원

500만원

1,000만원

※ 신청일 기준 거주기간 미충족시 중구 거주 12개월 충족 후 지원금 지급

※ 신생아와 부모 모두 중구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어야 하며, 그 외 경우는

지원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음

✅ 신청방법: 동주민센터 방문신청 또는 온라인 신청(정부24)

https://www.gov.kr/main?a=AA020InfoSidoCappViewApp&HighCtgCD=&CappBizCD=30100000008&tp_seq=

03. 첫만남 이용권

✅ 지원대상: 출생아로서 출생신고되어 정상적으로 주민등록번호를 부여받은 아동(주민등록상 생년월일로부터 2년이 초과되지 않는 출생아)

✅ 사용기한: 포인트 생성일~아동 출생일(주민등록일상 생년월일)로부터 2년

✅ 지원내용: 출생아당 첫째아 200만원, 둘째아 이상 300만원 포인트 지급(국민행복카드)

✅ 신청방법: 동주민센터 방문신청 또는 온라인 신청(복지로 사이트)

https://www.bokjiro.go.kr/ssis-tbu/twataa/wlfareInfo/moveTWAT52011M.do?wlfareInfoId=WLF00004656

04. 서울시 임산부 교통비 지원

✅ 지원대상: 신청일 기준 서울시 거주 임신 3개월 이상~출산 3개월 이하인 임산부(다문화 가족 포함)

✅ 지원내용: 임산부 본인명의 신용(체크)카드에 70만원 교통 포인트 지급

✅ 용도: 대중교통(버스, 지하철), 택시, 철도(기차), 자가용 유류비

✅ 사용기한: 바우처 지원일~출산 후 6개월까지

- 임신부: 분만예정일로부터 6개월이 되는 달의 말일

- 산모: 자녀 출생일(자녀 주민등록일)로부터 6개월이 되는 말일

✅ 신청방법: 동주민센터 방문신청 또는 온라인 신청(서울맘케어시스템, 정부24)

https://www.seoulmomcare.com/notice/businessGuide.do

05. 1인 자영업자 등 임산부 출산급여 지원 2025년 신규

✅ 지원대상: 신청일 기준 서울시 거주 출산한 1인 자영업자, 프리랜서 등

- 고용노동부 ‘고용보험 미적용자 출산급여’ 기 지급자

- 2024년 4월 22일 이후 자녀 출산 및 서울시 출생신고

- 신청일 기준 신청자, 출생자녀 주민등록상 서울시 거주

✅ 지원내용: 서울시 출산급여 추가지원 90만원

✅ 신청시기: 출산일(유·사산일)로부터 1년 이내

✅ 신청방법: 온라인 신청(몽땅정보만능키 사이트)

https://umppa.seoul.go.kr/hmpg/sprt/preg/bzin/bzmgPageDetail.do?biz_mng_no=16A62AE6CE142993E063A6022162A5D2

06. 1인 자영업자 등 배우자 출산휴가급여 지원 2025년 신규

✅ 지원대상: 신청일 기준 서울시 거주 출산한 배우자를 둔 1인 자영업자, 프리랜서 등

- 배우자가 출산한 날로부터 90일 이내에 배우자 출산휴가 사용

- 2024년 4월 22일 이후 자녀 출산 및 서울시 출생신고

- 출산일 이전 18개월 중 3개월 이상 소득활동이 있는 자

✅ 지원내용: 배우자 출산휴가급여 최대 80만원 (통상임금 수준, 8만원×사용일수)

✅ 신청시기: 배우자 출산휴가 종료일로부터 1년 이내

✅ 신청방법: 온라인 신청(몽땅정보만능키 사이트)

https://umppa.seoul.go.kr/hmpg/sprt/pgpt/bzin/bzmgPageDetail.do?biz_mng_no=16A62AE6CE162993E063A6022162A5D2

07. 중구 임산부 친환경농산물 꾸러미 지원 2025년 신규

✅ 지원대상: 신청일 기준 중구에 주소를 둔 ’24.1.1. 이후 출산한 산모 또는 임신부

※ 영양플러스사업, 농식품 바우처 중복 불가

※ 2024년 임산부 친환경농산물 꾸러미 지원대상 제외

✅ 지원내용: 1인당 연간 10만원 친환경농산물 구매 지원

※ 신청인원에 따라 지원금액 변경 가능

✅ 신청기간: ’25.4.1.~4.21. [3주간]

✅ 신청방법: 온라인 신청(에코이몰) 또는 중구청 가족정책과 출산가족팀 방문신청

※ 온라인 신청이 어려운 다문화가족, 장애인의 경우만 방문신청 가능

https://blog.naver.com/junggu4u/223817818093


양육지원

08. 부모급여·가정양육수당

부모급여

✅ 지원대상: 만 2세 미만 영아(소득무관)

✅ 지원내용: 만 0세(0~11개월)-월 100만원/만 1세(12~23개월)-월 50만원

✅ 신청방법: 동주민센터 방문신청 또는 온라인 신청(복지로 사이트)

https://www.bokjiro.go.kr/ssis-tbu/twataa/wlfareInfo/moveTWAT52011M.do?wlfareInfoId=WLF00004657

가정양육수당

✅ 지원대상: 24~86개월 미만 아동 중 보육시설 미이용 아동(소득무관)

✅ 지원내용: 아동 1인당 매달 10만원 지원

✅ 신청방법 동주민센터 방문신청 또는 온라인 신청(복지로 사이트)

https://www.bokjiro.go.kr/ssis-tbu/twataa/wlfareInfo/moveTWAT52011M.do?wlfareInfoId=WLF00003253&wlfareInfoReldBztpCd=01

<보육 상황별 서비스 신청>

보육 상황(가정양육↔어린이집↔유치원)에 따라 서비스 변경신청이 필요

※가정양육 : 양육수당 / 어린이집 : 보육료 / 유치원 : 유아학비

09. 아동수당

✅ 지원대상: 만 8세(0~95개월) 미만 모든 아동(소득무관)

※ 타 양육지원수당(부모급여, 가정양육수당)과 별개로 지급

✅ 지원내용: 아동 1인당 매달 10만원 지원

✅ 신청방법: 동주민센터 방문신청 또는 온라인 신청(복지로 사이트)

https://www.bokjiro.go.kr/ssis-tbu/twataa/wlfareInfo/moveTWAT52011M.do?wlfareInfoId=WLF00001171

10. 서울엄마아빠택시

✅ 지원대상: 서울시에 주소를 둔 24개월 이하 영아와 함께 주민등록이 되어 있는 실질적 양육자(다문화가족, 위탁가정아동도

신청 가능)

✅ 지원내용: 영아 1인당 연 10만원 택시(카시트 구비) 이용 포인트 지급 (운영업체 추가 포인트 지급 : 5천원~2만원)

(추가) 택시포인트 10만원 적립시(전대상) : 5천원

(추가) 3개월 내 택시포인트 전액 소진시(해당자) : 5천원

(추가) 다자녀 또는 한부모가족(한부모가족증명서 발급 대상자) (해당자) : 1만원

✅ 이용기간: 포인트 생성일 ~ 2025. 12. 15. 23:59(차량하차 기준)

✅ 신청밥법: 몽땅정보만능키 온라인 신청(운영사 ‘타다’, ‘파파’ 중 업체 선택)→자격확인 및 지급결정→포인트 지급→선택한 운영사 어플 설치 및 서비스 이용(계정 내 포인트로 결제)

https://blog.naver.com/junggu4u/223772017901

11. 가정행복 도시락 밀키트 먹거리 할인

✅ 지원대상: 서울시 거주 18세 이하 자녀 1명 이상 있는 가구

✅ 지원내용: 협약업체를 통한 도시락, 밀키트 등 구매 가능한 할인쿠폰 제공

✅ 신청기간: 매월 20일 0시~27일 23시59분, 선착순 접수

✅ 신청방법: 온라인 신청(몽땅정보만능키 사이트)

https://umppa.seoul.go.kr/hmpg/sprt/difa/bzin/bzmgPageDetail.do?biz_mng_no=ADE900F46F7F47A6A7D041419540A251

12. 공동육아나눔터

✅ 공동육아나눔터란?

자녀들은 또래와 어울리고, 양육자들은 소통하며 자녀를 함께 돌보는 공동 양육 공간

✅ 이용내용: 놀이공간 이용, 상시프로그램, 돌봄 품앗이

놀이공간 이용

이용대상: 미취학 아동과 보호자(*보호자 동반 필수)

운영시간: 월요일~금요일(공휴일 휴무) 오전 10:00~12:00/오후 13:00~17:40

상시프로그램

내용: 오감발달놀이, 동화책 읽기, 육아상담 등

운영: 주 2회(화/목)

돌봄 품앗이

월 1회 이상 3~4인 가족이 모여 다양한 주제로 함께 자녀를 돌보는 그룹 활동

✅ 위치 및 이용문의: 신당누리센터 2층 공동육아나눔터 ☎ 02-2254-0064

https://sujung.familynet.or.kr/center/lay1/bbs/S295T315C319/A/12/list.do


돌봄지원

13. 아이돌봄서비스 2025년 확대

✅ 지원대상: 중위소득 200% 이하의 양육공백(맞벌이, 다자녀 등)이 있는 생후 3개월 이상~만12세 이하 아동

✅ 지원내용: 가정에 아이돌보미를 파견하여 보육, 놀이, 하원 등 지원

✅ 신청방법: 동주민센터 방문신청 또는 온라인 신청(복지로 사이트)

✅ 시간제서비스(기본형) 기준, 정부지원금 및 본인부담금

중위소득

2018. 1. 1. 이후 출생

2017. 12. 31. 이전 출생

다자녀

할인

정부 지원

본인 부담

정부 지원

본인 부담

‘가’형

75% 이하

10,354원

(85%)

1,826원

(15%)

9,136원

(75%)

3,044원

(25%)

10%

‘나’형

120% 이하

7,308원

(60%)

4,872원

(40%)

4,872원

(40%)

7,308원

(60%)

10%

‘다’형

150% 이하

3,654원

(30%)

8,526원

(70%)

2,436원

(20%)

9,744원

(80%)

10%

‘라’형

200% 이하

1,828원

(15%)

10,352원

(85%)

1,218원

(10%)

10,962원

(90%)

10%

‘마’형

200% 초과

-

12,180원

(100%)

-

12,810원

(100%)

14. 둘째 출산시 첫째아이 돌봄 지원

✅ 지원대상: 둘째 이상 출산으로 12세 이하 기존 자녀 돌봄에 공백이 발생한 가정 중 아이돌봄서비스 이용자(‘24.1.1.이후 출산가정)

✅ 지원내용: 아이돌봄서비스 이용요금 본인부담금의 90~100% 환급(중위소득별 차등, 1가구당 100만원 범위 내 지원)

✅ 지원기간: 출산 후 1년 이내 서비스 매칭일로부터 90일 기간 내 지원

✅ 신청방법: 서울중구가족센터 이메일 또는 방문 신청(☎02-2279-3891) ※ 임신 판정일부터 신청 가능

https://umppa.seoul.go.kr/hmpg/reca/care/bich/bzmgPageDetail.do?biz_mng_no=062A1CE5D5848B7EE063A602216299A4

15. 서울형 아이돌봄비 지원

✅ 지원대상: 서울시 거주 만 24~36개월 이하 영아를 둔 중위소득 150% 이하 양육공백이 있는 가정(정부 아이돌봄서비스 가~다형)

✅ 지원내용: 조부모 아이돌봄비/민간서비스 이용권(택1)

✅ 지원금액: 월 40시간 이상 돌봄 시 월 30~60만원

※ 영아1명 : 30만원, 영아2명 : 45만원, 영아3명 : 60만원

✅ 신청기간: 매월 15일까지 신청

✅ 신청방법: 온라인 신청(몽땅정보만능키 사이트)

https://umppa.seoul.go.kr/hmpg/reca/care/bzin/bzmgPageDetail.do?biz_mng_no=59F45FE9BC024848AD07143C962E6869

16. 중구 임신부 가사돌봄서비스 지원

✅ 지원대상: 중구에 6개월 이상 거주한 모든 임신부(소득무관)

✅ 지원내용: 가사돌봄서비스(청소, 설거지, 세탁, 간단한 반찬 만들기, 위생보조) 지원 ※ 1일 4시간, 최대 5회 지원

✅ 이용요금: 무료

✅ 신청기간: 1월 ~ 11월 (11개월) ※ 예산 소진 시 사업 종료

✅ 신청방법: 관할 동주민센터 방문 혹은 온라인 신청(AI내편중구 사이트)

https://blog.naver.com/junggu4u/223727415866

17. 서울형 가사서비스 지원 2025년 확대

✅ 지원대상: 12세 이하 자녀를 양육하는 서울시 거주 중위소득 180% 이하 임산부·맞벌이·다자녀 가정

✅ 지원내용: 가정방문을 통한 가사서비스 지원(원하는 가사서비스 업체 직접 선택)

✅ 지원방법: 1가구당 신용(체크)카드에 70만원 포인트 지급

✅ 신청기간: 1월 ~ 11월 (11개월) ※ 예산 소진 시 사업 종료

✅ 신청방법: 온라인 신청(서울맘케어시스템 사이트)

https://www.seoulmomcare.com/notice/gasaGuide.do


📌 더 자세한 내용각 신청 링크를 확인해 주세요.

📌 문의관할 동주민센터 또는 중구청 가족정책과(☎ 02-3396-5432~4)로 연락주시면 안내해 드립니다.

⬇ 리플릿으로 내용 한번에 보기 ⬇

첨부파일
중구 출산양육지원안내 리플렛.pdf
파일 다운로드

부모님의 걱정은 덜고,

아이의 웃음은 더해드립니다. 😊



{"title":"2025년에도 아이 키우기 좋은 중구 <출산·양육·돌봄 지원 제도 모음.zip","source":"https://blog.naver.com/junggu4u/223853033357","blogName":"서울 중구..","domainIdOrBlogId":"junggu4u","nicknameOrBlogId":"서울 중구","logNo":223853033357,"smartEditorVersion":4,"meDisplay":true,"lineDisplay":true,"outsideDisplay":true,"cafeDisplay":true,"blog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