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홍티예술촌 입주작가 릴레이전시의 마지막 주자!

강민기 & 이창운 작가님의 개인전이 홍티예술촌에서 진행되고 있습니다.

* 전시 기간 : 2023. 10. 12.(목) - 12. 01.(금)

홍티예술촌 입구 부근에는 현재 진행중인 전시회 배너가 관람객을 맞이해줍니다.​

이번에 관람할 전시는 강민기 작가님의 공들이지 않은 탑 & 이창운 작가님의 자유낙하입니다.

강민기 작가님의 전시회 관람은 처음이라 기대가 많이 됩니다.

이창운 작가님의 작품은 작년 릴레이전 때, 관람한 적이 있습니다. 이창운 작가님의 작품들은 이창운 작가님의 색깔이 잘 담겨 있는 것 같습니다.

작년 겨울, 이건희 컬렉션을 보기위해 부산시립미술관에 방문을 했는데 2층(?) 라운지에서 굉장히 익숙한 느낌의 작품이 자리를 크게 차지하고 있었습니다. 전시관람 안내를 보니, 이창운 작가님의 작품이더라고요. 참 반가웠습니다:)​

강민기 개인전

공들이지 않은 탑

2023. 10. 12 Thu - 12. 01. Fri

관람시간 : 10:00 - 18:00(일, 월 휴관)

관람료 무료

작가노트

깊은 심연에 던져진

통발 속에 빨려 들어간다.

거슬러 나오지 못하고 갇힌다.

가득 찬 통발이 쌓인다.

차곡차곡 쌓여 올라간다.

쌓이고 쌓여 일렁이는 물결 위에 드러난다.

강민기 작가는 현재 우리가 위치한 현실에서 존재하는 모순과 사회구조 그리고 이 시스템이 스스로 유지되고 작동하는 구조적인 문제 지점을 찾아 연구하고 그것에 대해 발언하며 비판적으로 다루고 있다.

그물은 수많은 씨줄, 날줄로 촘촘하게 짜여 무언가를 포획하거나 잡는 용도로 사용된다. 작가는 네트워크망처럼 연결된 사회체제와 가치체계와 그 속에 살아가는 개인들의 관계항을 연구하면서, 이를 실재하는 상태로 이해하고 표현하기 위해, 전시의 주요한 소재로 그물이라는 오브제를 가져온다.

<물결 밑으로부터>는 그물로 감싸진 어업용 통발을 가지고 기하학적 형상의 패턴으로 만든 조형설치 작업이다. 이 작업은 특정 경험으로 만들어진 한 사회의 가치체계와 그것이 지배하는 구조 속에서 변형되고 강화되는 개인의 욕망과 무의식을 가시화하고 조형적 언어로 나타낸 것이다. 사회시스템은 그 체제를 더 굳건히 하기 위해 개인의 욕망을 유용하게 활동하고, 개인을 끊임없는 불만과 불안의 상태에 빠뜨린다. 이것은 시스템의 기본 동력으로 작용하여, 증식하며 공고히 확장된다.

물결 밑으로부터

통발, 깃발부표, 모터, 와이어, 870×860cm 공간 내 설치, 2023

지금 보이는 전시 공간의 작품들이 하나의 작품입니다.

그물을 오브제로 하여 통발을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 냈습니다.

제 눈에는 통발 강아지도 보이네요.ㅎㅎ 여러분들 눈에는 어떤 모양으로 보이시나요?

움직이는 깃발 부표가 보입니다! 깃발 부표가 움직여서 그런지 물결치는 바닷속 느낌입니다.

촘촘하게 짜여진 씨줄과 날줄이 누군가에게는 답답함을, 다른 누군가에게는 편안함을 주겠죠?

저는 이런 촘촘함이 답답하게 느껴집니다. 걸러지는 것 없이 모든 것을 수용해야만 하는 느낌이랄까요?

살짝 기울어진 통발은 마치 물속을 배회하는 것처럼 보이네요:)

이창운 개인전

자유낙하

2023. 10. 12 Thu - 12. 01. Fri

관람시간 : 10:00 - 18:00(일, 월 휴관)

관람료 무료

작가노트

이창운 작가는 지난 전시 및 프로젝트의 작품들을 통해 거역할 수 없는 현대 사회의 시스템과 인간의 일상을 기반으로 '현상을 가시화'하며 작업을 개진, 현실의 인식과 대면해왔다.

작품 <편도여행> 시리즈는 2011년부터 시작되어 다양한 장소에서 각기 다른 관객들의 반응을 확인하였고, 작품 <공간지도>(<편도여행>이 물리적 움직임을 통해 반복된 일상을 보여주는 하나의 개체를 제시한 것이었다면, 이 각각의 개체가 모여 군집을 이루도록 대형 설치)를 통해 작품으로서 사회적 공간을 재현하였다.

이번 <자유낙하> 설치는 군집된 모습이 아닌 다양한 오브제의 움직임 각각을 집중해서 볼 수 있는 공간을 제시하는데 그 의미가 있다. 자유낙하운동은 정지되어 있는 물체가 오직 중력을 받았을 때 속력을 내어 지면을 향하여 떨어지는 현상을 일컫는다.

하지만, 나는 작품에서 자유낙하운동을 운동에너지로 바꾸어 반복적인 움직임을 만들어낸다. 이번 전시를 통해 제시할 공간 <자유낙하>에서의 낙하하는 스텐볼은 절대 지면에 떨어지지 않고 무수한 반복적 이동을 위한 그 시작점으로 돌아간다. 단순히 높은 데서 낮은 곳으로 떨어지는 '낙하'가 아닌 '주체적이고 자유로운 움직임', '자유롭게 하강하는' 이동 궤적의 이미지가 공간을 채울 것이다.

개인과 주변의 모습과 닮아 있는 <자유낙하>의 공간이 보는 이 각자의 '지금'이라는 시간을 환기시키길 기대한다.

편도여행

스테인레스 스틸, 동력장치

자유낙하를 위해 올라가는 볼들이 눈에 띕니다.

다양한 크기와 디지인으로 제작되어진 작품입니다.

높이 설치되어 있는 편도여행

이 작품은...ㅎㅎㅎ볼이 레일에 걸려서 움직이지 않더라고요.ㅎㅎ낙하하는 속도가 저 레일을 뚫고가지 못했네요.ㅎㅎ

볼의 무게, 레일의 높이, 방향 및 길이의 4박자가 멋지가 어울어져 편도여행이 완성되었습니다.

다음엔 편도가 아닌 왕복여행이라는 작품이 제작되었으면 좋겠네요.ㅎㅎ

예술과 과학의 멋진 콜라보 작품인 것 같습니다. 본 작품을 마지막으로 이창운 작가님의 개인전 관람을 마칩니다.​


사하구 명소, 홍티예술촌에서

멋진 작품들을 감상해보세요😉


[본 콘텐츠는 제6기 사하구 SNS서포터즈분께서 작성하신 원고입니다.]

{"title":"[서포터즈] 홍티예술촌 강민기 & 이창운 개인전 관람 후기 (공들이지 않은 탑 & 자유낙하)'23.10.12.~12.1.","source":"https://blog.naver.com/sahablog/223240700978","blogName":"부산 사하..","blogId":"sahablog","domainIdOrBlogId":"sahablog","logNo":223240700978,"smartEditorVersion":4,"meDisplay":true,"lineDisplay":true,"outsideDisplay":true,"cafeDisplay":true,"blog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