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년 전
무한 즐거움 "삼천포 팔포팔락 업타운" 도시재생뉴딜 지역특화재생 사업
SNS서포터즈
무한 즐거움 "삼천포 팔포팔락 업타운"
도시재생뉴딜 지역특화재생 사업
경남 2곳 선정, 삼천포 팔포팔락 지역특화재생 사업
"삼천포 팔포팔락업타운 도시재생 지역특화사업"은 작년 국토교통부 도시재생특별위왼회 심의회의를 통해
2023년 하반기 도시재생사업지 전국 20개소(혁신지구 1개소, 인정사업3개소, 지역특화재생 16개소)중 한 곳으로
선정되었습니다.
사업기간은 2024년부터 2027년까지 4년간의 사업이며, 이번 사업을 통해 팔포문화공작소, 팔포브랜드 팝업스토어, 팔포스쿨, 팔포팔락 플랫폼 조성 등 다양한 하드웨어 공간 사업과 함께 소프트웨어(교육 및 문화프로그램)사업을 통해
선구동 및 도서동 일원(선구동17-74외)의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우고 있습니다.
조성예시 <출처 : 사천시도시재생지원센터>
사업의 기본구상 및 목표
홈페이지 바로 가기 http://4000urc.or.kr/
사천시 도시재생 사업?
<도시재생사업을 지원하는 중간지원조직 "도시재생현장지원센터 두곳>
1. 삼천포 구항 도시재생현장지원센터 (지혜의바다)
주소 : 경상남도 사천시 어시장길 43
총3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층 공유주방, 2층 현장센터사무실, 3층 공용회의실로 조성되어 있습니다.
2. 대방굴항도시재생현장지원센터 (대방복합커뮤니티센터)
주소 : 경상남도 사천시 대방동 236
2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층 공용공간, 2층 센터사무실 및 공동교육장으로 되어있습니다.
우리지역 도시재생 사업 현황
1. 청널카페
경남 사천시 청널길 38-36
협동조합에서 위탁 운영하는 곳으로, 청널공원 풍차 전망대 바로 앞에 위치하여 있습니다.
사천시도시재생센터와 함께 지난 2년간 다양한 교육을 통해 레시피를 개발하여 오픈하였습니다.
현재는 삼천포의 핫플레스 카페중 하나로 인식되어 있습니다.
주말이나 공휴일에는 종종 지역 시민 및 기획자들과의 협업을 통해 공연 및 플리마켓 진행을 하고 있습니다.
2. 모두자리 (게스트하우스)
주소 : 경남 사천시 대방1길 69 모두자리 House
인터넷 예약 및 관련정보 : https://naver.me/x58djjqa
삼천포 대교가 한 눈에 들어 오는 좋은 위치에 있어, 특히나 낚시를 좋아하는 분들에게 인기가 많은 모두자리
하우스는 협동조합에서 위탁운영 관리를 하고 있으습니다
네이버를 통해 예약을 진행 할 수 있으며, 주변에는 굴항 및 재생사업으로 진행 된 다양한 셉티드
(범죄안전예방디자인)를 보는 재미와 함께 해안공원도 바로 경험 할 수 있습니다.
3. 등대길101 카페
주소 : 경상남도 사천시 서금동 112
바다를 배경으로 공연을 할 수 있는 멋진 곳으로, 초기엔 공간을 개선하고 사천시도시재생지원센터로 활용되다
현재는 협동조합에서 위탁운영 하고 있습니다.
노산공원과 이어지는 트래킹 코스는 주민 및 관광객들에게 인기가 있으며, 앞으로 3월에 오픈예정인 청년에비뉴와
뒷쪽 길로 연결 되어있어 지역 관광 및 경제활성화에 큰 시너지를 만들어 낼 것으로 예상되어 집니다.
4. 망산카페
주소 : 경남 사천시 선구2길 50
망산카페는 망산공원을 산책하는 주민분들에게 좋은 쉼의 공간이자 여러 프로그램들을 경험 할 수있는
공간며, 저녁에는 이쁜 전구가 빛을 내며 또 다른 삼천포의 멋진 뷰를 선사해 주는 곳 입니다.
5. 삼천포커뮤니티 에코주차장
주소 : 사천시 서부시장길 88
삼천포 용궁수산시장, 전통시장 및 새벽시장을 찾는 시민 및 관광객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있으며, 얼마전 공간
매입을 마무리하고 주차 출입관련 동선을 정비 및 공사를 진행 중입니다.
공사가 완료되면 더욱더 활용도가 높아 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6. 삼천포항 공영주차장
주소 : 사천시 어시장길 125
* 대형버스 주차가능 시설
7. 청년에비뉴
주소 : 경상남도 사천시 등대길 19
청년에비뉴는 현재 최종 공사를 진행중에 있으며, 2월중 공사를 마무리 하고, 3월에는 다양한 시민들이 함께
할 수 있는 공간으로 오픈을 예정하고 있습니다.
그 외에도 다양한 셉티드(범죄안전예방디자인) 사업등을 통해 어두운 골목길을 개선하여, 주민들에게 더욱더 안전하고 쾌적한 환경을 조성해 주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삼천포 지역은 특히나 타지역에서도 협동조합을 통한 다양한 도시재생 시설 운영부분에 우수함을 인정 받아
선진지 견학지로도 인기가 있는 지역인 동시에, 다양한 인프라와 연결된 콘텐츠를 만들어 낼 수 있기 때문에 가능이 높은 것으로 평가 되고 있습니다.
기존 진행 되고 있는 도시재생 사업들과 연계하여, 신규로 선정된 팔포팔락 도시재생 사업이 진행 될 수 있게 됨으로써 삼천포는 더욱더 완성도 높은 도시재생의 청사진을 그릴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도시재생 함께 하고 싶은 시민분들!!!
도시재생 지원센터에서는 주민공모사업 지원을 통해 주민 스스로 지역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도전을 지원하고
있으며, 이번 2월 16일까지 두개의 사업지 현장지원센터를 통해 참여자를 모집하고 있습니다.
공모사업이 처음이라서 혹시 어려운 부분이 있다면, 사천 시민분들은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될 것 같습니다.
이유는 바로 사업 관련 담당자분들이 너무나 친절하게 사업을 안내해 주기시 때문입니다.
이번을 계기로 우리골목, 동네, 도시를 바꾸는 "도시재생"사업의 주인공이 되어 보는 것은 어떨까요?
더욱더 상세한 내용은 포스터와 함께 링크를 참고하면 됩니다.
1. 대방굴항 도시재생현장지원센터 - 주민공모사업
관련링크 : https://www.sacheon.go.kr/news/00009/00014.web?gcode=2017&idx=2075824&amode=view&
2. 삼천포 구항 도시재생현장지원센터
관련링크 : https://www.sacheon.go.kr/news/00009/00014.web?gcode=2017&idx=2075822&amode=view&
도시재생 사업이 무엇인가요?
도시재생 사업은 한 단어로 표현 하면 <활성화>라고 할 수 있다. 즉 활성화라는 단어와 조합을 이뤘을때
공공의 이익에 반하지 않고, 주민들의 삶의 환경을 개선하는 것이라고 한다면 일반적으로 포함 될 수 있습니다.
<문화를 통한 활성화 : 문화적재생>
사천의 자랑 장구의 신, 박서진은 노래를 통해 지역을 알리고, 덕분에
지역엔 팬분들이 찾아온다. 삼천포를 찾아온 팬들은 지역에서 다양한 소비를 하고
결국 이런 과정은 지역 활성화로 연결이 되며, 이런것을 바로 문화적 도시재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창업을 통한 활성화 : 상권재생>
대표적인 예는 바로 예산전통시장을 활성화 시킨 백종원 대표의 사례이다. 예산군도 도시재생을
통한 다양한 공간을 구성 및 기획을 하였고, 그 중 하나가 사례가 바로 "예산전통시장"이니다.
이렇게 로컬 상권창업을 통해 지역 활성화가 되는 것을 상권재생 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서울 성수동의 경우 공장이 많던, 공업구역이었으나, 현재는 대한민국의 트렌드를 이끌고 있는 핫플레이스로 성장 하였습니다. 그 바탕에는 바로 공간기획을 통한 <새활용-공간재생>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새활용은 단순하게 공간이나 사물을 다시 원래 목적으로 쓰는 "재활용"의 개념을 넘어 새로운 용도, 목적 및 콘텐츠를 융합을 하여 활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서울 성수동 대림창고은 기존엔 단순 물건들의 적제의 기능을 하던 공간이었습니다. 도시재생을 통해 새로운 콘텐츠인 "카페 및 전시"의 공간으로 업그레이드를 한 예를 들수 있습니다.
그 외에는 부산의 영도, 감천마을, 통영의 동피랑, 경주의 황리단 길이 대표적인 공간재생으로 시작하여 지역재생까지 확산된 경우라고 생각 할 수 있습니다.
도시재생사업은 공간의 활성화를 넘어, 동네, 지역 및 도시를 활성화는 단계를 걸칩니다. 이를 통해 지방소멸의 문제를 안고 있는 지역에는 새로운 기회가 되어주고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그렇다고 해서 도시재생 사업이 공간만 보전하고 개선하는 사업으로 오해하기 쉬운데, 사실 공간 뿐 아니라 문화적 재생, 관계구성 프로젝트 및 프로그램을 통한 주민관계 개선들도 굉장히 중요한 요소이고 도시재생 뉴딜사업으로, 그리고 그 다음단계를 준비하는 시점에서 이제 주민의 참여는 더욱더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만약 도시재생이 관심있으시다면, 앞으로 2024년에 진행될 도시재생지원센터의 "도시재생대학이나 교육프로그램"
등에 참여해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기본적인 도시재생 교육 및 공부를 하고 싶다면 국토교통부와 LH에서 운영 관리하는 <도시재생종합정보체계>
온라인 교육과 최근 도시재생사업의 다음 스텝으로 인식되고 있는 로컬크리에이터 교육을 들어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1. 도시재생종합정보체계
메뉴 > 지식마당 > 온라인 교육
도시재생종합정보체계는 다양한 도시재생 관련 정책 및 자료를 찾아 볼 수 있는 곳입니다.
도시재생 사업을 통해 지역의 활성화와 함께 하고자 하시는 분들은 타지역의 좋은 사례들도 많이
공부 할 수 있기때문에 참고 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2. 로컬대학
행정안전부에서 운영하는 로컬크리에이터(도시재생) 성공사례 교육 플랫폼
로컬, 즉 지역이 중요해지고 있는 2024년입니다. 이런 시점에서 지역의 콘텐츠를 브랜드해 지역 활성화를
도모하는 것이 바로 로컬크리에이터 사업입니다. 로컬크리에이터 사업은 사실 중소벤처기업부의 사업이지만
지역이란 카테고리 안에서 국토교통부의 도시재생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나 10만 미만 도시에서 지역 활성화를 하기 위한 다양한 노하우를 배울수 있는 좋은 교육을 들을 수
있기 때문에 "로컬대학"을 참고하면 도움이 될 것 입니다..
* 취재일 : 2024년 01월 19일(금)
* 삼천포 구항도시재생현장지원센터 관계자분들의 인터뷰를 기반으로 작성한 내용입니다.
* 기타 관련된 내용은 도시재생 관련 정보 검색후 유용한 정보를 첨부하였습니다.
[제9기 사천시 SNS 서포터즈 최광운 로컬큐레이터]
※사천시 SNS서포터즈가 작성한 글이며 사천시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사천시 #삼천포 #팔포팔락업타운 #도시재생뉴딜
- #사천시
- #삼천포
- #팔포팔락업타운
- #도시재생뉴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