맑고 신선한 공기를

도심으로 끌어들이고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 물질과

도심 내 열기를

도심 밖으로 배출하는

바람 솔솔~

도시 바람길숲 조성 사업이

2024년 진행됩니다.

청주시가 도심의 미세먼지 저감 및 열섬 현상 완화에 효과적인 '도시 바람길숲'을 조성합니다.

도심에 바람이 솔솔~

청주가 더 맑고 시원해진다!

도시 바람길숲 조성

2024~2027년

✔ 대기오염(미세먼지) 저감

✔ 도시열섬현상 완화

✔ 탄소 흡수원 확충

도시 바람길숲 조성 사업은 찬 공기의 특성을 이용해 도시권 외곽에서 생성된 찬 공기가 도시 생활권으로 유입되도록 풍향 변화, 풍속 증가하도록 하는 사업입니다.

민선 8기 청주시의 공약 사업이자 도시민의 생활환경 개선을 위한 '도시 바람길숲' 조성 사업은 2024년부터 2027년까지 추진될 예정이며, 4년간 국도비 130억 원을 포함 총 20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합니다.

이를 위해 시는 2024년에 1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기본 및 실시설계를 시작하고 2025년부터 연차적으로 사업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청주시바람길숲 조성 사업은 4년간 200억 원 투입해 2024년에 기본계획 및 실시설계를 시작으로 추진됩니다.

도시 바람길숲 조성 사업은 시민이 누리는 대기의 질, 공간의 질을 높이는 사업으로, 대기오염(미세먼지) 저감, 도시열섬현상 완화, 탄소 흡수원 확충 등의 효과가 있습니다.

도시 바람길숲 조성으로 기후 변화 대응하는 것은 물론 도시숲 그린인프라 구축과 도시 생활 환경 개선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는 기대도 있습니다.

외곽 산림의 깨끗하고 찬 공기를 도심으로 끌어들여 미세먼지와 열섬현상 등을 완화할 수 있도록 바람길을 내는 도시 바람길숲 조성 사업은 밤낮의 기압차를 이용해 설계합니다.

도시 외곽 숲에서 생성한 맑고 찬 공기를 도시 내부로 끌어들이고, 도심 숲에서는 대기순환을 통해 오염물질과 뜨거운 공기를 도시 밖으로 빼내는 생태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도시 바람길숲 조성사업

도시 외곽 숲에서 생성한 맑고 찬 공기를 도시 내부로 끌어들이고,

도심 숲에서는 대기순환을 통해 오염물질과 뜨거운 공기를 도시 밖으로 빼내는 생태 시스템

도시 바람길숲이 조성되면 도시 전역에 크고 작은 숲이 서로 연결되어 신선한 바람이 빠르게 구석구석 퍼지고, 도심 속 공원녹지 기능도 강화됩니다.

또한 탄소 흡수량을 높일 수 있고 기후 변화에도 잘 적응할 수 있게 숲을 조성할 수 있어 탄소중립을 실천할 수 있습니다.

도시 바람길숲 조성 사업

탄소 흡수량을 높일 수 있고 기후 변화에도 잘 적응할 수 있는 숲 조성으로 탄소중립 실천

도시 바람길숲 구상도

'도시 바람길숲' 조성 사업은 세계적인 기후 위기에 따른 기후변화, 미세먼지 및 도시열섬 등 환경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산림청 도시숲 정책사업 중 하나입니다.

도시 외곽 산림에서 발생하는 차갑고 신선한 공기를 도시 내부로 유입하기 위한 체계를 만들기 위해 바람의 생성, 이동, 확산을 위한 도시숲을 조성하는 사업입니다.

도심까지 산의 맑은 공기가 잘 도착할 수 없어 열섬현상, 열대야 등이 발생합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최적의 방법이 바로 바람의 이동 통로를 만드는 바람길숲을 조성입니다.

바람길숲은 바람생성숲, 연결숲, 디딤‧확산숲으로 구성됩니다.

바람길 숲 구성요소 출처: 산림청

정의 :

찬 공기를 생성하는 도시 외곽의 대규모 산림지역

역할 :

산림 훼손지 복원, 숲 가꾸기를 통한 밀도 조절로 산림구조 개선 및 기능 강화

조성원리 :

○ 찬 공기가 생성되는 도시 외곽의 경사도가 높은 대규모 산림 등을 대상으로 함

○ 생성된 차가운 공기가 잘 순환되고 이동할 수 있도록 임연부의 산림 구조 개선

○ 도심 가까이에 훼손된 사람은 우선적으로 복원

○ 찬 공기 생성 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건강한 숲을 만들어 식생 활력도 높임

정의 :

생성숲에서 만들어진 찬 공기의 이동 통로로 가로수, 하천변 등 녹지지역

역할 :

하천, 도로를 활용한 가로녹지를 조성해 도시 내부로 바람을 유입하고 거점숲에 머무를 수 있도록 바람통로 확보

조성원리 :

○ 바람생성숲에서 만들어진 차가운 공기의 이동통로 역할

○ 외곽 산림에서 도심으로 연결되는 하천, 도로 등을 활용하여 바람의 이동통로 조성

○ 시가지를 통과하는 하천은 대기오염 물질을 포함하지 않는 양호한 바람길

○ 도로의 경우 여름철 표면 온도가 높아지지 않도록 수목을 이용한 그늘을 확대하고, 도로에서 발생한 미세먼지 및 오염물질이 보행로로 이동, 축적되지 않도록 조치

○ 넓은 폭의 선형 녹지의 경우, 도심 내 가장 중요한 연결 숲으로 수목 식재를 통한 그늘 제공과 더불어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수목 배식을 고려

정의 :

기온차를 통한 미풍 생성 역할을 하는 도시 내 거점숲으로 도시공원, 옥상녹화, 학교 등이 해당

역할 :

기존 도시공원, 도시숲 등 식재구조 정비로 기능강화

조성원리 :

○ 도심 내 일정 규모 이상의 숲과 녹지, 유휴지를 대상으로 함

○ 생성숲에서 만들어진 차가운 공기가 도심으로 유입되는 데 도움을 주며, 경사가 있는 대규모 디딤‧확산숲은 도심 내부에서 소규모 생성숲 역할을 하기도 함.

○ 신규 숲 조성이 어려운 고밀 도심의 경우 다양한 녹화 기법을 활용하여 바람길숲의 기능 강화 조치 필요 (벽면녹화, 옥상녹화, 수직숲, 녹색주차장, 담장 허물기 등)

도시 바람길숲 효과

✔ 도시열섬 완화

미세먼지 저감

숲의 생활환경 개선

'도시 바람길숲'이 완성되면 도시 전체의 기온 저감과 더불어 미세먼지 저감 효과, 숲 생활환경 개선 효과가 있습니다.

  • 도시숲은 기온을 3~7℃ 낮추고, 습도를 9~23% 높여 도시열섬현상 완화 - 나무 한 그루는 공기청정기 10대 및 에어컨 10대 효과

  • 옥상·벽면 녹화 시 기온 5℃ 저감

  • 하층숲이 조성된 가로수는 보도 내 온도 4.5℃ 저감 효과

  • 도시숲 안에서 15분 머물 경우 도시숲 밖에서 보다 약 2~3℃ 체온이 저감

  • 저감 원리 : 바람길 유도를 통해 도시로 유입된 차고 신선한 공기가 오염된 공기를 희석하고, 도시 내부 대기 순환을 촉진하여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물질을 외부로 배출

  • 도로변 수목은 보행자 높이에서 교통에 의한 오염물질 농도 약 7% 정도 저감

  • 도시숲은 미세먼지 저감뿐 아니라 한여름 열대야를 줄이고, 휴식과 심리적 안정 제공

  • 도시 내 서식 동물이 살아가는 생태적 복합 공간

시민 공간의 질을 높이는 도시 바람길 숲 조성

시는 청주시에 적합한 도시바람길숲을 설계하고 추진할 수 있도록 과학적인 바람길 분석을 통해 최적의 대상지를 선정하고, 관련 전문가와 시민들의 의견을 청취하는 주민설명회와 공청회 등을 주기적으로 실시할 계획입니다.

공원, 산림, 도로, 하천, 도시, 환경 등 관련 부서와도 칸막이 없는 협업을 통해 시민이 누리는 청주를 더 맑게 누릴 수 있도록 온 힘을 다할 예정입니다.

청주 도시 바람길숲 개념도

청주 도시 바람길숲 개념도

미세먼지보다

맑은 공기가

많은 깨끗 청주!

한 여름에도

바람 솔솔 잘 통하는

시원 청주!

나날이 더 좋아지는

청주를

기대해 주세요!

{"title":"도시 바람길숲 조성! 청주가 더 맑고 시원해집니다","source":"https://blog.naver.com/cjcityblog/223276974636","blogName":"청주시청 ..","blogId":"cjcityblog","domainIdOrBlogId":"cjcityblog","logNo":223276974636,"smartEditorVersion":4,"blogDisplay":true,"meDisplay":true,"lineDisplay":true,"outsideDisplay":true,"cafe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