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년 전
벌초 & 성묘 안전수칙 | 벌쏘임·예초기 사고 주의사항은?
한식이나 추석을 앞두고 ‘벌초’에 나선 분들이 많습니다. 조상의 묘에 자란 풀이나 나무를 베어 깨끗하게 정리하는 벌초는 일반적으로 추석에 성묘를 가기 전 미리 해두어야 하는데요. 여름철까지 무럭무럭 자라던 풀의 성장이 멈추기 때문에 이맘때 벌초를 해 두면 비교적 오랜 시간 묘가 깔끔하게 유지되는 장점이 있답니다.
벌초 또는 성묘를 위해 오랜만에 고향을 찾는 분이라면 각종 안전사고에도 주의를 기울이셔야겠습니다. 매년 이맘때 화재, 벌 쏘임, 예초기 등 각종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기 때문인데요. 돌아오는 한가위. 안전한 벌초 & 성묘를 위한 안전수칙을 미리 확인하고 가세요!
예초기 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 수칙
무성하게 돋아난 잡초나 풀을 손쉽게 베는데 사용되는 예초기! 풀을 벨 때 편리하게 사용되지만 예초기의 칼날은 매우 날카롭기 때문에 자칫하면 심각한 사고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예초기를 사용할 때에는 사용방법을 완전히 숙지하고 안전장비를 갖춘 뒤 사용해야 하고요. 작업 시에는 돌이나 나뭇가지를 미리 치워주는 것이 좋습니다. 또 작업자 간 안전거리 15m 이상을 반드시 확보하여 혹시 모를 예초기 사고를 예방해 주도록 합니다.
① 동력 차단 방법, 엔진 정지 방법 등 예초기 사용법을 반드시 숙지 ② 보호안경, 안전화, 장갑 등 안전장비를 착용하고, 긴 옷을 입어 몸을 보호 ③ 작업 전 돌이나 나뭇가지 등을 미리 치우고, 벌집 등이 있는지 확인! ④ 작업 시에는 안전거리(15m 이상)를 충분히 유지하기 ⑤ 예초기를 무리하게 휘두르거나 지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주의 ⑥ 예초기 날 수시로 점검, 풀이 날에 엉켜 기계가 멈췄을 경우 반드시 전원을 끄고 확인하기 ⑦ 작업을 마친 후에는 엔진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장비를 점검하기 |
벌 쏘임 사고 예방하기
벌초나 성묘 시에는 벌 쏘임 사고도 주의해야 합니다. 8~9월은 벌의 산란기로 벌이 예민해지는데다 벌초나 성묘를 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벌 쏘임 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는데요.
벌 쏘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야외활동 시 밝은색 계열의 옷과 챙이 넓은 모자를 착용하고 향수나 향이 진한 화장품은 사용하지 않도록 합니다. 벌집을 건드렸을 때 벌집 근처에 있으면 벌의 공격성이 줄어들지 않아 더욱 위험하므로 몸을 최대한 낮추고 빠르게 뛰어 20m 이상 벗어나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벌에 쏘였을 땐 신용카드 등으로 피부 표면을 밀어내어 신속하게 벌침을 제거하고요. 벌에 쏘인 부위를 깨끗하게 물로 씻은 후 얼음주머니 등으로 냉찜질을 해주면 통증을 줄일 수 있습니다.
① 밝은색 계열의 긴 옷이나 챙이 넓은 모자 착용하기 ② 향수, 스프레이, 화장품 등 향이 강한 화장품의 사용 자제 ③ 막걸리, 과일, 음료 등 벌들을 유인하는 효과가 있는 음식 및 음료의 취식 자제하기 ④ 벌집을 건드리거나, 벌을 위협하지 않기 ⑤ 벌집을 건드렸을 경우 몸을 낮추고 20m 이상 빠르게 뛰어 벗어나기 ⑥ 벌에 쏘이면 신속하게 벌침 제거하기. 벌침은 핀셋보다는 신용카드 등으로 피부 표면을 밀어 빼내어 주기 ⑦ 벌에 쏘인 부위는 소독하거나 깨끗한 물로 씻은 후 얼음주머니로 찜질하기 ⑧ 과민반응에 의해 쇼크가 일어날 경우 환자를 편안하게 누이고 호흡을 편하게 해준 뒤 119에 신고하기 |
화재 사고 예방하기
가을은 고온 건조한 날씨로 인해 산불 발생의 위험이 높아지는 계절이기도 하죠. 등산객은 물론 추석을 앞두고 벌초나 성묘에 나선 분들도 화재사고에 각별히 유의해야 합니다.
특히 담배 · 향불을 피우거나 묘지 주변에서 쓰레기를 소각하는 행위는 산불 발생 위험을 높이는 행동이므로 화재 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반드시 피해야 합니다. 또한 산불 발견 시에는 산림청 산불방재과(☎ 042-481-4119)로 신속히 신고하여 조기에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해주세요.
① 담배·향불 피우지 않기 ② 묘지 주변에서 쓰레기 소각하지 않기 ③ 산불 발견 시 산림청 산불방재과(☎ 042-481-4119)로 신속히 신고하기 |
이 밖에도 야외 작업 시 진드기 매개 감염병인 쯔쯔가무시증의 발생에도 유의해야 합니다. 야외 작업 시에는 긴팔이나 긴 바지, 토시, 장갑, 워커 등을 착용하여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유의하시고, 풀숲에 옷을 벗어 놓는 것은 금물입니다.
행정안전부의 통계에 따르면 연중 예초기 사고의 70%가량이 8~9월에 발생한다고 합니다. 벌 쏘임 사고도 7월부터 급증해 8~9월 가장 많이 발생한다고 하는데요. 가을철 야외활동이 늘어나는 것도 원인이지만, 명절을 앞두고 벌초 & 성묘에 나선 분들이 많아지는 것 또한 주요한 원인이라고 하죠. 모두가 즐겁고 안전한 민족의 명절 한가위를 위해 성묘나 벌초 시 오산시가 알려드린 안전수칙을 잘 지켜주세요 :)
- #추석
- #성묘
- #벌초
- #벌초안전수칙
- #벌초주의사항
- #성묘주의사항
- #벌쏘임
- #예초기
- #예초기사고
- #사고예방
- #안전수칙
- #화재예방
- #산불예방
- #쯔쯔가무시
- #쯔쯔가무시예방
- #한가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