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다시 5월 18일

올해도 광주광역시 망월동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제45주년 5・18민주화운동

국가 기념식이 거행되었습니다.

5・18민주화운동 국가 기념식은

미주・인권・평화의 숭고한

5・18민주화운동 정신을 기리고 이를 계승해

민주국가 발전과 국민 화합에 이바지하기 위해

1997년 국가기념일로 지정되었습니다.

‘함께, 오월을 쓰다.’

기념식에는 5・18유공자와 유족,

정・관계 주요 인사와 전국에서 찾아온

민주시민들이 자리를 함께 했습니다.

올해의 경과보고는

5・18유공자 후손이 낭독해

더욱 뜻깊었어요.

1980년 5월 17일

전국 비상계엄 확대부터

그 후 10일간의 광주항쟁,

그리고 95년 특별법 제정과

2011년 유네스코 세계기록 유산 등재까지-

5・18의 역사적 의미가

새삼 모두의 가슴을 울렸습니다.

공연 역시 특별했는데요.

한강 작가의 ‘소년이 온다’의 주인공인

동호를 만나고,

‘소리로 쓰인 오월’에서는

판소리로 윤상원 열사를 만났죠.

또 가수 이정권님이 ‘봄 와도’를 불러

민주 영령들에게는 깊은 애도를,

유가족에게는 따스한 위로를 전했습니다.

광주엔 5・18과 관련된 장소를 잇는

518번 버스가 있죠.

518번 버스를 탄

시민들의 이야기도 들었는데요.

518번 버스의 끝자락인

국립5・18민주묘지에서

80년 5월을 잊지 않고

오늘도 함께 모였습니다.

그 마음이 모여

그날의 오월처럼 어떠한 시련도 이겨내며

통합과 화합하자는 의미로

‘함께 걷는 길’을 함께 불러보았습니다.

마지막은 이 노래를 불러야죠!

참석자 모두가 손에 손을 맞잡고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하며

제45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이 마무리되었습니다.

모든 기념식이 끝나고

방문객들이 분향을 시작했는데요.

수원, 대구, 울산, 경기 등

전국은 물론 멀리 일본과

동남아시아 등에서도

참배객들이 많이 찾아주셨어요.

광주 시민들 역시 전국, 전 세계에서

광주를 찾은 분들을 위해

마음을 다하는 모습이었는데요.

오월광주 나눔과 연대의 상징인

주먹밥을 나누며

공동체 정신을 알렸어요.

45년이 지났지만 광주정신은

여전히 대한민국을 이끄는

중요한 이정표가 되어주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오월의 정신이 늘 함께하는

우리가 되길 바라봅니다.

{"title":"‘함께, 오월을 쓰다’ 제45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source":"https://blog.naver.com/dodreamgj/223870710096","blogName":"광주광역시","domainIdOrBlogId":"dodreamgj","nicknameOrBlogId":"광주광역시","logNo":223870710096,"smartEditorVersion":4,"cafeDisplay":true,"meDisplay":true,"lineDisplay":true,"outsideDisplay":true,"blog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