껌을 모르고 삼킨다면

어떻게 될까?

껌 삼키면 정말 몸에 쌓일까?

안녕하세요,

인천시입니다.

껌을 씹다 보면

의도치 않게 꿀떡 삼킬 때가

있는데요.

그럴 때면

유명한 속설이 아른거립니다.

“껌 삼키면 7년 동안 몸 안에 쌓인대.”

사실일까요?

다행이도 사실이 아닌데요.

껌은 그렇다면 삼켜도 될까요?

흥미로운 내용

함께 알아보시죠!


껌은 향을 내는 감미료와 향료,

방부제 그리고 고무 재질의

기초제 등으로 구성됩니다.

나머지 성분은

소화 과정에서

쉽게 녹아 배출되는데요.

문제는 인공적으로 합성한 초산비닐수지 등

고분자량 화합물인 폴리머로 구성되는

고무 재질의 기초제입니다.

이 물질은 위산에 의해서도

분해되지 않는데,

다행히 기관 내에 쌓이거나

들러붙지 않고 대체로

소화 기관을 통해 그대로 배출되는데요.

보통 하루 만에

몸속에서 빠져나갑니다.

껌은 대부분 배출되지만,

소화 기능이 약한 어린이들의

장에서는 껌이 다른 음식물과

덩어리를 형성할 수 있는데요.

껌의 기초제는 분해가 되지 않기 때문에

다른 음식과 덩어리를 형성하면,

배출되지 못하고 장 속에 머물면서

복통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다량의 껌을 삼키지 않는

이상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소화기관이 약한 어린이

그리고 위·장 절제술을 받았거나

궤양성 장염이 있어 껌이

장에 들러붙을 가능성이 있는 성인은

껌을 삼키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삼키면 목구멍에 걸리진 않나?

껌을 삼키면 실제로

목에 걸릴 수도 있는데요.

껌을 씹고 있으면

일그러진 형태로 되어있기 때문에

만일 목에 걸린다해도 호흡은 가능합니다.

그러나 껌의 모양이 둥근

상태에서 목구멍에 걸린다면

호흡을 할 수 없게 되어

질식 할 가능성도 있는데요.

또 껌을

씹다가 잠드는 경우도 있는데

폐로 바로 들어갈 경우

아주 위험할 수 있으니

껌을 씹으면서 자는 경우도

없어야 합니다.

껌이 목에 걸렸을 땐 어떻게 해야 할까요?

껌이 목에 걸리거나

가슴 쪽이 답답하게 느껴질 경우

초콜릿이나 과자 등을 먹어야 하는데요.

기름기가 있는 성분으로

껌을 녹일 수있기 때문에

걸림을 해소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오랜시간이 지나도

해결되지 않는 경우

병원에서 진료받도록 해야합니다.

껌을 삼키지 말라고 하는 이유

껌은 영양성분이 없고 소화흡수도 되지

않기 때문에 먹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즉 몸에 해롭지는 않지만 기타 물질들과

상호작용으로 위험을 줄 수 있으므로

삼키지 않는 것이 좋으며 특히 어린이

일수록 위험요소가 크니 더 주의해야 합니다.

TIP, 껌 씹으면 치아에 좋다?

껌씹으면 타액(침)분비 촉진,

소화액 분비 촉진 등

긍정적이 효과도 많습니다.

또 음식물

찌꺼기를 씻어내고

산을 희석시켜 구강

내의 세균 증식을

억제시켜주기도 하는데요.

긍정적인 효과도 있는 껌이니,

주의하고 섭취하길

바랍니다!


이상,

인천시였습니다.


{"title":"껌을 모르고 삼킨다면 어떻게 될까?껌 삼키면 정말 몸에 쌓일까?","source":"https://blog.naver.com/incheontogi/223116325051","blogName":"인천광역시..","blogId":"incheontogi","domainIdOrBlogId":"incheontogi","logNo":223116325051,"smartEditorVersion":4,"meDisplay":true,"lineDisplay":true,"outsideDisplay":true,"cafeDisplay":true,"blog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