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영지 기자]


경기도의 본격적인

공공의료 디지털 전환 추진

경기도의료원 안성병원 전경 ⓒ 안성병원

경기도는 최근

‘2025 경기 AI 공공의료 실증 지원사업’

최종 수행기관으로 수원, 안성, 이천

3개 공공의료원을 선정했다고 밝혔습니다.

‘AI 진단보조시스템’과

‘의료영상 AI 데이터 플랫폼’을 도입하여

의료영상자료를 AI가 학습하고, 이를 진단에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입니다.

실제 사용되고 있는 AI ⓒ freepik

‘AI 진단보조시스템’은 이미 여러 국가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으며,

실제로 미국과 유럽을 비롯한 다양한 국가에서

임상에 사용되어 큰 호평을 받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도 루닛, 휴런, 퍼플에이아이,

인피니트헬스케어 등 여러 기업이 AI 솔루션을

개발하고, 이를 의료 현장에서 적용하고 있습니다.

AI ⓒ freepik

‘AI 진단보조시스템’은 의료영상에서 미세한 변화를

감지하고, 전문의의 판독을 지원하여

더욱 신속하고 정확한 진단을 가능하게 합니다.

특히, CT와 MRI 등의 판독 시간을 단축시켜

환자의 대기시간을 줄이고,

조기 진단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경기도의 AI 진단 서비스 도입 ⓒ 경기도

경기도는 유신씨앤씨, 루닛, 휴런 등 각 분야에서

이미 전문성을 갖춘 기업들과 협업을 통해

AI 솔루션을 안정적으로 구축하고,

실증사업의 완성도를 높일 것으로 기대됩니다.

‘AI 진단보조시스템’을

기존의 PACS(의료영상 저장·전송 시스템)와

연동하여 실시간 진료에 활용할 예정이며,

이를 통해 의료진의 판독을 지원하고,

진단의 정확도와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이런 ‘AI 공공의료 지원사업’은

경기도민이 직접 체감할 수 있는 AI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지역 의료 격차를 줄이는 데

큰 의미가 있습니다.

경기도는 7개월 간의 실증사업을 통해 얻은 성과를

바탕으로 향후 사업 확대 여부를 결정하고,

이를 AI 의료 정책에 반영할 계획입니다.

이번 사업은 의료 현장에서 AI의 역할을 확장하고,

공공의료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발걸음이 될 것입니다.

가까운 미래에는 AI의 도움으로 더욱 효율적이고

정확한 의료 서비스를 제공받길 기대해 봅니다.


{"title":"[기회기자단] 경기도, 공공의료 AI 진단보조시스템 도입 본격화","source":"https://blog.naver.com/gyeonggi_gov/223875169662","blogName":"경기도 공..","domainIdOrBlogId":"gyeonggi_gov","nicknameOrBlogId":"경기도","logNo":223875169662,"smartEditorVersion":4,"meDisplay":true,"lineDisplay":true,"outsideDisplay":true,"cafeDisplay":true,"blog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