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불 기후동행카드(신용/체크카드 연계)
- 마감 D-90
- 이용권
- 온·오프라인
- 지원혜택
- 대중교통 통합 정기권(카드)
- 신청기간
- 24.11.25(월)~25.12.31(수)
- 정책기관
서울특별시
- 대중교통 할인은 청년, 다자녀, 저소득층에게 제공됩니다. 청년할인은 만 19세부터 39세까지 적용되고, 의무복무 제대군인은 추가 혜택을 받습니다. 다자녀와 저소득층의 경우 자녀 수와 소득에 따라 할인이 차등 적용됩니다.
- 할인 적용은 매월 1일부터 말일까지로, 대중교통 이용 후 부담한도 내에서 요금이 청구됩니다. 청년, 다자녀, 저소득층 고객의 월 부담한도는 각각 다르며, 따릉이와 한강버스 이용 시 추가 청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서비스는 서울 지하철과 일부 경기도 구간, 시내·마을버스, 따릉이, 한강버스를 포함합니다. 신분당선 등 특정 노선은 제외됩니다. 후불 기후동행카드는 하차 시 태그가 필수이며, 미태그 시 사용이 일시 정지됩니다.
지원대상
○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시민
○ 청년할인
- 만19세~39세(1985.1.1. ~ 2006.12.31. 출생자), 거주지 제한 없음
- 의무복무 제대군인 대상 청년할인 연장 적용
* 1년 미만 복무: 만 19세~40세 / 1년 이상~2년 미만 복무: 만 19세~41세 / 2년 이상~5년 미만 복무: 만 19세~42세
○ 다자녀·저소득층 할인
- 다자녀 부모: 2명이상 자녀 양육, 단 자녀 1명 이상은 18세 이하
- 저소득층: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따른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 계층
- 거주요건: 서울특별시, 경기도 김포시, 남양주시, 구리시, 과천시, 고양시, 성남시, 하남시에 주민등록된 주민
지원내용
○ 적용기간: 매월 1일 ~ 말일 기준 적용
○ 청구방식: 대중교통 이용 후 고객 월 부담한도까지만 청구, 부담한도 미만 이용 시 실제 이용한 대중교통 이용 비용 청구
○ 요금 청구 기준
- 대중교통 고객 월 부담한도(30일 기준): 62,000원 기준으로 월별 일수 차이에 따라 일당 2,000원 가감 적용
- 청년할인 고객 월 부담한도(30일 기준): 7,000원 할인 기준으로 월별 일수 차이에 따라 일당 230원 가감 적용
- 다자녀·저소득층 고객 월 부담 한도(30일 기준)
· 2자녀: 7,000원 할인 기준으로 월별 일수 차이에 따라 일당 230원 가감 적용
· 3자녀·저소득층: 17,000원 할인 기준으로 월별 일수 차이에 따라 일당 560원 가감 적용
○ 대중교통+따릉이+한강버스 이용 고객 월 부담한도
- 따릉이: 대중교통 월 부담한도 이용 충족 시, 최대 3천원 청구 / 대중교통 월 부담한도 미충족 시, 최대 5천원 청구
- 따릉이 이용 횟수 및 대중교통 이용 실적에 따라 최소 1천원~5천원까지 청구(월 부담한도 이내 청구)
- 한강버스: 1회 이용 시 3천원 청구, 2회 이상 이용 시 5천원 청구
○ 서비스 범위
- 서울지역 내 지하철 + 일부 경기도 구간 지하철(신분당선 제외)
- 서울시 면허 시내·마을버스(심야버스 포함)
- 따릉이
- 한강버스
○ 지하철 세부노선
- (1호선) 온수/금천구청~도봉산, (2호선) 전구간, (3호선) 전구간
- (4호선) 정부과천청사~진접, (5호선) 전구간, (6호선) 전구간
- (7호선) 온수~장암, (8호선) 전구간, (9호선) 전구간
- (신림선) 전구간, (경의중앙선) 탄현~구리/서울역
- (수인분당선) 청량리~오리, (경강선) 판교~이매
- (우이신설선) 전구간, (공항철도) 김포공항~서울역
- (경춘선) 청량리~신내, (김포골드라인) 전구간
- (서해선) 일산~김포공항
※ 이용제외: 신분당선, 서울지역 외 지하철, 광역/공항버스, 타 지역 면허 버스
○ 후불 기후동행카드 하차 미태그
- 지하철/버스 하차 시, 후불 기후동행카드 태그는 필수
- 기후동행카드 하차 미태그 2회 누적 발생 시, 마지막 승차(하차 미태그 이전 승차) 시점으로 부터 24시간 동안 사용이 정지
- 후불 기후동행카드의 미태그 내역은 매 월 1일 초기화
- 승차 가능역에서 승차 후 서울 지역 외에서 하차 시 하차 미태그 1회 발생으로 간주
관련정보
- 관련 정보 없음
신청방법
○ 카드발급기관: 신한카드, KB국민카드, 롯데카드, 비씨카드, NH농협카드, 삼성카드, 현대카드, 하나카드, 우리카드, IBK 기업은행
- 발급기관에서 카드 발급 후 반드시 “티머니 카드&페이“ 홈페이지 가입 후 카드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