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1월 1일부터 시행되고 있는

유통기한 & 소비기한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일상생활에서 마트나 편의점, 슈퍼 등에서

물건을 구매하실 때

유통기한을 꼼꼼하게 체크 확인하고 구매하시죠?

우리가 알고 있는 유통기한이

2023년 1월 1일부터

'소비기한'으로 변경되었습니다.

소비자들이 소비할 수 있는 기간도

늘어나게 되었습니다.

우리나라는 1985년 표시제를 도입한 후

일자 표시제를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38년 동안 '유통기한'으로 표시되었었는데

이제는 '소비기한'으로 표시합니다.

가게의 지출도 줄일 수 있고 폐기물도 줄일 수 있는

'소비기한 표시제'

하나하나 체크해 알려드릴게요.

유통기한과 소비기한의 차이점은?

유통기한

제품이 제조일로부터 소비자에게 유통 및 판매가

허용되는 기한을 뜻합니다.

소비자는 이 기한 내에 보관하고

관리된 식품을 안심하고 먹었으며

제조업체들은 제품의 품질이나 안전성을

책임지고 보장한다는 의미로

지금까지는 유통기한을 넘긴 식품은

변질되거나 부패되지 않아도 판매를 할 수 없었습니다.

소비기한

소비자가 식품 등에 표시된 보관방법을 준수할 경우

개인이 섭취하여도 안전한

이상이 없는 기한을 말합니다.

식품유형

품목수

유통기한

소비기한

증가율

가공유

1

16일

24일

50%

유산균음료

3

18일

26일

44%

빵류

4

20일

31일

53%

두부

4

17일

23일

36%

묵류

4

16일

19일

20%

농후발효유

7

20일

24일

17%

발효유

6

18일

32일

74%

과자

1

45일

81일

80%

간편조리세트

5

6일

8일

27%

소비기한으로 변경되면 유통기한보다

소비할 수 있는 기간이 늘어나고

유통기한은 실제 식품의 품질 변화 시점을 기준으로

60~70% 앞선 기간으로 설정

소비기한은 80~90% 앞선 기간까지 정하기 때문에

기간이 더 늘어납니다.

예를 들어 유통기한이 17일인 두부의 경우

소비기한은 23일로 6일이나 더 길어집니다.

달걀이나 두부처럼

가정에서 자주 구입하시는 식품의 권장 소비기한은

위에 표를 참조해 주세요.

소비기한은 소비할 수 있는 기한이라서

더욱 보관방법을 잘 지키셔야 됩니다.

요즘 장염이 많이 유행하고 있어서

특히나 음식물 보관에 신경 쓰셔야 될 것 같습니다.

유통기한 표시가 38년 만에 사라지지만

식약처에서는 우유. 우유가공품 등 우유류

경우 위생적 관리와 품질유지를 위한

냉장 보관기준 개선이 필요해서

다른 품목보다 8년 늦춰서 2031년 시행합니다.

냉장( 0~10℃)

보관식품

우유류. 원유. 가공유류.

산양유. 버터유. 농축유류.

유청류 살균제품. 두부.묵

( 밀봉 포장된 것) 세척달걀

(-2℃~5℃) 또는

냉동 ( -18℃이하)

보관식품

포장육( 분쇄육 가금류포장제품에 한함)

식육( 분쇄육.가금류)분쇄가공육제품등

냉장(0℃~10℃) 또는

냉동(-18℃) 보관식품

식육가공품( 분쇄가공육제품 제외)기타식육식육(분쇄육.가금육제외)포장육(분쇄육또는 가금류의 포장육제외)

냉장(0℃~10℃) 또는

냉동(-18℃ 이하 )

보관식품

버터류. 치즈류. 발효유류.

가공두부. 양념젓갈.

신선편의식품. 생식용굴.

소비기한은 소비할 수 있는 기한으로

더욱 보관방법에 신경 쓰여야 됩니다.

특히 더운 여름철 음식이 상하기 쉽기 때문에

꼭 지켜주세요!

* 음식물 보관방법*

냉동실에는 가장 오래 보관할 식품은

온도 변화가 가장 적은 냉동실 안쪽에 보관해 주세요.

특히 육류나 어패류 등은

냉동실 하단에 씻어서 보관하시고

조리식품은 냉동실 상단에 보관해 주세요.

냉장실에는 잘 상하지 않는 식품은 문쪽에 보관하시고

달걀은 온도 변화가 큰 문쪽에는

금방 먹을 것만 보관하세요.

육류나 어패류는 금방 먹을 것은 신선실 보관하시고

어패류는 밀폐용기에 보관해 주세요.

채소나 과일은 씻어서 밀폐용기 보관

(신문지에 써서 보관하면 오염될 수 있습니다)

새롭게 시행되고 있는 '소비기한'

탄소 배출도 줄일 수 있고

음식물 폐기물도 줄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유통기한 임박한 상품 구매를 주저하는

주부님들이 계시죠?

제조 날짜를 보면서

음식의 신선도가 떨어져 보이는 것 같고

유통기한도 얼마 남지 않아서 불쾌해

물건 교환을 요청할 경우도 적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이런 기준은 유통기한이 기준이 되었기 때문입니다.

전문가들은 소비기한 표시제 사용을 하게 되면

1년에 약 1조 원 이상을 절약할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기존 방법보다 최대 50%

절반 이상 소비 권장하는 기간이 늘어났다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생활 속 날짜가 지났다고

바로 쓰레기통으로 들어갔던 음식물들이

많았었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정책이 바뀜에 따라 좋은 점도 있지만

기존 유통기한이 좀 지나도 괜찮다며

날짜가 지난 식품을 무리 없이 조리해 먹기도 하는데

소비기한 날짜를

유통기한 지난 것과 같은 조건으로 생각하고

섭취하면 안 됩니다.

어떠세요?

새롭게 도입된 유통기한이 아닌

소비기한 알고 장 보러 가시면

똑똑한 장보기 하실 수 있으실 것 같습니다.

만든 반찬은 큰 통에 담지 말고

작은 통에 나눠 담아 위생적으로 먹으세요.

일주일 후에는 비빔밥, 볶음밥 등

남은 재료를 소비할 수 있는 요리로

탄소중립,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에

동참하셨으면 좋겠습니다.


{"title":"소비기한 & 유통기한 차이점? 함께 알아봐요!","source":"https://blog.naver.com/daegu_news/223036334257","blogName":"대구광역시..","blogId":"daegu_news","domainIdOrBlogId":"daegu_news","logNo":223036334257,"smartEditorVersion":4,"meDisplay":true,"lineDisplay":true,"outsideDisplay":true,"cafeDisplay":true,"blog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