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년 전
제로웨이스트로 지역 환경 지키기 - 군산소품샵 자주적관람 최정은대표 인터뷰
제로웨이스트로 지역 환경을 지키기! 함께 하면 지구가 행복합니다! |
글/사진 : 2023 군산 사이버 기자단 - 김미영 |
군산소품샵 월명동 자주적 관람
방문 후기
지구 환경을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있으신가요?
쓰레기를 버릴 때 분리배출을 잘 하기 위해 노력하는 사람도 있고, 플로깅 또는 재사용으로 환경을 생각하고 실천하고 계신가요?
전세계에서 탄소중립을 위한 실천과제를 내놓고 있으며 UN총회에서 합의된 SDG’s(지속가능한발전목표)를 2030년까지 이룰 수 있도록 다양한 노력을 실천하고 있는데요! 군산에도 지구환경을 생각하는 제로웨이스트샵이 있다고 하여 방문해보았습니다.
자주적관람(대표 최정은)은 제로웨이스트샵을 운영한지 3년째입니다. 공방과 지역에서 만들기 체험 등 다양한 활동을 진행하였고, 월명동으로 이전한 후부터는 제로웨이스트 전문샵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한쪽에는 전시공간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친환경 제품이 많이 보입니다. 제로웨이스트로 지역 환경을 지킬 수 있는 방법을 실천하고 있어서 저도 참여해보았습니다. 먼저 플라스틱 분리배출입니다.
자주적관람에서는 많은 플라스틱 배출로 인해 분리배출 되어도 재활용이 어려운 다양한 뚜껑 등 모으고 있었습니다. ‘왜 분리해서 버리는데 배출이 안되었을까?‘ 의문이 들었습니다. 병(유리)은 80% 이상 배출 후 재활용이 되지만, 플라스틱은 20% 미만만 재활용이 되기 때문에 배출된 플라스틱을 재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실천중이라고 합니다.
플라스틱 뚜껑도 브랜드에 따라 다양한 색깔로 구분되는데요! 자주적관람으로 따로 분리하여 색별로 구분하여 넣어주면 됩니다.
재활용이 가능한 물품을 나눠서 제출하면 명함사이즈의 도장찍힌 종이를 받을 수 있습니다. [우리동네 자원순환쿠폰]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올바른 분리배출로 소각, 매립되는 쓰레기양을 줄이고 최대한 자원을 순환시키는 운동을 실천하고 있습니다.
손바닥보다 작은 플라스틱, 물건 구매후 생긴 쇼핑백, 말린 우유팩, 뚜껑 있는 유리병을 가져가면 각 내용물에 맞게 도장을 찍어줍니다. 도장을 받으면 도장 개수에 따라 랜덤 선물이 준비되어있습니다.
지역에서 지구환경을 지키기 위해 실천할 수 있는 노력을 매장에서 뿐 아니라 모니터링 활동도 시작하였습니다. 지역의 카페, 식당 등 일회용을 많이 사용하는 곳을 모니터링단이 방문하여 일회용 사용의 정도를 확인하고 자제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역할을 시민들이 직접 하게 되는 활동인데요!
지역에서 일회용 사용의 인식조차 없이 활동하던 화자도 반성의 의미로 일회용품 사용 규제를 위한 시민모니터링 활동에 참여해보았습니다.
시민모니터링은 1월 한달동안 진행되었고, 8명의 모니터링단이 참여하였습니다. 최정은대표와 비대면(줌회의) OT를 진행하였습니다.
모니터링활동에서 구체적으로 진행해야하는 내용을 설명듣고 모니터링단 활동에서 주의사항과 활동 후 모니터링 보고하는 방법등을 차근차근 설명해주었습니다.
모니터링활동을 참여하면서 지역 카페와 식당 등 방문하는 곳에서 일회용품을 사용하고 있지는 않은지 관심있게 살펴보는 노력을 하게 되었습니다. 빨대, 일회용 물티슈 등 생각보다 더 많은 일회용을 사용하고 있어서 놀라기도 하고 일회용품을 하나도 사용하지 않은 친환경 매장도 있었습니다.
자주적관람 최정은대표 인터뷰
군산소품샵 자주적관람 매장을 운영하고 있는 최정은대표와 인터뷰를 통해 조금 더 알아보겠습니다.
Q1. 제로웨이스트샵을 운영하게 된 계기가 있다면 설명해주세요.
A1.저는 자주적관람을 만들기 전에 캔들,비누 공방을 8년간 운영했습니다. 공방을 운영하면서 군산의 청소년들을 만나는 진로직업강사로 활동을 했고, 더불어 프리마켓그룹, 도시재생주민공모사업, 우체통거리조성, 청년지원정책사업, 청년공예협동조합설립, 관광두레활동, 창업리빙랩, 청년공예가들과의 협업 등 여러 방면에서의 활동을 해왔습니다.
공예와 문화생활을 묶어 체험활동에 집중하면서 지역의 학생과 청년들을 만났고, 군산사람들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 싶었고, 군산에서는 친환경 문화를 접하고 경험하는 공간이 없었고, 환경문제를 다루는 공간이 필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공방을 운영하며 일회용품을 많이 사용하는 것에 대한 불편한 마음도 해소하고 싶어서 직접 운영하게 되었습니다.
Q2. 시민과 함께 모니터링 활동을 하게 된 이유와 하면서 알게 된 점이 있다면 소개해 주세요.
A2. 3년간 준비해온 ‘일회용컵보증금제’가 22년 6월 시행예정에서 6개월이 유예되었고, 그마저도 세종, 제주의 시범운영으로 변경 된 상황에서 2022년 11월 24일 1회용품 규제가 시작되었습니다. 그러나 단속도 유예! 규제는 하되 1년간 단속을 안 한다고 합니다. 규제가 있어도 단속이 없으면 지켜지지 않는 현실을 시민들이 직접 모니터링 해보자는 의견이 모아졌습니다.
전국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수집된 아카이빙 자료를 언론에 알리고, 지도를 만들어 공유하고, 지자체에 단속을 요구할 계획을 세웠습니다. 각 지역의 담당 캠페이너들이 모니터링 시민을 모집하고 OT진행 후에 활동을 시작했습니다. 군산 시민들과 함께 하면서 일회용품사용의 현실을 더 많이 알리고 싶어서 지역의 캠페이너로 활동 하게 되었습니다.
Q3. 제로웨이스트 실천하는 방법을 알고 계시다면 한가지만 소개해주세요.
A3. 물건을 구매할 때 가장 쓰레기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는 습관이중요합니다. 쇼핑할 때 장바구니나 집에 있는 쇼핑백 사용하기, 야채, 과일 등 식료품 구매 시 플라스틱 포장 없는 곳에서 구매하기, 음료와 음식 포장 시에는 텀블러, 도시락에 포장하기를 실천해보는 것입니다. 불필요한 쓰레기가 나오지 않도록 미리 담아올것들을 챙기는 습관이 처음에는 깜박할 때가 많지만, 습관화 된다면 가장 쉬운 실천법이라고 생각합니다.
판매와 영업은 수익을 창출하는 목적도 있지만, 지역의 변화를 위해 앞선 생각을 실천하는 과정에 참여하는 것도 또 다른 큰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우리와 우리의 자녀들이 살아가야할 지구를 위해 화자도 참여해보려고 합니다. 함께 참여하고 동참하면 조금씩 변화를 경험하리라 생각됩니다.
#군산문화 #군산여행 #군산제로웨이스트샵
#자주적관람 #가치소비 #지역환경 #제로웨이스트
#친환경제품 #군산소품샵 #로컬갤러리
- #군산문화
- #군산여행
- #군산제로웨이스트샵
- #자주적관람
- #가치소비
- #지역환경
- #제로웨이스트
- #친환경제품
- #군산소품샵
- #로컬갤러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