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년 전
메신저 피싱 예방수칙 / 사이버 범죄 Q&A
갑작스러운 가족·지인의 금전·개인정보 요구,
의심하고 확인하세요!
메신저 피싱 예방수칙
금전·개인정보 요구 시, 전화로 본인 확인하기
가족·지인이 확인될 때까지 금전·개인정보를 보내지 않기
출처가 불분명한 파일·URL, 실행하지 말고 차단하기
피해신고
112
민원상담
182
사이버 범죄 Q&A
Q : 최근 사이버 범죄 피해사례가 많다고 들었는데, 어떤 종류의 사이버 사기가 발생하고 있습니까?
최근 메신저피싱, 중고거래 사기 등 각종 사이버 사기가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주요 사이버사기 종류로는 핸드폰 액정이 깨졌다며, 메신저로 자녀 등을 사칭해 개인정보를 탈취하는 메신저 피싱, 중고거래를 빙자하여 금액만 편취하고 물품을 보내주지 않는 물품사기, 택배안내, 교통법규 안내 등 출처가 불분명한 url 클릭을 유도하여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스미싱 사기 등이 있습니다.
Q : 스마트폰에 익숙하지 못한 노년층 피해사례는 어떤 것이 있나요?
끊이지 않고 발생하고 있는 메신저피싱의 경우에는 60대 이상의 노령의 피해자가 주요 타깃이 되고 있습니다. 피해자의 아들 또는 딸을 사칭하여 휴대전화가 고장났다며 피해자를 속이고 메신저를 통해 원격 제어 어플을 설치하고 피해자의 주민등록증 사진, 계좌번호, 비밀번호, 신용카드 등의 정보를 탈취해가는 수법입니다.
피해유형으로는 피해자 계좌에서 현금을 인출하기도 하고, 비대면 소액대출, 카드론 대출, 현금서비스 신청이 이루어지거나 휴대폰 개통, 물품구매 및 다른 범행에 사용하기 위한 계좌 개설 등이 이루어지므로, 신고 접수 단계에서부터 신속한 단계별 피해예방 조치가 필요합니다.
Q : 피해 발생 시 조치 단계는 어떻게 되나요?
일단 피해가 발생하게 되면, 즉시 경찰에 피해신고를 한 뒤, 1단계 초동조치로서 유출된 피해자의 신용카드, 계좌 지급정지를 하여야 하고, 2단계 확인단계로써 피해자 명의 휴대전화 개통여부, 계좌 개설 및 입출금 여부 확인을 통해 가입제한 등 차단조치가 필요합니다. 3단계 유출된 신분증이 사용되지 못하도록 신분증 재발급 요청 등 예방조치가 필요합니다.
Q : 사이버 범죄를 당한 사람들이 주의해야할 점은 무엇이 있나요?
많은 분들이 피해를 입은 이후 당황하여 골든타임을 놓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개인정보 탈취 이후라도 빠른 조치가 이루어질 경우 더 큰 피해를 막을 수 있습니다. 모르는 번호로 온 링크는 클릭하지 말고, 휴대폰이 고장났다며 연락오는 자녀의 문자메세지를 받은 경우 반드시 전화 연락 등을 통해 사실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야겠습니다.
- #메신저피싱
- #스미싱
- #사이버범죄
- #사이버사기
- #피싱예방
- #스미싱예방
- #사이버사기예방
- #스미싱신고
- #피싱신고
- #서울경찰청
- #스미싱대처
- #피싱대처
- #스미싱예방수칙
- #은평
- #은평구
- #은평구청
- #은평구민
- #경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