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년 전
독립운동가이자 민족시인 "이육사 문학관"
안동하면 생각나는 인물 중 한 분인
이육사 선생님은 민족 시인이자
독립운동가이십니다.
안동에는 이육사 선생님에 대해
알 수 있는 이육사문학관이 있는데요.
곧 여름방학이 시작되는데
아이들과 함께 방문하면 좋을
안동의 명소입니다. 😊
이육사문학관은 탄신 100주년
순국 60주기를 맞춰 2004년 개관했으며,
2017년 정신관, 생활관을 개축하고
이육사 생가인 육우당을 복원해 재개관했습니다.
이육사문학관으로 들어가기 전
이육사 선생님 동상과 절정 시가 있고,
입구에는 이육사 선생님 흉상과 소개가 있습니다.
이육사문학관은 유료 관람이라
입구에서 표 구매 후 들어가시면 되고,
이곳은 안동 스탬프 투어 장소 중 한 곳입니다.
이육사 선생님을 소개해 드리면
조부 이중직에게 한학을 배우고
보문의숙을 거쳐 도산공립보통학교를 졸업하여
1920년 결혼 후 9개월간 교편을 잡았습니다.
1927년 조재만과 동행해 귀국했으나
장진홍의 조선은행 대구지점 폭파사건에 연루되어
대구형무소에서 1년 7개월 옥고를 치르셨는데
이때 수인번호 이육사를 따서 호를 육사로 지었습니다.
1930년 중외일보 기자로 재직하면서
첫 시 ‘말’을 발표하고 이후 청포도, 절정, 광야 등
교과서에서 한 번쯤 보거나 들어봤을 시를 포함
40편의 시를 남기셨습니다.
1932년 베이징과 난징에 머물며
독립운동하다가 의열단에서 설립한
조선혁명군사정치간부학교에 1기생으로 입교해
6개월 과정을 마치고 1943년 중국으로 귀국,
그해 가을에 붙잡힌 후 1월 16일 마흔의 나이에
일본 영사관 감옥에서 순국하셨습니다.
이육사문학관은
1층과 2층으로 되어 있는데요.
출입구인 2층으로 가면
이육사를 그리는 마음, 연보, 원촌마을과
가계도, 유학 생활, 대구에서 활동,
육사의 발자취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육사선생의 생애, 독립운동 배경,
장진홍의거사건,이육사 이름을 사용한
이유와 의미 등에 대해 알 수 있습니다.
1층 전시관은 이육사 선생님의
독립운동과 문학 활동, 순국,
문학작품·비평문이 게재된 도서들,
감옥을 재현해 수감생활을 알 수 있으며,
사진, 훈장, 추모 시 등을
전시해 놓아 이육사 선생님을
기억할 수 있는 공간입니다.
이육사문학관 방명록을 작성하는 곳과
아이들이 함께 체험하면 좋은
스탬프 체험 코너가 있습니다.
이육사 선생님의
시중 청포도가 있는데요.
문학관 마당에는 청포도가
조금씩 자라나고 있었답니다.
이육사문학관에는
이육사 선생님 사인의 비밀을 볼 수 있는
이육사 인장과 사인 전시가 있는데요.
예지와 인생에 또 다른 필명인
이활을 흘려 쓰셨는데,
거울을 통해 봐야만 보이는
미러 라이팅 기법으로 사인이 되어 있으니
전시관을 방문하시면 보시길 추천해 드립니다.
지금까지 이육사문학관을
소개해 드렸는데요,
이번 여름방학 가족과 함께
이육사문학관을 방문하셔서
이육사 선생님의 독립운동,
문학세계 등을 알아가고,
생가인 육우당과 청포도 시비공원,
고향 원촌마을, 시상지인 윷판대도
둘러보시면서 이육사 선생님에 대해
설명해 주시는 건 어떠실까요?
▼ 이육사문학관 홈페이지 ▼
📚 이육사문학관 관람 안내
개관 시간
3월~10월 : 09시~18시
11월~2월 : 09시~17시
휴관일
매주 월요일, 1월 1일, 설날, 추석
입장료
성인 2,000, 청소년·군경 1,500, 어린이 1,000원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백운로 525
전화번호
전화: 054-852-7337
본 내용은 김희열 안동시
SNS 기자단 개인의 의견으로,
안동시 공식 입장이 아님을 밝힙니다.
- #이육사
- #이육사문학관
- #안동
- #안동시
- #안동박물관
- #안동체험
- #안동전시
- #안동가볼만한곳
- #안동아이와함께가볼만한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