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1 백일해란 어떤 감염병 인가요?

백일해란 백일해균(Bordetella pertussis) 감염에 의한 급성 호흡기 질환으로 발작성 기침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입니다.

주로 백일해균에 감염된 환자 또는 보균자의 비말 감염에 의해 전파되며 전염성이 강한 제2급 감염병으로 처음에는 콧물, 가벼운 기침 등의

감기와 비슷한 증상으로 시작되었다가 1주일 정도 지나면 증상이 심해져 발작성 기침 같은 심한 기침이 나타나게 됩니다.

최근 확진자들은 전형적인 백일해 임상 증상이 뚜렷하지 않고 가벼운 기침으로 발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반적으로 기침이 호전되지 않고 2주 이상 계속되면서 생활하시는 해당 지역 내 백일해가 유행하고 있다면 의심해 보아야 합니다.


Q.2 백일해에 걸렸거나 의심되는 경우 어떻게 하면 되나요?

심한 기침이 2주 이상 지속된다거나 백일해 확진자와 접촉 이후 기침 등 증상이 발현되어 백일해가 의심될 경우 의료기관에 내원하여 진료 및 검사를 받도록 합니다.

백일해 검사 시 비인두도말, 비인두흡인물 등 검체를 채취해서 백일해균(B. pertussis) 분리 동정이나 특이유전자가 검출되면 백일해 양성으로 확진됩니다.

백일해는 격리가 필요한 감염병으로 학교나 유치원, 어린이집 등에 다니는 경우 즉시 담임선생님이나 보건교사 선생님께 알리고 전파방지를 위해 격리를 시작하여야 합니다.

격리기간은 백일해 치료를 위해 항생제를 처방받고 복욕일로부터 5일간 격리를 하게 됩니다. 동거가족 등 밀접접촉자는 감염 및 전파방지를 위해 증상이 없더라도 의료진에게 예방적 항생제를 처방받아 복용하도록 하며, 고위험군인 12개월 미만 영아나 고령의 가족이 있는 경우에는 특히 주의가 필요합니다.


Q.3 백일해를 예방하기 위한 방법은?

참 이름도 재밌는 수구레, 그럼 수구레가 도대체 뭔가 하고 궁금하신 분들 많으시지요? 수구레는 소의 가죽과 살 사이에 붙은 콜라겐이 많이 함유된 소고기를 말합니다. 콜라겐 덩어리라고 하지만 가죽 옆에 붙은 탱글탱글한 살점이라 잘못 요리하면 질기기 쉬운 부위인데요.

손질하기 힘든 소고기 부위 중 한 곳인 수구레를 질기지 않고 탱탱함과 부드러움으로 즐길 수 있게 잘 끓이는 비결이 수구레국밥 맛의 비결이라 하겠습니다.

창녕 수구레국밥은 대부분의 식당에서 수구레와 선지를 함께 넣어서 국밥을 끓이는데요. 밥을 국밥에 말아 제공하는 밀양 돼지국밥과는 다르게 창녕 수구레 국밥은 밥 말은 국밥과 국수를 말은 국을 입맛대로 즐길 수 백일해는 감염된 환자 또는 보균자의 비말 감염에 의해 전파되는 호흡기 감염병으로 마스크 착용, 손씻기, 기침예절 등 개인위생 수칙 준수가 강조되며, 백신이 존재하는 감염병으로 무엇보다 예방접종이 중요합니다.

백일해는 생후 2개월, 4개월, 6개월, 15~18개월, 4~6세에 DTaP 백신으로 총 5차까지 예방접종을 하고 이후, 11~12세에 Tdap 백신으로 추가 접종을 시행 합니다.

백일해 접종을 맞은 이력이 없거나 누락된 경우, 의료진과 상의하여 연령에 알맞은 백일해 접종을 받는 등 불완전한 예방접종력을 가진 사람의 경우 접종을 실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특히, 생후 12개월 미만 영아와 밀접한 접촉이 있는 부모, 형제, 조부모, 영아 도우미, 의료인, 산후조리업자 및 근무자, 보육시설 근무자 등과 가임기 여성 및 임신부 등 고위험군은 예방접종이 누락되지 않도록 반드시 적기 접종과 추가 접종을 해 주시길 당부드립니다.


Q.4 그 외 올해 겨울철 유의 해야하는 감염병은?

'23-'24절기 유행주의보가 이미 발령되어있는(9.15.) 인플루엔자, 최근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 감염증에 대한 주의도 필요합니다.

 특히, 최근 증가세를 나타내는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 감염증은 발열, 두통, 콧물, 인후통 등 일반적인 감기 증상과 유사하나, 한번 증상이 발생하면 통상 1주일 정도 증상이 지속되는 감기와 다르게 약 3주 정도로 장기간 증상 지속 후 회복됩니다.

 예방 백신이 없어 개인위생 수칙 준수가 무엇보다 중요하며, 올바른 손씻기와 기침 예절 준수와 학교나 유치원, 어린이집 등 공동생활을 하는 공간에서는 식기, 수건, 장난감 공동사용을 제한하고, 소아, 학령기 아동들의 호흡기 증상 발생 여부를 관찰하여 적시에 의료기관을 방문할 것을 당부드립니다.

 참고로, 올해 8월 4급 감염병으로 하향되어 지역 내 표본감시체계로 유행 여부를 지속 관찰하고 있는 코로나19도 현재 지속 발생하고 있어 주의해야 할 호흡기 감염병입니다.


{"title":"백일해 추가접종 서두르세요~","source":"https://blog.naver.com/gnfeel/223285364786","blogName":"경상남도 ..","blogId":"gnfeel","domainIdOrBlogId":"gnfeel","logNo":223285364786,"smartEditorVersion":4,"meDisplay":true,"lineDisplay":true,"outsideDisplay":false,"cafeDisplay":true,"blog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