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0기 김해시 SNS 서포터즈 김근

음악과 예술의 조화

클레이아크김해미술관에서 성악가 도슨트와 함께하는 특별한 이야기

2024. 3. 1(금) ~ 3. 31(일)

화~토요일 10:00 / 11:00 / 14:00 (일 3회/휴관일 제외)

장소 : 큐빅하우스 입구 대기 후 참여

소요시간 : 약 40분

김해의 문화적 보물 중 하나인 클레이아크김해미술관은 항상 예술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주는 곳입니다.

이번에는 미술관의 공간이 단순한 전시를 넘어서, 예술 간의 경계를 허무는 실험적인 무대로 변신했습니다.

바로 전시해설 특별 프로그램 <성악가 도슨트가 들려주는 음악과 전시 이야기>가 그 주인공입니다.

이 독특한 프로그램은 예술의 다양한 양상을 조화롭게 결합하며, 방문객들에게 전에 없던 경험을 선사합니다.

2023년 3월 한 달 동안,

화요일부터 토요일까지 매일 세 차례씩,

미술관의 큐빅하우스 입구에서는 특별한 만남이 이루어집니다.

성악가이자 도슨트인 이효재님이 진행하는 이 프로그램은 단순한 전시 설명을 넘어,

음악과 미술이 어우러진 이야기를 들려주며 관람객들의 감성을 자극합니다.

첫 번째 코스인 <뉴 락> 전시부터 시작하여,

세라믹창작센터의 입주작가들이 선보이는 [2023 입주작가 결과보고전] 일상의 풍경 Capturing Everyday Life까지,

이 프로그램은 예술을 통해 자연과 인간, 일상과 비일상 사이의 경계를 관람합니다.

이 글에서는 성악가 도슨트의 독특한 해설을 통해 클레이아크김해미술관에서 펼쳐지는 이 두 전시가 어떻게 관람객의 마음을 사로잡는지,

그리고 예술이 우리의 생각과 감정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이야기하려고 합니다.

예술의 세계로의 여정 그 첫걸음을 함께 떼어보시죠.

장한나 작가의 작업은 자연 속에서 진행 중인 플라스틱의 암석화 과정을 촬영한 사진을 통해,

대자연의 경이로움과 인간 활동의 아이러니를 포착합니다.

이러한 작업들은 기후 위기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키는 동시에, 대자연의 변화하는 아름다움에 대한 성찰을 유도합니다.

<뉴락> 전시는 플라스틱의 자연 속 암석화 과정, 전국 해변에서 수집한 표본을 통한 인간의 흔적 관찰, 신생태계 형성과 기후위기 메시지 전달, 그리고 새로운 생태계 탐구를 통해 인간 활동이 자연에 영구적인 변화를 가져오는 방식을 보여주는 다양한 섹션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뉴락> 전시는 단순한 미적 체험을 넘어서, 관람객들이 일상생활 속에서의 소비 행태를 재고하고,

자연과 더 조화롭게 살아갈 방법을 모색하게 하는 강력한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이 전시는 예술을 통해 사회적, 환경적 문제에 대한 인식을 확장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지속 가능한 미래를 향한 실천적 단계로의 초대장을 관람객에게 제시합니다.

장한나 작가의 메시지, "자연은 인간의 인공물까지 자연의 일부로 받아들인다. 우리는 그들을 우리의 일부로 받아들일 준비가 되었는가?"라는

<뉴락> 전시의 핵심 주제를 담고 있습니다.

이 질문은 인간이 만든 물질, 특히 플라스틱과 같은 인공물이 자연 속에서 어떻게 암석화되어 자연의 일부가 되는지를 관찰하고

이를 통해 형성된 새로운 신생태계에 대한 깊은 성찰을 요구합니다.

2023 입주작가 결과보고전 <일상의 풍경(Capturing Everyday Life)> 전시는

클레이아크김해미술관에서 개최된, 다양한 예술가들이 참여한 세라믹창작센터의 국제레지던시 프로그램 결과물을 선보이는 전시입니다.

이 전시는 일상적인 순간과 개인의 경험을 도자 예술을 통해 표현한 작품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김미루, 오선영, 유재연, 조은필, Kuo Shu-Fan, 송나원, 엄기성, 은희경, Ruth Ju-Shih Li 등 국내외 다양한 작가들이 참여하였습니다.

조은필 작가는 전시에서 자신의 작업실에서 키우는 화분에서 영감을 받아 '친절한 불편'을 주제로 한 도자 예술 작품을 선보였습니다.

이 작품들은 일상 속 불편함과 그 안에서 발견할 수 있는 의미 및 아름다움을 탐구하며,

자연 소재를 사용해 일상에서 마주하는 불편함이 실제로는 삶을 풍요롭게 만드는 중요한 요소임을 시각적으로 표현합니다.

송나원 작가는 전시에서 사회와의 소통과 인간의 사물화를 주제로 한 작품을 통해, 현대 사회에서 개인이 겪는 소통의 장벽과 감정적 고립을 예술적으로 탐구했습니다.

오선영 작가는 전시에서 자신이 마주한 자연을 음악적 리듬으로 해석한 작품을 선보였습니다.

작가의 작품은 클레이아크미술관 주변에서 관찰한 자연의 모습을 기반으로, 초자연적인 우화를 통해 소개합니다.

이를 통해, 오선영 작가는 자연과의 교감을 통해 얻은 영감을 도자기라는 매체로 표현하며,

관람객들에게 자연의 아름다움과 그 속에 내재된 음악성을 느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은희경 작가는 전시에서, 잠에 들지 못해 스크린 속 존재들을 바라보는 개인적 경험을 바탕으로 한 작품을 선보였습니다.

그녀의 작업은 물리적 존재와 가상적 존재 사이의 관계, 그리고 일상 속에서 만연한 초현실적 감각을 시적으로 탐구합니다.

이를 통해, 작가는 현대 사회에서 디지털 기술이 개인의 일상과 감정에 미치는 영향을

예술적으로 표현하며, 관람객들로 하여금 현실과 가상의 경계에 대해 성찰하게 만듭니다.

엄기성 작가는 전시에서, 서울과 김해 진례에서의 생활 경험을 바탕으로 한 작품을 선보였습니다.

그의 작업은 두 지역의 상반된 모습을 도자 조각 위에 이미지로 표현함으로써,

자신이 경험한 심리적 불안감과 새로운 환경에 대한 적응 과정을 탐구합니다.

작가의 작품은 일상과 환경 변화가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을 섬세하게 다루며,

관람객들에게 자신의 생활 공간과 그 속에서 느끼는 감정의 변화에 대해 생각해 볼 기회를 제공합니다.

유재연 작가는 전시에서, 자신의 미성숙함을 대변하는 다양한 페르소나를 통해 인물들을 등장시킨 작품을 선보였습니다.

그의 작업은 비대칭적이고 불규칙한 형태의 인물들을 통해, 어딘가 모르게 불안한 모습을 표현하며,

이는 작가가 일상적으로 느낀 감정과 결합되어 우리 모두의 이야기로 확장됩니다.

작가의 작품은 개인적 경험과 내면의 감정을 섬세하게 다루며, 관람객들에게 자신의 내면을 탐색하고 더 깊은 자기 이해에 이르는 계기를 제공합니다.

Kuo Shu-Fan 작가는 전시에서, 자신의 일상과 그로부터 발화된 다양한 이야기와 감정을 다채로운 캐릭터를 통해 재해석한 작품을 선보였습니다.

그의 작업은 개인적 경험과 감정의 세계를 탐구하며, 이를 통해 관람객들이 자신을 객관적으로 인식하고,

이상적인 인간 모습에 대한 열망을 드러내는 과정을 예술적으로 표현합니다.

작가의 작품은 사회를 이해하려는 작가의 성찰과 탐구를 보여주며, 관람객들에게 자신의 내면과 사회적 관계를 다시금 생각해 볼 기회를 제공합니다.

김미루 작가는 전시에서, 인간의 성장과 자기 발견의 여정을 탐구하는 작품을 선보였습니다.

그의 작업은 불안정한 내면과 그것을 이겨내기 위한 개인적 노력을 다양한 표현 방식으로 통해 선보입니다.

작가는 연약하지만 꾸준한 태도로 불안정함을 극복하려는 과정을 통해, 자신만의 여정을 예술적으로 표현하며,

관람객들에게 삶의 고난과 그 속에서 발견되는 성장의 가치에 대해 성찰할 기회를 제공합니다.

Ruth Ju-Shih Li 작가는 전시에서, 자연적 순환과 시간의 점진적인 흐름에 대한 성찰을 통해, 인간의 필멸성에 관한 작품을 선보였습니다.

그의 작업은 스스로의 성찰과 명상을 바탕으로 하며, 꽃으로 이루어진 장소특정적이고 임시적인 도자 설치를 통해,

생명의 순환과 시간의 무상함을 예술적으로 탐구합니다.

Ruth Ju-Shih Li의 작품은 관람객들에게 인간 존재의 본질과 자연의 일부로서의 우리 자신을 깊이 있게 반영하게 만들며,

삶과 죽음, 성장과 소멸이라는 주제에 대해 세심한 탐구를 제공합니다.

클레이아크김해미술관에서 진행된 전시해설특별프로그램 <성악가 도슨트가 들려주는 음악과 전시 이야기>는

예술의 다양한 얼굴을 탐색하는 뜻깊은 여정이었습니다.

성악가의 독특한 해설을 통해 전시된 작품들과 그 이야기들이 새로운 생명을 얻었으며,

음악과 미술의 조화로운 결합이 관람객에게 예술에 대한 깊은 이해와 감동을 선사했습니다.

<성악가 도슨트가 들려주는 음악과 전시 이야기> 프로그램은 예술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며,

모든 관람객들에게 예술 작품 속에 숨겨진 무한한 이야기와 감정을 탐색할 수 있는 기회를 선사했습니다.

클레이아크김해미술관의 이번 프로그램은 예술의 본질을 탐구하고, 그 경계를 넓혀가는 데 있어 중요한 한 걸음이 되었습니다.

#클레이아크김해미술관 #클레이아크미술관 #클레이아크 #성악가도슨트 #성악가이효재 #김해 #김해시 #김해여행 #김해가볼만한곳

-

{"title":"클레이아크김해미술관에서 음악이 전시를 만났을 때","source":"https://blog.naver.com/gimhae4you/223380759580","blogName":"김해시 공..","blogId":"gimhae4you","domainIdOrBlogId":"gimhae4you","logNo":223380759580,"smartEditorVersion":4,"meDisplay":true,"lineDisplay":true,"outsideDisplay":true,"cafeDisplay":true,"blog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