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년 전
제주도에서 가장 멋진, 주상절리가 어우러진 천제연폭포
오늘은 제주도에서 가장 멋지다고 생각하는 폭포인 천제연폭포를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입장료
어른 : 2500원
청소년, 어린이, 군인 : 1350원
천제연폭포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천제연로 132
테마가 있는 제주여행~
서귀포 공영관광지
스탬프투어
운영장소
천지연폭포, 정방폭포, 천제연폭포, 주상절리, 산방산(용머리), 감귤박물관
뭔가 컨셉이 있는 여행을 한다면 더 재미있는 여행이 되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해봅니다.
#스탬프투어 #공영관광지
천제연 난대림지대
천연기념물 제378호
서귀포시 중문동에서 서쪽으로 500m 지점에 있는 계곡을 따라 남쪽으로 양쪽 바위에 보존되고 있는 상록수림이다. 이 난대림 속에는 제주도에서도 가장 희귀한 솔잎란이 자생하고 있다.
넝쿨식물로는 후추증, 마삭줄, 남오미자, 모람 등이 많이 자라고 상록관목류로는 자금우, 돈나무, 백량금 양치식물로는 콩짜개덩굴, 도깨비고비, 거부사리고사리 등으로 난대성 식물의 극성상을 이루고 있고 보존도 잘 되고 있다. 이 보호구역은 경치가 좋아 그 옛날 선녀들이 내려와서 목욕을 하였다는 전설이 있는 곳이며 3단으로 이어지는 폭포가 있다.
천제연을 올 때마다 느끼지만 문화관광 해설을 들어야 하는데~라는 생각을 합니다.
만약 천제연을 찾기 전 문의를 해서 해설을 들을 수 있다면 강추입니다~
10:00 ~ 17:00
064-760-6331
입구에서 조금만 걸으면 1폭포를 만나게 됩니다.
아마도 천제연폭포 3개 중에 제일 멋진 폭포가 1폭포가 아닐까요?
천제연 1폭포
1폭포는 비가 많이 내리면 저 위에서 폭포가 떨어지는 폭포라 비가 내리지 않을 때는 폭포수가 흐르지 않는 폭포입니다.
저도 여러 번 와봤지만 늘 비가 내리지 않는 날에만 와서 당연히 폭포가 떨어지지 않는 폭포라고 생각했던 것 같습니다.
비가 내리는 날...
중문 쪽을 지나고 있다면 한번 들어와 보세요~~
2폭포, 3폭포를 안보더라도~ 1폭포에 폭포가 흐르는 걸 한 번은 저도 보고 싶다는 생각이 듭니다^^
아주 조금이지만 폭포수가 떨어지고 있죠??
그리고 1폭포는 주상절리 폭포이기도 하고 물의 색깔이 너무 이쁜 폭포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제주도의 폭포 중에 천제연 1폭포가 제일 멋지다고 생각합니다^^
낙석위험으로 출입금지
아쉽게 안쪽으로 들어갈 수 없게 되었네요
2폭포를 위에서 본 모습입니다.
#현폭사후 그림을 보니 폭포가 층으로 이뤄진 게 보이는데 드론으로 찍으면 이런 느낌을 볼 수 있는 걸까요?
천제연 2폭포
#선임교
다리에 있는 선녀들이 인상적인 곳입니다.
저 다리는 건너면 중문 일대가 한눈에 보이고 자리 사이로 보니는 계곡이 정말 멋지게 보이는 곳입니다.
게다가 한라산도 한눈에 보이는 뷰~
선임교
2단과 3단 폭포 사이에는 선임교라는 아치형의 다리가 있는데, 옥황상제를 모시던 칠선녀가 옥피리를 불며 내려와 노닐다 올라갔다고 하는 전설이 있어 칠선녀다리로도 불린다. 천제연(天帝淵)이라는 이름도 칠선녀가 모시던 '하나님'의 몫에서 유래됬다는 설이다. 칠선녀 다리에는 양쪽에 칠선녀 조각상이 있으며, 야간에는 석등을 비춰 아름답고 신비로운 느낌을 준다. 천제루'라 불리는 누각도 주변 경관을 한층 돋보이게 한다.
(출처 : 비짓제주)
한라산 보이시나요?
한라산은 제주 어디서나 보이지만 보는 위치에 까라서 정상의 모양이 다르게 보입니다^^
천제연에 몇 번 와봤지만 늘 올 때마다 느끼는 건 동네에 살았더라면 자주 산책을 하고 싶은 곳이라는 생각이 드는 곳입니다.
산책로도 너무 잘 만들어져 있고, 숲으로 둘러싸인 곳이라 걸으면서 기분이 좋은 곳입니다.
#지의류
처음에는 곰팡이인 줄 알았는데...
어쩌다 검색을 해보고 알게 된 사실...
지의류
지의류는 단일한 생물체가 아니며 광합성을 하는 미생물인 진핵 미세조류 또는 남세균(cyanobacteria)과 종속영양으로 살아가는 미생물인 균류 간 상리공생체이다. 지의류에서 광합성을 담당하는 파트너는 유기 영양분을 생산하고 균류에게 제공하며, 균류는 식물 뿌리와 같은 역할을 하면서 공생체를 지탱하고 더불어 수분과 무기 영양분을 흡수하여 광합성 파트너에 전달한다. 이들을 각각 광합성 공생자(phycobiont)와 균류공생자(mycobiont)라고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지의류 [lichen] (미생물학백과 )
천제연 3폭포
갈수록 작아지는 폭포의 규모?
그러나 각기 다른 매력을 가지고 있는 천제연의 폭포들이 아닐까 합니다.
천제연폭포를 둘러보면서 찍은 브이로그 영상도 감상해 보세요^^
- #스탬프투어
- #공영관광지
- #현폭사후
- #선임교
- #지의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