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서동이에요(ง •_•)ง. 여름철 가장 신경 쓰이는 생명체는 바로 모기인데요. 윙윙 귓가를 맴도는 소리에 잠을 설치며 모기에 물려 극심한 가려움증을 호소하기도 하죠. 우리를 괴롭히는 모기!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데요. 말라리아 감염의 우려가 있기 때문이에요. 말라리아가 왜 위험한지, 감염되면 어떤 증상이 나타나는지, 말라리아 예방법은 무엇인지 서동이와 함께 알아보러 가실까요?

말라리아

말라리아가 위험한 이유, 감염시 나타나는 증상, 질병 예방법에 대해

말라리아의 주된 감염 원인은 바로 모기인데요! 말라리아 병원충을 가진 학질모기에 물려 감염되는 법정 전염병인데요. 갑자기 고열이 나며 설사 및 구토 증상이 나타나고 심한 경우 발작까지 이어지는 경우도 있답니다.

2020년 기준 세계 85개국에서 약 2억 4100만 명의 환자가 발생했으며 약 62만 7000명의 목숨을 앗아간 위험한 질병인데요. 국내도 예외는 아닙니다. 질병관리청에서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2022년 국내 말라리아 환자 수는 총 229명 (2022년 8월 13일 기준)으로 집계되어 2021년 동기간에 비해 8명 증가했으며 인천과 경기, 강원 북부 지역에서 많이 발생했어요.

말라리아 매개모기 조사감시사업 결과 위험지역에 서식하는 말라리아 매개모기는 작년 동기간에 비해 2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어 올해는 더욱 각별한 주의가 필요해요.

말라리아 모기는 어떻게 구분하나요?

말라리아 매개모기는 주로 풀숲 혹은 축사 근처에서 관찰되며 주로 일몰 후부터 일출 전까지 활동해요. 앉아있을 때 꽁지를 들고 있는데요. 말라리아 매개모기는 일반 모기와 다르게 앉을 때 엉덩이를 45도 정도 들고 있습니다. 또한 비행 시 소리가 나지 않는 특징이 있어요.

대표적인 말라리아 증상은?

말라리아의 대표적인 증상은 오한, 고열, 발한 등이 있는데요. 감기 증상과 비슷하여 자칫 감기로 착각할 수 있지만 증상이 수일간 지속되거나 구토 혹은 설사가 동반되는 경우 말라리아를 의심해 봐야 해요.

증상이 나타난다면 근처 보건소 혹은 병원에 내원하여 신속 진단 검사를 받아봐야 해요. 신속히 치료받는다면 완치가 가능하지만 자칫 치료시기를 놓친다면 합병증이 생기거나, 의식저하, 호흡곤란으로 이어질 수 있어 조기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말라리아 예방법?

최고의 말라리아 예방법은 모기와의 접촉을 최소화시키는 것인데요. 위 이미지에서 소개된 5가지 방법이 대표적인 예방법이랍니다. 동남아시아, 중동, 중부 아프리카, 중남미 등 말라리아 위험지역은 되도록 방문을 삼가시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피치 못할 경우 의사와 상담하여 항말라리아제 복용을 권장 드려요.

출국 1주 전부터 복용을 시작하여 귀국 후 4주간 추가로 복용해야 하며 반드시 구매 전 약물 내성 여부를 파악하고 전문 의료진의 상담을 받아보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지금까지 서동이가 말라리아 증상 및 예방법에 대해 설명드렸는데요. 가장 효과적인 예방법은 모기와의 접촉을 최소화하는 것이며 감기 증상이 지속되거나 구토 설사가 동반되는 경우 말라리아 감염을 의심해 봐야 한다는 것! 우리 모두 숙지하여 안전한 여름 보내요. 저 서동이는 건강 관련 정보를 자주 소개하여 '건강한 서구'를 만드는데 앞장서겠습니다. 다음에 또 다른 흥미로운 소식으로 찾아뵐게요.

{"title":"여름철말라리아 이렇게 예방하세요! (+말라리아, +말라리아증상, +말라리아예방법)","source":"https://blog.naver.com/iseogu/223165890660","blogName":"인천시 서..","blogId":"iseogu","domainIdOrBlogId":"iseogu","logNo":223165890660,"smartEditorVersion":4,"meDisplay":true,"lineDisplay":true,"outsideDisplay":true,"cafeDisplay":true,"blog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