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 혹시 "떡 좋아하시나요?" 빵을 더 많이 사드신다고요?

우리나라 식량자급률이 50%에도 미달하고, 사료를 포함한 곡물 자급률은 20%를 지키기도 힘들다고 합니다.

쌀은 남아돌 정도라는데 밀은 99.5%를 수입에 의존합니다. '국제적으로 식량 위기가 온다면 어떻게 될까?' 생각만 해도 소름이 끼칠 지경입니다.

옛날 잔칫상에 빠지지 않고 올라갔던 인절미가 인스턴트 식품이나 빵 등에 밀려 점점 그 자리를 빼앗기고 있어 안타까운 마음이 듭니다.

공주에는 3월에 공주의 마음을 담은 사백 년 된 이야기, 2023년 사백년 인절미 축제가 열린다고 합니다.

벌써 기대되는 공주 축제, 미리 만나볼까요?

2023 사백년 인절미 축제 포스터

그런데, 공주시에서 사백년 인절미 축제를 연다고 하니 여간 반갑지 않았습니다.

오는 2023년 3월 4일(토)부터 5일(월)까지 공주 산성시장 문화공원 일대에서 다양한 행사와 함께 열립니다.

찹쌀로 만들어 부드럽고 쫄깃하며, 맛도 좋고 소화도 잘되는 영양 만점인 인절미,

인절미라는 이름이 공주시에서 유래했다고 하는 사실 아시나요?

공주산성시장과 중동 먹자골목이 어우러진 공주산성상권은 인절미 유래담이 전해진 곳입니다.

1624년 이괄의 난을 피해 인조 임금이 피난을 온 곳이 상권 바로 옆 공산성 쌍수정이며, 1967년 임헌도 교수가 유래담을 채록한 곳 또한 상권이 위치한 산성동입니다.

떡 문화가 발달한 공주를 대표하는 유명 떡집들이 상권 안에 즐비한 것도 바로 이 때문입니다.

한국전설대관에 수록된 인절미 유래담입니다.

1624년 인조 임금은 이괄의난을 피해 공산성으로 피신을 하였습니다.

그런데 인근의 부호인 임씨 집에서 임금에게 음식을 진상하였습니다.

바로 콩고물에 무친 떡이었습니다.

"맛있구려, 그런데 떡은 떡인데 대체 이름이 무엇이오?"

그냥 임씨 집안에서 만든 찰떡이라고 답하였더니

"그럼 이제부터 임절미(任絶味, 임씨가 만든 참 맛있는 떡)라고 부르시오!"

이렇게 해서 사백년 전부터 임절미라 부르게 되었고, 이게 인절미로 바뀌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옵니다.

여기는 공주 산성시장 문화공원입니다. 다채로운 행사가 펼쳐질 공연 무대가 있고, 광장에는 분수가 힘차게 솟구쳐 오를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문화광장에는 공주 평화의 소녀상이 세워져 있고, 인절미 포토존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공주 산성시장 활성화를 위한 라디오방송국이 개국 10주년을 맞이하고 있다는 현수막도 걸려 있습니다.

"별이랑달이랑, 호락호락"

초가지붕을 한 부스들이 재미있는 상호를 달고 축제가 열리기만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2023년 사백년 인절미 축제는 3월 4일(토) 오전 10시 30분 밤톨놀이와 풍물패 <천둥소리>의 공연을 시작으로 11시 20분 화려한 문을 엽니다.

이후 무대에서 뮤지컬 공연등이 펼쳐지며, 사백년 인절미 떡메치기 행사가 펼쳐집니다. 또한 맛있는 떡 경연대회와 시식회 등 다채로운 행사가 진행됩니다.

축제 기간 중 상설프로그램은 밤톨놀이, 인절미 시식회, 전통놀이체험 등이 열리며, 산성시장 라디오방송국 토크 콘서트가 진행됩니다.

그럼 작년 2022년에 진행되었던 제1회 사백년 인절미 축제 현장으로 가 보시지요.

사백년 인절미 축제 밤톨놀이 행사 / 출처 - 사백년인절미축제 홈페이지

축제를 여는 식전행사는 밤톨놀이로 시작됩니다. 밤톨 모양의 재미있는 인형 복장을 한 밤톨이와 가위바위보를 하여 이기면 선물을 받는 놀이입니다. 어린이들이 참 좋아할 것 같습니다.

사백년 인절미 축제 떡메치기 체험 / 출처 - 사백년인절미축제 홈페이지

사백년 인절미 축제 행사 중 가장 인기있고 중심이 되는 게 바로 떡메치기 체험이지요. 인절미가 어떻게 만들어지는 지 과정을 체험해 보면서 우리 것의 소중함을 느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평소 즐겨 먹지 않은 음식이라도 이런 체험을 통하여 관심이 많아지고 우리 전통 음식의 참맛을 알게되면 다시 찾게 되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인절미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간단히 살펴볼까요?

1. 시루에 찐 찰밥을 배보자기에 넣고 발로 밟아 으깬다.

2. 으깬 찰밥을 떡메로 치거나 절구에 넣고 절굿공이로 찧는다.

3. 손에 물을 발라가며 가늘고 납작하게 만든다.

4. 알맞은 크기로 자른 다음 콩고물을 묻힌다.

이렇게 만들어진 인절미는 참여한 시민들에게 나누는 시식 행사를 합니다.

사백년 인절미 축제 전통놀이 체험 / 출처 - 사백년인절미축제 홈페이지

축제에 전통놀이가 빠질 수 없죠. 조심스럽게 널뛰기를 하는 어린이들의 모습에 미소가 지어집니다.

사백년 인절미 축제 인절미 경연대회 / 출처 - 사백년인절미축제 홈페이지

제2회 공주 산성시장 맛있는 떡 경연대회도 함께 열립니다. 산성시장과 중동 먹자골목 상인과 시민들이 참여하여 누가 창의적으로 주제와 어울리는 모양과 맛을 내는 떡을 조리하는 지 겨룹니다. 대상에게는 150만 원의 상금이 주어지며 금상, 은상, 동상까지 모두 10팀에게 상금과 상장이 수여된다고 합니다.

떡 판매장이 즐비하게 늘어서 있고 사람들이 줄을 서서 기다립니다. 정말 다양하게 개발된 떡들이 맛과 모양으로 사람들을 모아들이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백일 수 나에게 쓰는 편지 체험, 인절미를 주제로 하는 산성시장 라디오방송국 토크콘서트 등 다채로운 행사가 펼쳐집니다.

다양한 축하공연도 있습니다. 라오너스의 뮤지컬, 피카소밴드, 교차로밴드, 소리울림, 공주음악협회, 동그라미밴드, 공주시 생활문화단체협의회 등의 공연이 이어지며, 폐막 공연으로 김영환의 색소폰 연주, 엄지밴드 공연이 있답니다.

봄기운이 싹트는 3월 첫째 주 주말, 공주 산성시장 문화공원에서 펼쳐지는 사백년 인절미 축제에 어린 자녀들과 함게 참여하시어 인절미를 직접 만들어 보시고 맛도 보면서 공주시 상권도 살리고, 우리쌀 소비도 늘려서 식량자급률도 높여가는데 조금이라도 도움을 주시기 바랍니다.

2023년 사백년 인절미 축제 홍보영상

2023년 사백년 인절미 축제 홈페이지

2023 사백년 인절미 축제

위치 : 공주 산성시장 문화공원

축제기간 : 2023. 3. 4.(토) ~ 5.(일)

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김기섭 기자의 글을 더 볼 수 있습니다.

{"title":"미리 만나보는 2023 사백년 인절미 축제 - 공주 산성시장 문화공원","source":"https://blog.naver.com/cyber_gongju/223031592611","blogName":"흥미진진 ..","blogId":"cyber_gongju","domainIdOrBlogId":"cyber_gongju","logNo":223031592611,"smartEditorVersion":4,"meDisplay":true,"lineDisplay":true,"outsideDisplay":true,"cafeDisplay":true,"blog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