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년 전
당신을 위한 걱정 없는 맞춤형 돌봄서비스, 「제주가치 통합돌봄」
가치 있는 돌봄을 제주가 ᄀᆞ치 하다🍀
<제주가치 통합돌봄> 을 소개합니다.
제주가치 통합돌봄은 돌봄이 필요한 제주도민 누구나!
긴급상황에서 일상까지, 돌봄이 필요할 때라면
언제든지 걱정 없이 이용할 수 있는 돌봄 서비스입니다.
제주도정 민선 8기 공약에 따라 기존 돌봄 서비스를 대폭 확대시켜
올 10월부터 시범사업을 시행하게 되었는데요.
제주가치 통합돌봄의 구체적인 내용은 아래에서 함께 알아봐요!
걱정없는 맞춤형 돌봄! 빈틈없는 돌봄 안전망!
🙆♂️ 제주가치 통합돌봄 🙆♀️
💁돌봄이 필요한 도민 누구나 긴급상황에서 일상까지 돌봄이 필요할 때
걱정 없이 이용할 수 있는 맞춤형 돌봄서비스를 제공하는 제주형 돌봄정책
ℹ️가사지원, 식사배달, 일시보호, 방역∙방충, 주거편의, 긴급돌봄 등 6대 서비스
[시범사업] 가사지원, 식사배달, 긴급돌봄 등 3대 서비스 : 2023. 10. 1.~
[전면시행] 시범운영 + 일시보호, 방역·방충, 주거편의 등 6대 서비스 : 2025. 1. 1.~
지원대상🫂
1. 혼자 일상생활 수행이 어려우나
2. 돌봐줄 가족이 없고
3. 기존 돌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는 도민 누구나
가구별 기준중위소득 기준 ①틈새돌봄 85% 이하 ②긴급돌봄 150% 이하 무료 지원 * 초과자는 전액 본인부담으로 이용 가능 |
지원내용💗
▶기존돌봄 우선연계 아이돌봄, 노인장기요양, 장애인활동지원, 지역아동센터, 취약계층 급식지원 등
▶제주가치 통합돌봄 틈새돌봄+긴급돌봄
구분 |
서비스명 |
서비스 내용 |
시행 시기 |
지원한도 |
틈새 돌봄 |
❶가사지원 |
- 가사(취사․청소), 신체(식사․세면), 일상생활지원 - 방문목욕 |
’23.10월 |
연 150만원 이내 ※ 1회 연장 가능 |
❷식사배달 |
도시락 및 반찬 배달 |
|||
❸일시보호 |
시설 단기보호 |
’25. 1월 |
||
주거편의 |
❹방역·방충 |
|||
연 150만원 이내 |
||||
❺주거편의(문턱제거, 단차조정, 난간설치 등) |
||||
긴급 돌봄 |
❻긴급돌봄 |
가사지원 ※ 틈새돌봄(가사지원)과 중복지원 가능 |
’23.10월 |
연 60만원 이내 |
※ 건강·의료 등 서비스 추가 예정
[신청방법 : 읍면동 방문 신청 or 통합돌봄 상담콜 1577-9110]
📥읍면동 방문신청 : 통합돌봄 전담창구에서 원스톱신으로 돌봄 상담·신청·서비스연계
☎️통합돌봄 상담콜 : 통합돌봄 대표전화를 통해 행정시·읍면동 통합돌봄전담창구 바로연결
🧚지원절차 : 읍면동 담당공무원 돌봄계획 수립, 서비스 제공기관 서비스 신속 제공
신청 방문, 상담콜 |
현장방문 돌봄계획 수립 |
서비스 연계 서비스 의뢰 |
서비스 제공 |
서비스 평가/ 품질관리 |
읍면동 통합돌봄 전담창구, 행정시 |
읍면동 담당자 |
읍면동 담당자, 행정시 |
제주서비스원/ 민간제공기관 |
읍면동/ 광역통합돌봄지원센터 |
서귀포시가 기존에 추진해오고 있는 <어르신 통합돌봄>과 비교해볼 때,
👉지원대상자가 만 65세 이상 어르신에서 돌봄이 필요한 전 시민으로 대폭 확대되었고
👉일상생활 지원을 위한 가사서비스(취사·청소·식사·세면도움·방문목욕 등)가 신규 추가되었습니다.
제주가치 통합돌봄 시행에 따라 2024년부터 서귀포시 어르신 통합돌봄 서비스 중 식사와 방문목욕 서비스는 제주가치 통합돌봄으로 흡수 운영되며, 낙상예방 주거환경개선사업, 방문운동지도 등 서귀포만의 특화사업은 지속적으로 유지해나갈 예정입니다. 서귀포시가 기존에 운영해오고 있는 <어르신 통합돌봄>은 해마다 만족도가 상승하고 있는데요. 아래에서 어르신들에게 제공되는 돌봄서비스의 자세한 내용들도 함께 살펴보아요!
👵2023 서귀포시 어르신 통합돌봄👴
👉질병, 장애 등으로 돌봄이 필요하나 지원을 받지 못하는 어르신들을 대상으로 식사배달, 방문목욕, 낙상예방 주거환경개선, 방문운동지도 등 “찾아가는 서비스” 제공을 통해 돌봄 사각지대를 해소합니다.
👉서귀동 소재 [통합돌봄지원센터]와 대정읍 소재 [공유공간 한누리]를 중심으로 어르신들과 지역주민들과 함께 어울리며 살아갈 수 있도록 주거, 돌봄, 보건의료 서비스를 연계 제공하며,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분야 |
서비스명 |
실적 (명/건) |
서비스 내용 |
|
4개 분야 |
7개 서비스 |
500명 7,998건 |
|
|
주거 |
❶ 어르신 안심주택 운영 |
8명 8건 |
❍ 대상: 만65세이상 무주택어르신 ❍ 내용: 주거지원 및 필요서비스 연계 ❍ 협력기관: LH, 개발공사 |
|
❷ 낙상예방 주거환경 개선사업 |
28명 28건 |
❍ 대상: 퇴원 노인 등 낙상에 취약한 가구 ❍ 내용: 안전손잡이, 미끄럼방지매트, 문턱제거, 경사로 설치 등 ❍ 지원범위: 1가구 최대 150만원 |
||
돌봄 |
❸ AI활용 안심돌봄 지원사업 |
200명 200건 |
❍ 대상: 독거노인 등 200가구 ❍ 내용: 돌봄로봇 지원을 통한 응급상황 대응 및 말벗지원 |
|
❹ 식사지원 |
144명 6,818건 |
❍ 대상: 퇴원노인 등 스스로 식사 준비가 어려운 어르신 ❍ 내용: 월 25식 도시락 지원 |
||
❺ 목욕 |
60명 621건 |
❍ 대상: 퇴원노인 등 자택 내에서 목욕이 힘든 어르신 ❍ 내용: 월 4회 방문목욕 지원 |
||
보건 의료 |
❻ 방문운동 지도 |
47명 263건 |
❍ 대상: 퇴원노인 등 운동, 재활이 필요한 어르신 ❍ 내용: 물리치료사 또는 운동지도사가 가구방문하여 근력강화, 재활훈련 등 운동지도 |
|
❼ 장기요양 재택의료 |
13명 60건 |
❍ 대상: 재가장기요양 1~4등급자 중 거동이 불편해 의료기관 이용이 어려운 어르신 ❍ 내용: 거동이 불편한 장기요양 수급자를 대상으로 의사 왕진, 가정간호 지원 및 사회복지사의 주기적 상담 제공 |
💞 <어르신 통합돌봄 지원사업>은 만족도가 해마다 상승하고 있습니다.
종합 만족도가 87.7점으로 전년대비 1.4점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합돌봄 서비스를 받고 있는 95.1%의 어르신이 통합돌봄 서비스를 주변 이웃에 추천하고 싶고 계속 받고 싶다고 답했습니다.
👉지역주민과 어르신이 함께하는 프로그램 LIST
구분 |
통합돌봄지원센터 |
공유공간한누리 |
내용 |
||
프로그램명 |
실적(회/명) |
프로그램명 |
실적(회/명) |
||
계 |
15개 프로그램 |
176회/ 1,628명 |
11개 프로그램 |
95회/ 2,016명 |
|
건강 |
실버요가 |
45회/164명 |
실버요가 |
38회/166명 |
신체 활동 및 웃음 교실을 통한 스트레스 해소 및 활력 증진 |
실버라인댄스 |
21회/87명 |
맞춤형 개인운동지도 |
13회/50명 |
||
힐링 웃음교실 |
8회/30명 |
힐링 웃음교실 |
6회/60명 |
||
돌봄 및 여가 |
함께하는 돌봄밥상 |
29회/173명 |
함께하는 돌봄밥상 |
10회/50명 |
어르신과 지역주민이 어울려 함께 음식을 만들거나 모임을 형성하여 서로 돌봄 지원 및 문화·여가 생활 증진 |
방구석 시네마 |
4회/21명 |
방구석 시네마 |
7회/59명 |
||
어디가보카 |
2회/10명 |
어디가보카 |
3회/22명 |
||
마을모임 |
11회/61명 |
우리는 가족 |
6회/27명 |
||
행복밥상 |
1회/80명 |
행복밥상 |
2회/60명 |
||
원예교실 |
8회/56명 |
원예교실 |
1회/10명 |
||
통돌이 양과점 |
4회/16명 |
고치먹게 |
1회/14명 |
||
줍깅 ‘주우멍 걸으멍’ |
2회/19명 |
||||
교육 및 기타 |
바리스타 교육 |
18회/79명 |
생활안전교육 |
8회/67명 |
지역주민과 어르신을 대상으로 재능기부 등을 통한 다양한 교육기회 제공 |
북카페 운영 |
5회/19명 |
||||
노인인권 안전생활교육 |
5회/33명 |
||||
우리센터 재능기부 |
5회/55명 |
||||
공유 공간 |
공유부엌 및 시설대관 |
28명 |
한누리 카페 및 시설대관 |
745명 |
지역주민 누구나 이용가능한 공유공간 상시 개방으로 소통 창구 마련 |
공유카페 |
747명 |
건강증진실 |
686명 |
🧑🍳혼자 사는 어르신들이 함께 모여 직접 요리를 하면서 유대감을 형성하고,
만든 요리를 주변 어르신들께 나눔하는 "함께하는 돌봄밥상" 프로그램이 특히 인기가 좋답니다. :)
* [통합돌봄지원센터] 29회·173명 지원 / ([공유공간 한누리] 10회·50명 지원
서귀포시 관계자는 “서귀포시는 어르신 통합돌봄 지원사업을
먼저 시행해 오고 있는 만큼 그간 추진 경험을 바탕으로
시범사업을 조기정착시켜 나가는데 앞장서나감은 물론,
시민이 필요로 하는 건강·의료, 주거환경개선, 일시보호 등의 사업이
추가될 수 있도록 도와 지속적으로 협력해 나가겠다.”고 전했습니다.
제주가치 통합돌봄에 대해 더 궁금하신 점은
통합돌봄 전용 상담콜📞1577-9110📞을 통해 문의해주세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