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가볼 만한 곳 경상북도독립운동기념관을 다녀왔습니다.

1894년 갑오의병에서 1945년 안동농림학교 학생항일운동에 이르기까지

안동 출신 독립운동가들이 벌인 항일운동의

방대한 역사 자료가 전시되어 있는 곳입니다.

제1전시실 안동 출신 독립운동가들의 국내 활동상

제2전시실 중국으로 망명한 안동 출신 애국지사들의 활동상

제3전시실 안동 출신 독립운동가들을 추모하는 공간

이외에 특별 전시실과 연수원 등이 있습니다.

1910.8.29 나라를 빼앗기다.

1905년 대한제국은 일본에 외교권을 빼앗겼습니다.

여기에 맞서 광무황제는 헤이그 만국회의에

특사를 파견하여 조약 무효를 주장하였어요.

그러나 일본은 이를 빌미로 삼아 광무황제를 강제 퇴위시키고

정미 7조약으로 군대를 해산시킨 뒤,

1910년 대한제국의 국권을 빼앗았습니다.

1910년 이전부터 일본의 약탈은 시작되었는데요.

광복이 되는 1945년까지 35년간 나라를 잃은 민족이었습니다.

이 시기를 잘 견뎌주신 선조들이 있었기에

우리가 지금 이렇게 살고 있다는 것을 느낍니다.

1908년 1월 일본군의 이강년 부대 탄압 계획 약도입니다.

바로 옆에는 무장한 항일의병들이 있는데요.

이 사진은 일제강점기 내용을 다룬 드라마에서도 기억이 있는데요.

이강년은 한말의 의병장입니다.

1908년 용호동, 갈기동, 백담사, 안동 서벽 전투 등에서 승리를 거두었으나,

청풍의 금수산에서 체포되어 사형당하였다고 합니다.

일제강점기 우리 민족의 투쟁은 계속 이어졌습니다.

꺾이지 않는 불굴의 의지로 잃어버린 나라를 찾기 위해

수많은 도전과 투쟁이 있었습니다.

세계에 독립을 선언하다!

1919년 2월 8일 일본의 심장 도쿄에서

독립만세의 함성이 울렸습니다.

한국 유학생이 이끌어낸 2.8독립 선언입니다.

이어 3월 1일 서울을 시작으로

나라 안팎 곳곳에서 만세운동이 일어났습니다.

온 민족이 일어나 "조선이 독립국임과 조선인이 자주민임"을 선언한 것입니다.

그 열망과 희망으로 우리 역사상 처음으로 근대국가가 선언되고,

민주공화정부가 탄생하였습니다.

만주 길림에서도 독립운동을 주도하던

지도자들이 '대한독립선언서'를 발표하였습니다.

학생, 경북의 첫 만세운동을 이끌다

경북의 첫 독립선언은 1919년 3월 8일

대구에서 울려 퍼졌습니다.

교사와 학생들이 이날의 만세운동을 주도했습니다.

학생들은 독립선언서와 태극기를 만들고

서로 연락을 주고받았습니다.

3월 8일이 되자 1,000여 명의 학생, 시민

서문 밖 시장에 모여 도심을 향해 행진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날로 정한 이유는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장날이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행렬이 달성군청 앞에 이르자

기관총으로 무장한 헌병대가 가로막았다고 해요.

157명이 붙잡히고, 학교에는 휴교령이 내려졌습니다.

그러나 학생들은 숨어서 만세운동을 이어갔고

그 불씨는 경북 전역으로 퍼졌습니다.

옴짝달싹할 수 없이 좁은 공간에 사람을 감금하여

앉을 수도 움직일 수도 없는 고통을 주었던 고문 도구입니다.

벽에 서 있는 관이라 하여 '벽관'이라 이름을 붙였다고 합니다.

일명 벽관 고문!

정말 생각만 해도 끔찍합니다.

어떻게 사람이 사람에게 이럴 수가 있는지

아무리 생각을 해도 납득이 가지 않습니다.

안동 가볼 만한 곳 경상북도독립운동기념관에는

방대한 양의 내용들이 있습니다.

이 포스팅의 사진과 글은 단지 일부일 뿐입니다.

사회운동으로 일제에 저항하다!

3.1운동 이후 식민통치와 독립운동의 양상이

크게 달라졌다고 합니다.

일제는 문화통치를 통해 민족의 분열을 유도했습니다.

그러나 새롭게 독립운동의 주체로 떠오른 농민과 노동자, 학생들은

이에 맞서 활발한 투쟁을 벌였습니다.

사회주의 사상도 중요한 기폭제가 되었다고 합니다.

특히, 경북은 사회주의를 수용하고

그 방법으로 일제에 맞선 사람들이 많았다고 해요.

이들은 대중들을 이끌어 갈 조직을 만들고

야학과 강연 등을 통해 항일의식을 일깨웠다고 해요.

영화로도 나왔던 박열 열사를 아시나요?

1923년 관동대지진 이후 퍼진 괴소문으로

6천여 명의 무고한 조선인이 학살됩니다.

사건을 은폐하기 위해, 관심을 돌릴 화젯거리가 필요했던 일본 내각은

'불령사'를 조직해 항일운동을 하던

조선 청년 '박열'을 대역사건의 배후로 지목합니다.

"그들이 원하는 영웅이 돼줘야지"

일본의 계략을 눈치 차린 박열은 동지이자 연인인 가네코 후미코와 함께

일본 황태자 폭탄 암살 계획을 자백하고

사형까지 무릅쓴 역사적 재판을 받습니다.

조선인 최초의 대역 죄인!

말 안 듣는 조선인 중 가장 말 안 듣는 조선인!

역사상 가장 버릇없는 피고인!

일본 열도를 발칵 뒤집은 사상 초유의 스캔들!

그 중심에 박열이 있었습니다.

독립운동의 중심에는 여성들이 있었습니다.

내조를 잘 하는 여성뿐만 아니라

중국에서 무장 항일투쟁을 펼치고

진취성으로 새 길을 열어간 여성들 말입니다.

영화 '영웅'에서 보면 안중근 의사의 어머니가 나옵니다.

직접 독립운동에 나선 것은 아니지만

아들이 하고자 하는 길을 지지했습니다.

안동 가볼 만한 곳 경상북도독립운동기념관에서

살아있는 유교문화와 경상북도 독립운동 역사를

되짚어 보는 시간을 가지시기 바랍니다.

📌경상북도독립운동기념관

주소

경북 안동시 임하면 독립기념관길 2

이용 시간

매일

09:00 - 18:00

휴무일

매주 월요일

문의

054-820-2600


본 내용은 윤은정 안동시

SNS 기자단 개인의 의견으로,

안동시 공식 입장이 아님을 밝힙니다.

{"title":"안동 가볼 만한 곳 경상북도독립운동기념관","source":"https://blog.naver.com/andongcity00/223384413014","blogName":"안동시 공..","blogId":"andongcity00","domainIdOrBlogId":"andongcity00","logNo":223384413014,"smartEditorVersion":4,"meDisplay":true,"lineDisplay":true,"outsideDisplay":true,"cafeDisplay":true,"blog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