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서동이에요! 오늘은 조금 의미있는 소식을 전해보려 합니다. 바로 '6·25전쟁 무공훈장 찾아주기 사업' 소식입니다! 아직 주인을 찾지 못한 6·25전쟁 무공훈장이 제자리를 찾을 수 있도록 서구민 여러분의 많은 관심을 바라며, 지금부터 이 사업이 어떤 사업인지 소개해드릴게요!

6·25전쟁 무공훈장 찾아주기 사업이란?

무공훈장의 주인을 찾습니다!

우리나라에는 가슴아픈 역사가 있죠. 바로 6·25전쟁인데요. 전쟁 속에는 우리나라의 평화와 국민들의 안녕을 위해 목숨을 바친 영웅들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그 공로를 인정해 6·25의 영웅들에게 무공훈장이 수여됐는데요. 하지만 많은 분들이 무공훈장을 아직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국방부에서는 무공훈장의 주인을 찾아나서기로 했어요!

목숨을 걸고 우리나라를 위해 싸워주신 분들이 받아야 할 당연한 권리를 되찾을 수 있게 쏘니 손흥민 선수도 나서서 '6·25전쟁 무공훈장 주인공 찾기 캠페인'에 함께 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서구과 서구민도 가만히 있을 수 없죠?! 우리 주변에 계시는 무공훈장의 주인공을 제보해주세요!

사업의 의의

6·25전쟁 당시 훈장 수여가 결정되었으나

실물 훈장을 받지 못한 수훈자와 유가족을 찾아

훈장을 수여함으로써 호국영웅의 공훈을 기리고

명예를 고양하여 국민의 애국정신을 기르는데

이바지하기 위한다.

이렇게 신원이 확인된 '내 고장 영웅' 무공수훈자 또는 유가족에게는 지자체장 주관으로 지역 군부대장, 보훈단체, 지역 기관장 및 주민 참석 하에 훈장 수여행사가 시행된답니다. 또 생존하신 무공수훈자께는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과 연계하여 의료 및 주거환경 개선사업이 시행된다고 해요!

무공 수훈자 혜택

1. 영예 수당 지급

2. 보훈병원 진료

3. 국립묘지 안장 등

무공수훈자 및 유가족 확인방법

사실 무공훈장 대상자들은 80대 이상의 고연령자가 많으시기 때문에 여러분들의 참여가 무엇보다도 절실하답니다. 철저한 조사를 통해 영웅들이 받아야 할 마땅한 권리를 찾아드리기 위함이니, 우리 서구민 여러분들의 많은 관심과 제보를 부탁드릴게요! 지금부터는 무공수훈자와 유가족을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무공수훈자 연명부 항목

구분번호

56,000여 명 무공수훈자 전체의 일련번호

소속 및 계급

6·25전쟁 당시 수훈자의 복무부대와 계급

군번

복무 당시 군번. 복무 중 장교로 임관된 경우 군번이 변경됨.

성명

수훈대상자의 성명. 두음법칙, 기록상 오기, 아명으로 기입된 경우가 있음.

생년월일

수훈대상자의 생년월일 또는 주민번호로 기록이 상이한 경우가 많음.

연명부에는 1921년생이나 제적(원장)은 1931년생인 경우 등 최대 10년까지차이 발생함.

전역(사망)일

무공수훈자의 전역 또는 사망일

유가족 성명

수훈대상자의 형제, 친인척 성명

주소

무공수훈자의 복무 당시 거주지 또는 본적지. 행정구역 개편으로 주소가 상이한 경우가 많음.

거)전쟁시 거주표 보)보훈처 제공 주소 매)매화장 보고서 주소 훈)훈장기록 주소

전)전사자 보고서 주소 병)병적표 주소 상)상훈명령 주소

지방자치단체에서 무공수훈자를 확인하는 방법

첫번째 방법은 바로 주민등록을 통한 검색 방법입니다. 6·25전쟁 휴전 당시 생존자(만기전역, 만제, 예편, 전공상전역 등)는 주민등록(구)원장을 통해 생년월일과 성명을 입력하여 검색합니다.

• 생년월일이 상이한 경우가 많아 출생년도를 바꿔서 재검색 합니다.

예) 자료에는 1925년생이나 수훈자 확인이 되지 않을 경우 1924년, 1923년 1926년 등으로 출생년도를 바꿔서 재검색 합니다.

6․25전쟁 참전용사들은 1915년∼1935년생 등이며 1920년대 출생자가 가장 많습니다.

• 원장과 제공된 연명부 간 군번이 상이한 경우가 있습니다. 기록이 잘못 되었거나 병사 입대 후 장교로 전환되는 경우가 있으니 생년월일, 성명 등이 일치한다면 동일인으로 판단하시면 됩니다.

• 두음법칙으로 인해 성명이 상이한 경우가 있으니 동일인으로 판단하시면 됩니다.

예) 연명부 성명: 홍길룡, 림길동 / 원장 성명: 홍길용, 임길동

전사자의 경우에는 제적을 통해 검색할 수 있는데요. 주로 전사자의 아버지 또는 전사자 형제의 첫째아들(장손) 제적에서 전사기록이 확인되는 경우가 많다고 하는데요. 또 제적 마지막 줄에 'OO지구에서 전사‘로 기록된 경우가 많다고 하니 참고하시면 좋을 거 같아요.

• 연명부에 기록된 주소의 제적을 검색하여 전사자나 유가족을 찾습니다.

• 주소지 내 전사자나 유가족의 이름이 없을 경우 색인을 통해 전사자의 형제, 조부·백부·부친을 추정하여 전사자 일치여부를 확인 합니다.

- 형제 추정방법: 생년월일과 비슷한 연배의 돌림자를 쓴 인원

예) '1926년 홍길동'일 경우 유사년도 출생의 '홍현동, 홍인동...' 확인

- '조부·백부·부친' 추정방법: 본적지 상 전사자보다 20년 먼저 태어나고 같은 성을 쓰는 사람

전사자의 형제로 추정되는 인원의 제적 상 부친 또는 전 호주

• 제적이 재정비 된 경우 전사자를 제외한 경우가 있으므로 그 이전 제적을 확인해야 합니다.

6·25 전쟁 무공훈장 주인공 찾기 조사단

☎ 1661-7625


지금까지 서동이와 함께 6·25 전쟁 무공훈장 찾기 캠페인 소식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우리의 평화로운 현재는 과거 영웅들의 희생 위에 만들어 진 것이라는 사실, 앞으로도 잊지 않겠습니다! 국가와 국민을 위해 희생한 분을 존중하고 기억하는 나라를 위해, 노력하는 서구와 서동이가 될 것을 약속드리며! 지금까지 서동이었습니다!

{"title":"무공훈장의 주인을 찾습니다! 6·25전쟁 무공훈장 찾아주기 사업!(+6·25전쟁, 무공훈장 찾아주기, 전쟁영웅)","source":"https://blog.naver.com/iseogu/223043225399","blogName":"인천시 서..","blogId":"iseogu","domainIdOrBlogId":"iseogu","logNo":223043225399,"smartEditorVersion":4,"meDisplay":true,"lineDisplay":true,"outsideDisplay":true,"cafeDisplay":true,"blog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