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끔 뉴스를 통해 의식을 잃고 쓰러진 환자가 주변의 도움으로 깨어났다는 소식을 접할 수 있는데요.

이 같은 위급상황은 언제 어디서 일어날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응급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응급장비와 지식이 필요합니다.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보건관리자를 두어야 하는 사업장 중 상시 근로자가 300명 이상인 사업장은 자동심장충격기 등 심폐소생술을 할 수 있는 응급장비를 의무적으로 설치하여야 하는데요.

많은 인원이 모이는 장소일수록 응급장비 설치 및 관리는 물론 사용방법 안내 등이 철저하게 관리되어야 합니다.

자동심장충격기 등 응급장치 의무 설치에 대해 함께 알아봅시다! 🔍

상시근로자 300명 이상 사업장

응급장비 설치 의무 안내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에 따라 보건관리자를 두어야 하는 사업장 중 상시 근로자가 300명 이상인 사업장은 자동심장충격기 등 심폐소생술을 할 수 있는 응급장비를 의무적으로 설치하여야 합니다.

만약 미설치 시 다음과 같이 과태료과 부과될 수 있습니다.

※ 미설치 시 과태료 ※

1차

50만 원

2차

75만 원

3차

100만 원

※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제47조의2제1항 위반 ※

설치 후 설치신고서 작성 및 응급장비 설치 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서류를 첨부하여 울산 남구 보건소로 제출(Fax: 052-276-2549)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응급장비 설치 신고서 ▼

첨부파일
3. [별지_제15호의13서식]_응급장비_설치_신고서(응급의료에_관한_법률_시행규칙).hwp
파일 다운로드

▼ 자동심장충격기 설치 및 관리지침 ▼

첨부파일
자동심장충격기 설치 및 관리 지침(제6판)_최종.hwpx
파일 다운로드

▼ 자동심장충격기 사용일지 등록 매뉴얼 ▼

첨부파일
자동심장충격기(AED) 사용일지 등록 매뉴얼(설치기관용).hwp
파일 다운로드

▼ 자동심장충격기 점검내역 매뉴얼 ▼

첨부파일
자동심장충격기(AED) 점검내역 등록 매뉴얼(설치기관용).hwp
파일 다운로드

📞 문의처

052-226-2429

관련 법규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제47조의2(심폐소생을 위한 응급장비의 구비 등의 의무)

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시설 등의 소유자ㆍ점유자 또는 관리자는 자동심장충격기 등 심폐소생술을 할 수 있는 응급장비를 갖추어야 한다.

6의2. 「산업안전보건법」 제18조에 따라 보건관리자를 두어야 하는 사업장 중 상시근로자가 300명 이상인 사업장

7.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다중이용시설

② 제1항에 따라 자동심장충격기 등 심폐소생술을 할 수 있는 응급장비를 갖춘 경우 해당 시설 등의 소유자ㆍ점유자 또는 관리자는 그 사실을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시장ㆍ군수ㆍ구청장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신고한응급장비의 양도ㆍ폐기ㆍ이전 등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중요 사항을 변경하려는 경우에도 또한 같다.<신설2016. 12. 2.>

④ 제1항에 따라 자동심장충격기 등 심폐소생술을 할 수 있는 응급장비를 설치한 자는 해당 시설 등의 출입구 또는 여러 사람이 보기 쉬운 곳에 사용에 관한 안내표지판을 부착하여야 한다.<신설 2021. 12. 21.>

⑤ 제1항에 따라 갖추어야 하는 응급장비의 관리 등에 필요한 사항은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한다.<개정 2012. 5. 14., 2016. 12. 2., 2021. 12. 21.>

자동심장충격기(AED)

사용 방법

※ 출처 : 질병광리청 아프지마TV 유튜브 채널 ※

자동심장충격기는 심장이 멈춘 환자에게 붙여 환자의 심장 상태를 자동으로 분석, 필요에 따라 전기 충격을 주어 심장을 다시 뛰게 하는 의료기기입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의료기관을 포함하여 구급차와 항공기, 공동주택, 다중이용시설 등에 자동심장충격기를 설치하도록 법으로 규정되어 있습니다.

환자를 살리는 자동심장충격기를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사용방법을 알아두어야 하는데요!

위 영상과 아래 이미지를 보고 올바른 사용법을 익혀두시기 바랍니다! 👇👇

출처 : 소방청

1.

전원 켜고 패드 부착

잔원 켜기 + 상의를 벗긴 후 안내에 따라 패드 부착

※ 물기가 있는 경우 물기 제거

2.

심장리듬 자동분석

"모두 물러나세요" 소리치기 ▶ 환자 접촉 금지

3.

심장 전기 충격

"모두 물러나세요" 소리치기 ▶ 환자 접촉 금지 ▶ 충격버튼 누르기

4.

심폐소생술 재시행

지체 없이 가슴압박 실시 ▶ 심폐소생술(CPR) 5주기와 심장충격기(AED) 반복

▼ 심폐소생술(CPR) 방법 ▼


울산 남구 소재 상시 근로자 300명 이상의 사업장은 반드시 심폐소생술을 할 수 있는 응급장비를 의무적으로 설치하여 근로자들의 안전을 지켜주시기 바라며, 자동심장충격기 사용방법 및 심폐소생술 방법을 익혀두어 위기 상황에 빠르게 대처하시기 바랍니다.

신속한 초기 대응으로 소중한 생명을 살릴 수 있습니다!

{"title":"울산 남구 사업장 자동심장충격기 설치 의무 안내","source":"https://blog.naver.com/ulsan-namgu/223190082772","blogName":"울산광역시..","blogId":"ulsan-namgu","domainIdOrBlogId":"ulsan-namgu","logNo":223190082772,"smartEditorVersion":4,"meDisplay":true,"lineDisplay":true,"outsideDisplay":true,"cafeDisplay":true,"blog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