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튀르키예, 시리아의 지진으로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했습니다. 자연재해는 언제 발생할지 예상하기 어렵기 때문에 더 큰 피해를 낳기도 합니다.

우리나라는 지진에서 비교적 안전한 지역이지만, 2016년 경상북도 경주에서 진도 5.8의 지진이 발생한 적이 있는데요. 경주 지진은 1978년 지진 관측을 시작한 이래 가장 강력했던 지진으로 한반도 전역에서 흔들림을 느낄 수 있을 정도였습니다. 최근에는 포항에서 5.4 규모의 지진이 일어나 큰 피해를 입기도 했는데요. 이처럼 우리나라도 지진으로부터 완전히 안전하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하지만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 지진, 태풍, 홍수와 같은 자연재해는 사전에 대피요령을 잘 숙지하고 있는 것만으로도 피해를 줄일 수 있답니다.

산본중앙공원 - 지진 옥외대피장소

혹시 ‘지진옥외대피장소’에 대해서 들어보셨나요? 각 지자체에서는 지진 발생 시 시민들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지진옥외대피장소를 지정, 운영하고 있는데요. 저도 평소에는 관심을 두지 않았지만 이번 튀르키예의 지진을 계기로 제가 거주하는 지역의 지진옥외대피장소를 찾아봤습니다.

'지진옥외대피장소' 어떻게 확인할 수 있을까?

궁내공원 - 지진 옥외대피장소

주변을 다니다 보면 공원, 학교 운동장에 노란색 배경의 지진옥외대피장소라는 안내판을 종종 발견할 수 있습니다. 낙하물로 인한 피해로부터 안전한 넓은 공터에 대피 장소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시민체육광장 운동장/ 궁내초등학교 운동장 - 지진 옥외대피장소

지진옥외대피장소를 확인하는 방법은안전디딤돌 앱을 설치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는 많이 사용하는 네이버 지도, 카카오 맵과 같은 스마트폰 지도에 지진옥외대피소’로 검색하면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재난안전정보 포털 앱 '디딤돌'

주변에 지진옥외대피장소가 없다면 야외의 넓은 공터로 대피해도 괜찮습니다.

지진 발생 시 대피 요령

① 튼튼한 탁자, 책상 아래로 들어가 탁자 다리가 움직이지 않도록 꽉 잡아 몸을 보호합니다.

② 흔들림이 멈춘 후 전기와 가스를 차단해 화재를 예방해 주세요.

③ 건물 밖으로 대피할 경우 엘리베이터 대신 계단을 이용해 주세요.

④ 실외에서는 유리창, 간판 등 떨어지는 물건에 주의하며, 가방이나 손으로 머리를 보호해 이동하고,

최대한 건물과 떨어져 대피합니다.

⑤ 낙하물이 없는 넓은 공간으로 대피합니다.

지진 막을 수는 없어도,

대피요령과 대피장소를 잘 숙지하고 있다면

피해를 줄일 수는 있습니다!


*본 게시글은 군포시 블로그 기자단이 작성한 글로, 군포시 공식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title":"우리동네 지진옥외대피장소는 어디에 있을까?","source":"https://blog.naver.com/o2gunpo/223021406723","blogName":"군포시 공..","blogId":"o2gunpo","domainIdOrBlogId":"o2gunpo","logNo":223021406723,"smartEditorVersion":4,"cafeDisplay":true,"blogDisplay":true,"meDisplay":true,"lineDisplay":true,"outside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