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철 야외 활동 시 주의해야 할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SFTS)

최근 4월 전국에서 총 2명의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사망자가 발생하였습니다.

이번 경북 발생 환자(여, 76세)는

지난 4월 초 쑥을 캐러 다녀온 후

어지럼증, 근육통, 식욕부진 증상으로

인근 병원에 입원하였으나,

증상이 악화되어 중환자실로 옮겨

치료를 받던 중 사망하였고,

사망 4일 후 SFTS 양성 판정을 받았습니다.

오늘은 일상 속에서도 다양하게 발생하고 있는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에 대해

경북이 알려드리겠습니다.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이란?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SFTS 바이러스(bandavirus dabieense)

감염에 의한 질환으로

SFTS는 4월부터 11월까지

농업, 임업, 산림 관련 직업 종사자에서

주로 많이 발생하는 바이러스입니다.

텃밭 작업, 풀베기, 등산, 골프 등

야외활동과 반려동물과 산책 시

풀밭에서 묻혀오거나 야생 동물과의 접촉 등

일상 속에서도 다양하게 발생하고 있어,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예방의 최우선은

진드기에 물리지 않는 것입니다.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감염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의 매개 진드기는

주로 어디에 있을까요?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의 매개 진드기는

주로 수풀이 우거진 곳에서 존재하다가

사람이나 동물과 같은 부착 대상이

수풀 속을 지나가면

숙주(사람, 야생쥐, 고라니, 멧돼지 등)에 붙어

감염됩니다.

멀리 떨어진 곳을 날아가 달라붙지 않기 때문에

진드기가 사는 곳에

사람들이 들어가게 됨으로써

접촉하게 됩니다.

진드기에 물리면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에

무조건 감염될까요?

질병관리청이 실시한

전국 진드기 채집 조사 결과에 따르면

SFTS 바이러스를 보유하고 있는 진드기는

0.5%의 최소 양성률을 보여,

일부 진드기가 SFTS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감염 증상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에 걸리게 되면

어떤 증상이 있을까요?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SFTS 바이러스를 보유한

작은 소피 참 진드기에 물린 후

주로 5~14일 잠복기를 거쳐 증상이 나타납니다.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감염 증상

38도 이상의 고열, 오심, 구토,

설사, 식욕부진, 혈소판 감소 등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은

치명률이 높고 예방 백신과 치료제가 없어

특히 주의해야 하는 감염병입니다.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예방 방법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은 어떤 방법이 있을까요?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예방 방법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

야외활동 시

- 풀밭 위에 옷을 벗어두지 않기,

눕지 않기, 풀밭에서 용변 보지 않기

- 돗자리 사용, 사용 후 세척하고 햇볕에 말리기

- 일상복과 작업복을 구분하여 입기

야외활동 후

- 옷을 털고 세탁하기, 샤워‧목욕하기

- 몸에 진드기가 붙어 있는지 꼼꼼히 확인하기

✅ 환자/감염 동물의 혈액 및 체액에 대한

직∙간접적 노출 주의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야외 활동 시 개인보호구 착용 등

예방수칙을 준수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 경북 SNS 바로가기 🔽

{"title":"봄철 야외 활동 시 주의해야 할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SFTS)","source":"https://blog.naver.com/gyeongbuk_official/223848722970","blogName":"경상북도 ..","domainIdOrBlogId":"gyeongbuk_official","nicknameOrBlogId":"경상북도 보이소","logNo":223848722970,"smartEditorVersion":4,"meDisplay":true,"lineDisplay":true,"outsideDisplay":true,"cafeDisplay":true,"blog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