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15일을 맞이해 '3·15의거 기념일'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1960년 3월 15일 일어난 부정선거에 맞서 민주정신을 지키고자 한 시민들의 민주화운동.

그날의 사건 발생 배경부터 항쟁 의미를 살펴보고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져볼 수 있도록 해봐요.

대한민국 현대사 최초 민주화운동,

3·15의거

'3·15 의거'1960년 3월 15일 부정선거에 항거하여 선거 당일 마산 시민이 일으킨 시위 사건입니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최초로 평화적 시위대를 향해 경찰이 집단 발포하여 다수의 희생자가 발생한 유혈 민주화운동이랍니다.

민주정의를 되찾기 위해 시작된 대한민국 현대사 최초 민주화운동에 대해 함께 알아봐요!

출처 : (사) 3·15의거기념사업회

3·15 의거

부정 선거 1차 항쟁

3월 15일 선거 당일, 이승만 자유당 정권은 4할 사전투표, 3·5·9인조 공개투표, 완장부대 활용, 투표함 바꿔치기 등과 같은 온갖 부정행위로 자유당 후보를 당선시키려 했습니다.

그 결과, 이승만 88.7% 득표, 이기붕 79% 득표로 당선되었습니다.

이러한 부정행위가 목격되자 격분한 마산시민은 반발하며 1960년 3월 15일 '협잡선거 물리쳐라'라는 구호를 외치며 거리로 뛰쳐나왔는데요. 수많은 군중들이 모여 마산에서 대규모 시위가 일어났습니다.

출처 : (사) 3·15의거기념사업회

📌 부정선거 행위

4할 사전투표

기권표와 사망자, 전출자 등의 유령표를 전체 유권자의 4할 정도의 표를 미리 자유당 표로 만들어 투표함에 채워두는 부정행위

3·5·9인조 공개 투표

유권자를 3, 5, 9인조로 편성해 투표소로 들어가 조장의 확인 아래 투표하여 자유당 선거위원에게 보여주고 투표하는 부정투표

완장부대 활용

자유당 완장을 찬 사람들을 투표소 주변에 배치시켜 유권자를 심리적으로 압박하여 자유당에게 투표하도록 하는 부정행위

야당 참관인 축출

야당 측 참관인을 매수하여 참관을 포기하거나 여의치 않을 경우 구실을 붙여 투표장에서 축출하는 부정행위

투표함 바꿔치기

불을 끄고 투표함을 바꿔치기하는 부정행위

출처 : (사) 3·15의거기념사업회

4월 혁명의 도화선

3·15 의거 2차 항쟁

부정선거에 맞서 평화 시위를 벌이고 있는 시민들을 강제 해산시키기 위해 경찰을 투입시켜 무차별 발포와 체포를 시작했습니다.

이로 인해 많은 시민들이 다치며 수십 명의 사상자를 발생시켰습니다.

부정적 여론이 계속 이어졌고 4월 11일, 3·15 시위 중 행방불명되었던 김주열 군의 시체가 오른쪽 눈에 최루탄이 박힌 처참한 모습으로 마산 중앙 부두 앞바다에 떠오르자 다시 분노에 찬 시민들의 2차 시위가 시작되며 전국으로 확산되었습니다.

출처 : (사) 3·15의거기념사업회

4월 혁명의 도화선

4·19 혁명

1, 2차 마산 시민의 항의는 전국으로 확산되면서 4월 19일 혁명으로 이어졌는데요. 학생들과 일반 시민들이 가세한 대규모 시위로 커졌습니다. 그리고 시위의 목적이 부정선거 무효뿐만 아니라 이승만 정권의 퇴진 자체를 요구하게 되었는데요.

4월 26일 이승만은 재선거를 약속 및 대통령직을 사임하며 자유당 정권도 끝이 났습니다.


3·15의거 기념일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봤는데 어떠셨나요?

자유·민주·정의를 위해 부정선거에 맞서 투쟁한 결과 되찾은 민주주의. 대한민국 민주주의 투쟁에 한 획을 그었던 '3·15의거'를 기억하고 민주정신을 되새겨봐요!

{"title":"3·15의거를 기억하고, 민주정신을 되새겨봐요","source":"https://blog.naver.com/ulsan-namgu/223383012722","blogName":"울산광역시..","blogId":"ulsan-namgu","domainIdOrBlogId":"ulsan-namgu","logNo":223383012722,"smartEditorVersion":4,"meDisplay":true,"lineDisplay":true,"outsideDisplay":true,"cafeDisplay":true,"blog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