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1일) 민선 8기 취임 3주년 기자 간담회가 열리며

지난 3년간의 시정 성과와 향후 1년 시정 방향을 공유했습니다.

민선 8기 취임 3주년 기자 간담회

2025. 7. 1.(화)

부산시는 어제(1일) 시청 기자회견장에서 민선 8기 취임 3주년 기자 간담회를 열고, 지난 3년간의 시정 성과와 향후 1년 시정 방향을 시민들과 이야기했습니다.

박 시장은 “민선 8기의 지난 3년은 부산을 글로벌 허브 도시로, 시민행복도시로 도약시키기 위한 숨 가쁜 여정이었다”라며 “그 과정에서 부산의 가능성과 변화를 직접 확인했고, 시민들의 자조와 비관을 확실한 희망과 자신감으로 바꾸는 시간이었다”라고 말했습니다.

민선 8기 3년간의 시정 성과를 ‘늘리고, 높이고, 풀고’라는 세 가지 핵심 키워드로 요약하며, 정책 성과가 단순한 구호가 아닌 숫자와 실질적 변화로 입증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늘리고

: 투자, 일자리, 관광객까지 전방위 성장

투자와 일자리부터 외국인 관광객에 이르기까지 부산의 활력이 크게 늘었습니다.

✅ 투자 유치

지난 3년간 시의 투자유치 누적 금액은 약 14조 원으로, 2020년 대비 22배로 증가했으며 이에 따라 약 1만 6천 개의 일자리가 창출됐습니다.

대기업 연구개발(R&D) 센터를 중심으로 한 글로벌 기업과 첨단 물류, 신산업 분야 우수기업들의 부산행이 이어지고 있으며, 전국 지자체 최초 연내 두 번째 지정된 기회발전특구, 도심융합특구, 그리고 지역 전략사업 선정으로 17년 만에 개발제한구역 해제를 통한 500만 평의 개발 가용부지를 확보했습니다.

✅ 일자리

상용근로자 수가 지속해서 상승하며 사상 첫 100만 명 달성을 눈앞에 두고 있습니다.

특히, 청년 고용률이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하며 부산의 고용지표가 뚜렷한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으며, 15세부터 64세 고용률 상승폭은 전국에서 가장 높은 수준으로 나타납니다.

✅ 외국인 관광객

외국인 관광객 수는 지난해 기준 292만 명으로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고, 올해 4월 기준으로 100만 명을 넘기며 역대 최단기간 100만 돌파라는 신기록을 세우고 있습니다.

👇관련 내용 자세히 보기👇

높이고

: 도시브랜드와 삶의 질, 글로벌 수준으로 도약

크게 향상된 도시브랜드와 개선된 삶의 질로 시민 자부심을 높였습니다.

✅ 세계 주요 평가

부산의 산업 생태계에 디지털 신산업의 DNA를 이식한 끝에 영국 지옌사의 글로벌스마트센터지수(SCI)에서 2021년 62위에서 2025년 12위(아시아 2위)로 급상승했습니다.

전국 최초의 디지털자산거래소와 부산기술창업투자원 설립 등으로 자본과 인재, 기술이 선순환하는 아시아 최고의 금융‧창업도시를 만들고자 한 노력으로 국제금융센터지수(GFCI)도 역대 최고인 24위에 올랐습니다.

이코노미스트가 발표한 ‘아시아 살기 좋은 도시’ 순위에서는 2년 연속 6위에 올랐고, 뉴욕타임스와 트립어드바이저 등 해외 유력 매체에서도 주목받는 도시로 주목받았습니다.

✅ 국내 주요 평가

  • 2024년 한국 아동 삶의 질 전국 1위(세이브더칠드런)

  • 2024년 청년 삶의 만족도 특·광역시 1위(국회미래연구원)

  • 시민행복지수 특·광역시 1위(국회미래연구원) 등

다양한 지표에서 긍정적 평가를 받았습니다.

✅ 핵심 정책

다시 태어나도 살고 싶은 부산을 만들기 위한 핵심 정책인 ‘15분 도시’ 정책부터 부산형 통합 늘봄 ‘온 부산이 온종일 당신처럼 애지중지’, 부산에서 시작된 ‘지역 주도의 교육 혁신’과 부산형 청년정책 ‘청년지(G)대’는 시민들의 삶 깊숙이 자리 잡아 실생활에서 체감할 수 있게 됐습니다.

✅ 시민 삶의 질 향상

부산콘서트홀 개관, 오페라하우스 공사 재개, 세계적인 미술관 조성 등으로 부산의 문화 인프라는 글로벌 수준으로 도약 중이며, 시장 관사 ‘도모헌’ 40년 만에 개방, 공원 면적 확대, 4대 프로스포츠 구단 보유 시민들의 삶의 질을 더욱 풍요롭게 하고 있습니다.

풀고

: 장기 미해결 과제 해결, 혁신적 기반 마련

시민과의 약속을 지키는 시정으로 현안 해결의 물꼬를 트고 엉킨 실타래를 풀었습니다.

가덕도신공항은 정부의 긍정적인 결정을 끌어내며 조기개항의 기틀을 마련하고, 경부선 철도 지하화(부산진~부산역) 사업은 총사업비 1조 8천184억 원이 투입되는 국가사업으로 본궤도에 진입했습니다.

대저·엄궁·장낙대교 등 낙동강 횡단교량 사업은 환경과 개발의 균형 있는 해법 마련으로 계획 수립 10년 만에 착공에 들어갔습니다.

또한 10년 넘게 멈춰있던 수영만 요트경기장 재개발 사업도 본궤도에 올랐으며, 다대소각장도 복합해양 레저관광의 중심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민간 유치와 정부 공모사업을 연계해 구상을 구체화하고 있습니다.


향후 1년 시정 정책 방향

시민행복

  • 15분 도시 조성 고도화, 행복주거도시 조성, 복지공동체

  • 출산·양육친화 환경조성, 의료 안전망 구축, 안전도시 구현

  • 저탄소 그린도시, 대중교통 모빌리티 환경, 디자인도시, 혁신과 행복 시정

물류거점

  • 글로벌허브도시 특별법, 가덕도신공항 적기 개항, 북항재개발

  • 항만 인프라 조성, 53사단 이전 등 미래혁신 공간 창출

  • 복합물류 인프라 구축, BuTX 등 철도망 확충 및 철도시설 재생

금융창업

  • 산업전환펀드, BIFC 3단계, 핀테크·블록체인 등 디지털 금융중심지 완성

  • 기술창업투자원, 글로벌 창업허브 구축 등 아시아 창업도시 조성

  • 체감형 청년정책 추진, 청년역량 강화, 부산형 RISE, 글로컬 대학 육성

경제혁신

  • 경제체질 강화, 민생경제 회복, 전략적 투자 유치, 원스톱 기업 지원

  • 센텀2지구 도심융합특구 조성, AI·양자기술 등 미래신산업

  • 주력산업 디지털전환, 전력반도체, 방사선의과학, 해양·수산 신산업

문화관광

  • 세계적 인프라 등 문화도시 기반 강화, K-영상콘텐츠산업 육성

  • 전국체전, 생활체육 저변 확대·인프라 확충 등 스포츠천국도시

  • 관광콘텐츠 확장, 글로벌 관광·마이스·해양관광 허브도시 조성

[핵심 전략]

시민행복도시 + 글로벌 허브도시(혁신 인프라·산업·인재)

다시 태어나도

살고 싶은 부산을

여러분과 함께 완성하겠습니다.


{"title":"민선 8기 3년간의 시정 성과, 늘리고·높이고·풀고","source":"https://blog.naver.com/cooolbusan/223919276592","blogName":"부산광역시..","domainIdOrBlogId":"cooolbusan","nicknameOrBlogId":"부산광역시","logNo":223919276592,"smartEditorVersion":4,"meDisplay":true,"lineDisplay":true,"outsideDisplay":true,"cafeDisplay":true,"blog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