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울산시에서 직불제&농민수당을 지급합니다! 광역시에는 최초로 농민수당을 지급하는 것인데요.

여기서 직불제란, 농업 활동을 통해 환경보전, 농촌공동체 유지, 식품안전 등의 공익기능을 증진하도록 농업인에게 보조금을 지원하는 제도를 말하며 농민수당이란, 농업인의 소득안정을 도모함으로써 농업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농업과 농촌의 지속 가능한 발전과 공익적 기능 증진을 위해 농업인에게 지원하는 수당을 말합니다.

그렇다면, 울산시 직불제 신청 및 농민수당 신청방법까지 함께 알려드리겠습니다!🔎

직불제&

울산형 농민수당 지급 신청안내👩🏻‍🌾

올해 처음으로 지급되는 울산형 농민수당은 농가당 연 60만 원이 지급되는데요.

주민등록표상 세대를 같이 하는 가구 구성원 중 2명 이상이 지급대상자의 경우에도 농가당 1명에게만 지급되니 참고해 주세요.

🔹 지원 대상 : 2023년 기본형직불급 수령자

※ 농가당 1인

※ 조건 : 농업의 공익적기능을 실현하는 울산광역시에 주소를 두고 실제 경작을 하는 기본형직불금 수령 농가를 대상

🔹 지급액 : 연60만원

🔹 수당지급 : 농민수당대상 확정 후 11~12월

[농업.농촌의 공익적 기능이란?]

  1. 식량의 안정적 공급

  2. 국토환경 및 자연경관의 보전

  3. 수자원의 형성과 함양

  4. 토양유실 및 홍수의 방지

  5. 생태계의 보전

  6. 농촌사회의 고유한 전통과 문화의 발전

신청 방법

신청은 농지 소재가 울산인 경우와 그 외의 경우로 구분됩니다.

울산에서 직불제를 신청하는 경우는 직불금 신청기간인 3~4월에 농지 소재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직불금과 농민수당을 동시에 신청할 수 있습니다.

울산 외 지역에서 직불제를 신청하는 경우에는 기본직불금 등록증을 직불제 신청지에서 발급받아 6월 중에 주소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 농민수당을 같이 신청하면 됩니다!

구분

내용

울산에서 직불제

신청하는 경우

  • 신청기간 : 3~4월

  • 직불금+농민수당 동시 신청

  • 신청 방법 : 농지 소재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직불제 신청을 울산외 지역에서

신청하는 경우

  • 신청기간 : 6월

  • 농민수당신청서, 기본직불금 등록증(직불신청지 발급)

  • 신청방법 : 주소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지금까지 2023년 울산형 농민수당&직불제 신청안내를 도와드렸는데요.

직불제&울산형 농민수당은 식량의 안정적 공급, 국토환경 및 자연경관의 보전 등에 힘을 쓰고 있는 농업&농촌인들에게 수당을 지급하면서 환경보존과 소득안정에 도움을 드릴 수 있게 하는 정책입니다.

많은 농업&농촌 종사자들의 관심과 참여 바랍니다.👍🏻

{"title":"2023 직불제 신청할 때 울산형 농민수당도 신청하세요!","source":"https://blog.naver.com/ulsan_nuri/223038188403","blogName":"울산광역시..","blogId":"ulsan_nuri","domainIdOrBlogId":"ulsan_nuri","logNo":223038188403,"smartEditorVersion":4,"meDisplay":true,"lineDisplay":true,"outsideDisplay":true,"cafeDisplay":true,"blogDisplay":true}