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시립마산문학관은

근대 창원문학의

흐름을 조망하고,

소중한 문학 전통과

문학 자산을

널리 알리기 위해

마련된 공간입니다.

이곳은 문학 창원의

빛나는 문학정신을

이어받아

지역 문화의 활성화에

이바지하고,

문학 실천을 통해

창원문학의 미래를

펼쳐 나가고자

2005년 10월에

문을 열었습니다.

창원의 근대 문학은

일제강점기와 광복,

전쟁기를 거치는

암울한 역사의

소용돌이 속에서

이루어져 왔지만,

깊고 다양한

문학적 성과를

펼쳐 보여 주었습니다.

앞으로 마산문학관은

학술, 연구 기능,

교육, 학습 기능,

문화 실천과

홍보 기능을 하고

지역민들로 하여금

지역사랑과

문학 실천을 나누는

문화향유의

열린 공간으로

거듭날 계획입니다.

들어가면 백치동인

자료실이

작지만 알차게

마련되어 있습니다.

전시실에 들어가면

먼저 창원의

근대 문학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창원 근대 문학의

전통은 깊고 다양합니다.

숱한 문학 오늘의

창원문학과

그 미래인이

창원을 중심으로도

활동함으로써

지역 문학 발전에

크게 이바지했습니다.

근대 이른 시기부터

이윤재 안확,

배재황, 이극로로

대표되는 선각자들은

문학뿐 아니라

한글과 민족 교육을 통해

창원 문화의

너른 터전을

마련해 놓았습니다.

이를 이어받아

일제강점기 창원에서는

이은상. 권환,

이원수, 이일래,

이광래, 김달진,

김용호, 지하련이

활발하게

활동했습니다.

뒤를 이어 조향 김춘수,

김수돈, 정진업,

김원룡, 홍원.

천상병, 주수원을 비롯한

여러 문학인들이

창원문학의 전통을

굳건히 다지고

이어나갔습니다.

창원의 독특한 문학 전동은

바다문학의 보고,

결핵 문학의 산실,

민주 문학의 터전,

공단문학의 현장으로

한국문학 발전에

크게 이바지했습니다.

일찍부터 창원은

휴양도시,

특히 결핵 요일과

치료의 도시라는

명성에 걸맞게

숱한 문학인들이

창원에서의 체험을

문학작품으로 남겼습니다.

특히 나도향, 임화,

지하련, 권환,

이영도, 구상,

김상옥, 김남조,

김지하 같은 문학인이

병을 다스리며

문학정신을 꽃피웠고

김대규, 남윤철,

민웅식, 박철석 등이

새너토리엄 문학을

보여주었습니다.

해양 문화의 특성을

풍부하게 지니고 있는

창원은 비다 문학에 대한

집중적인 인식과

당직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오늘날 지역 문학의

중요한 전통으로

자리 잡고 있는

바다 문학이야말로

생명문학입니다.

앞으로 해양, 항만 지원을

바탕으로 미래를 항해

펼쳐질 새로운 창원을 위한

문학인들의

실천적인 활동은

계속될 것입니다.

창원은 예술인을

유달리 많이 배출한 곳으로

이름이 높습니다.

일제강점기와 공백기,

전쟁기를 거쳐

오늘에 이어지는

창원 문학인의 면면은

그대로 한국 문학사에

중요한 국면과 양상을

그대로 보여줍니다.

이렇게 창원의

많은 문학 유적지들이

남아있습니다.

마산문학관을 통하여

마산을 거쳐간

여러 문학인들을

알 수 있었습니다.

창원시립마산문학관 운영 정보

• 주소: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노산북8길 49-1

• 관람시간: 09:00~18:00 (매주 화 ~일요일)

• 관람료: 무료

• 휴관일: 매주 월요일, 1월 1일, 설 및 추석 당일

#창원특례시 #마산문학관 #창원시립마산문학관 #창원문학 #문학도시창원 #한국문학사


{"title":"마산의 문학을 담은 창원시립마산문학관","source":"https://blog.naver.com/cwopenspace/223930185515","blogName":"창원시 공..","domainIdOrBlogId":"cwopenspace","nicknameOrBlogId":"창원시","logNo":223930185515,"smartEditorVersion":4,"meDisplay":true,"lineDisplay":true,"outsideDisplay":true,"cafeDisplay":true,"blog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