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년 전
공주 섬유산업의 메카..유구섬유역사전시관
섬유산업의 역사
공주 유구섬유역사전시관
1980년대까지 국내 직물산업의 부흥을 선두에서 이끌은 섬유산업의 메카 유구 직물의 우수성과 역사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유구섬유역사전시관을 찾았다. 공주 여행에서 지인들과 함게 찾아간 섬유 산업의 메카인 유구에서 섬유의 역사를 알아보는 시간이었다.
공주시 유구가 우리나라 섬유산업의 메카이고 섬유산업과 함께 걸어온 유구의 역사 그 자체였다.
요즘같이 더운 날에는 실내 전시관이 아이들과 함께 방문하기 좋다. 기회가 되면 이곳을 운영하시는 분의 완벽한 설명을 들으며 과거 직물기 등을둘러보는 시간 여행을 하면 더욱 의미 있는 여행이 될 것이다. 주차는 5대 정도 작은 공간이다.
공주 섬유산업의 메카 유구섬유 최고 부흥기에는 이곳에 약 160여 개 직물 공장이 활발하게 운영되었으나, 지금은 몇몇 공장만 남아 있다고 한다. 십승지의 깊숙한 곳에서 직물 산업은 르네상스 시대를 맞이하였으나 지금은 세월과 함께 쇠퇴하고, 유구섬유역사 전시관에서 시간 여행을 한다.
공주 유구섬유역사전시관 내부에는 과거에서 부터 현재까지의 섬유 관련 전시품 수직기, 달랭이감기, 작태기, 해사기, 자카드 등으로 꾸며져 있다. 유구섬유역사전시관에서 우리나라 섬유 역사의 발자취를 알아보았다.
1940년도에는 8.15 해방과 6.25를 겪으면서 유구가 변모하기 시작했다. 정감록의 십승지지 영향으로 이북의 함경도, 평안도 황해도 피난민들이 모여들며 이북에서 직물업을 했던 사람이 수족기를 직접 제작하여 직조를 한 것이 유구직물의 시발점이다. 1950년도 베틀을 개량한 수직기로 천을 짜기 시작하면서부터 우리나라 산업화가 시작되었다. 처음 가족 중심의 가내 수공업에서 기술자와 공녀들을 채용하는 공장으로 격식을 갖추기 시작한 그때가 유구 직조의 시작이었다.
1960~70년도 동력북직기 직조시기는 유구 직조의 2차 변화로 현대화된 직조기계의 도입 시기다. 동력 복직기의 보급으로 가내 수공업 수준의 직조 산업을 공업화로 변모시켰다. 직조 관련 상업도 점차 변해 1977년경 나일론을 짜기 시작하였고 시장성이 좋아 급속도로 파급되었다.
1979~90년도 무북직기의 도입과 섬유 산업의 불황으로 이어졌다. 1990년대 중반에 접어들면서 중국의 값싼 직물류가 대량으로 수입되면서 직조업 경기는 떨어지기 시작했고 결정적으로 1997년 IMF가 시작되자 경기는 바닥으로 떨어졌다.
2000년도 현대 직조기 도입, 직물 조합설립 및 쟈카드 세터 출범의 부흥기이다. 유구자카드섬유연구소가 설립되어 연구가 시작하면서 생산 제품에 대한 고급화, 다양화를 적극 추진하였다. 국내 여성 고급 한복지 최대생산지로 국내 유일의 원조 색동옷감 생산지로 한창 주가를 올리고 있다.
전통 섬유 직조방식, 공장 직물제직 과정을 디오라마로 제작 전시해 과거 섬유제조 방식과 현대적 섬유제조 방식을 한눈에 볼 수 있었다.
유구섬유역사전시관
위치 : 충남 공주시 유구읍 시장길 50
운영시간 : 10:00 ~ 18:00
문의전화 : 041-841-7186, 010-9552-225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