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철에는 야외활동이 많아지고 건조한 날씨와 강풍으로 인하여

산불 발생이 늘어나는 시기이므로, 산불이 발생하면 소중한 자연을 잃게 되고,

우리의 생명까지 위협받을 수 있으므로 무엇보다 산불 예방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며,

입산자는 라이터·버너 등 인화물질 소지를 명심해야 합니다.

봄철에는 논·밭두렁을 태우는 것은 해충 방제 효과에 미비하므로 절대하지 않는다.

봄철 산행 시 산불 예방·행동 요령

(3월 6일부터 4월 30일까지 산불특별대책기간)

🔥 산불을 발견하면 119에 신고합니다.

🔥 초기의 작은 산불을 외투, 나뭇가지 등을 이용해 두드리거나 덮어서 불을 끕니다.

🔥 산불 규모가 커지면 산불 발생 지역에서 멀리 떨어진 안전한 곳으로 불길을 등지고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으로 빨리 대피합니다.

🔥 대피할 여유가 없을 때는 낙엽이나 나뭇가지 등이 없는 곳에서 얼굴 등을 가리고

불길이 지나갈 때까지 엎드려 있습니다.

🌳 산행 전에 산림청 홈페이지를 통해 통제되지 않은 출입 가능한 등산로를 확인합니다.

※ 산불 예방 : 산불조심 기간(봄철 : 2.1~5.15, 가을철 : 11.1~12.15)

🌳 산에는 성냥, 라이터 등 화기물을 가져가지 않고 담배를 피우지 않습니다.

🌳 산에서 취사, 야영을 하지 않습니다. ※ 지정된 야영장과 대피소에서만 가능

[출처, 자료]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산림청

봄철에는 야외활동이 많아지고 건조한 날씨와 강풍으로 인하여

산불 발생이 늘어나는 시기이므로

산불 예방에 주민 여러분의 적극적인 동참이 필요합니다.

{"title":"봄철 산행 시 산불 예방 · 행동 요령","source":"https://blog.naver.com/gwangjunamgu/223059787264","blogName":"광주광역시..","blogId":"gwangjunamgu","domainIdOrBlogId":"gwangjunamgu","logNo":223059787264,"smartEditorVersion":4,"meDisplay":true,"outsideDisplay":false,"cafeDisplay":true,"blogDisplay":true,"line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