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2022년 12월 1일 개정된 '소방시설법'에 따라

의무점검 대상이 된 공동주택 세대 내 소방시설에 대한 외관점검법과

'소방시설 외관점검표'

입주민이 직접 작성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 공동주택 세대 내 소방시설 점검을 왜 입주민이 해야하나요?

공동주택 화재 발생 시 소방시설 작동 오류로 인해 대형화재로 확산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어, 이를 방지하고자 지난 2022년 12월 1일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약칭: 소방시설법)이 개정 되었습니다!

※ 점검대상인 공동주택은 아파트등으로 한정하며, 아파트등은 주택으로 쓰이는 층수가 5층 이상인 주택을 말합니다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별표 3 제6호(공동주택 세대별 점검방법)

공동주택 세대별 점검방법은 다음과 같다

관리자 및 입주민은 2년 이내

모든 세대에 대하여 점검을 해야 한다.

2022년 12월 1일 개정

공동주택 소방시설 세대점검

'소방시설 외관 점검표' 수령

점검을 시작하기 전 준비물인

'소방시설 외관 점검표'를 각 관리사무소

소방안전관리자로부터 배부를 받으셔야 합니다.

공동주택의 소방시설의 종류

배부받으신 점검표에는 점검을 하셔야하는

공동주택 세대 내 소방시설이 기입되어 있는데요,

소방시설은 소화설비, 경보설비, 피난설비, 기타설비 로 나누어지며

각 설비별 소방시설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각 설비별 시설표>

소화설비

소화기

자동확산소화기

주거용 주방자동소화장치

스프링클러

경보설비

화재감지기

가스누설 경보기

피난설비

완강기

피난구용 내림식 사다리

기타설비

대피공간

경량 칸막이

다만, 공동주택의 준공 연도, 층수, 면적 등 구조에 따라 설치된 소방시설이

다르므로 점검해야 할 소방시설의 종류를

관리사무소(소방안전관리자)에서 확인해야 합니다!

소방시설의 외관 점검

소방시설 외관 점검표에 기재된 소방시설에 대해

정상적으로 설치되어 있다면 '정상'칸에

외관이 변형됐거나 고장이 난 상태일 경우 '불량'칸에 체크해야하는데요,

지금부터는 각 소방시설별 점검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공동주택 소화설비 점검방법


소화기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장소 설치

※ 눈에 잘 띄지 않거나 접근이 어려운 곳 설치❌


소화기 외부 청결 상태 유지

※ 찌그러짐, 부식, 파손 등 흔적은 불량


손잡이 안전핀 체결 유무 확인

※ 헐겁거나 탈락해 있다면 불량


소화기 지시 압력계 녹색 범위 이탈 확인

※ 우측(과압), 좌측(무압력)으로 상태 확인


수동식 소화기는 제조 연월 확인

※ 10년이 지난 경우 교체 또는 재검사


자동확산소화기

천장 면에 견고히 고정

※ 위치 탈락, 부식·파손·손상은 교체 필요


지시 압력계 녹색 범위 체크

※ 녹색 범위를 벗어난 경우 '불량'


주거용주방자동소화장치

지시 압력계 바늘 위치 확인

※ 녹색 범위 '정상', 범위 이탈 '불량'


설비 전원표시등 확인

※ 녹색 전원표시등이 들어오지 않을 경우 '불량'


스프링클러

천장면 고정 및 외형 청결 체크

※ 외관 부식, 파손이나 위치 변동일 경우 '불량'


스프링클러 주변 환경 체크

※ 물건으로 막힐 경우 기능 장애 발생

공동주택 경보설비 점검방법

화재감지기

보호 캡 제거 및 변형, 부식, 외형 체크

※ 위치 미 고정, 선로 단선의 경우 '불량'


가스누설 경보기

전원표시등 색상 및 소음 확인

※ 전원표시등에 빨강, 주황색 불이거나

경고음이 들릴 경우 기능 고장의 유의할 것


공동주택 피난설비 점검방법

완강기

설치 장소 확인

※ 개방이 어려운 장소는 파괴 장치 구비 필요


외형 청결상태 확인

※ 찌그러짐, 부식 등 외형 변화는 '불량'


로프 안전상태 확인

※ 직접 당겨보고 팽팽한 상태 확인하기


완강기 지지대 상태 확인하기

※ 헐겁거나 부식, 파손 등 외형 변화는 사용 자제


피난구용 내림식 사다리

피난구 안내 표지 확인

※ 식별 가능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사다리 보관함 사용방법 확인

※ 물건을 쌓거나 가려지지 않도록 유의해야 합니다.


공동주택 기타설비 점검방법

대피공간

대피공간 방화문 여부 체크

※ 개방 시 문도 자동으로 닫혀야 합니다.


대피공간 공간 확보하기

※ 물건을 쌓거나 다른 용도로 이용하지 않습니다.


경량 칸막이

주변 환경 및 청결상태 체크


점검을 마치신 후 작성이 완료된 점검표를

관리사무소에 제출하시면 모든 점검은 끝납니다.


지금까지 공동주택 각 세대 내

소방시설 점검방법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다소 낯선 시설물이라 도움이 필요하신 분께서는

각 공동주택 소방안전관리자께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공동주택 소방 시설 세대점검

▼ 바로보기 ▼


화재로부터 우리가족을 지키는

가장 쉽고 안전한 길 - 예방!

안전의 길 첫걸음부터 경기도소방재난본부가

함께하겠습니다!

{"title":"공동주택 소방시설 세대점검, 자세히 알려드립니다!","source":"https://blog.naver.com/gyeonggi_gov/223093631905","blogName":"경기도 공..","blogId":"gyeonggi_gov","domainIdOrBlogId":"gyeonggi_gov","logNo":223093631905,"smartEditorVersion":4,"meDisplay":true,"lineDisplay":true,"outsideDisplay":true,"cafeDisplay":true,"blog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